-
-
파노프스키와 뒤러 - 해석이란 무엇인가 ㅣ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3
신준형 지음 / 사회평론 / 2013년 12월
평점 :
冊 이야기
2015-221
『파노프스키와
뒤러』
-
신준형의
르네상스 미술사 Ⅲ
신준형 /
사회평론
그림의 해석이란?
1. 왜
파노프스키와 뒤러인가?
파노프스키는
미술사가이고 뒤러는 화가이다.
두
사람은 이질적이면서 동격이다.
저자는
뒤러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파노프스키의 시각을 공유해보는 시간을 우선적으로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2.
두
사람은 모두 독일인이라는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좀 더 내면을 들여다보면,
전적으로
독일인이라는 것을 갖다 붙이기엔 애매모호하다.
뒤러의
할아버지는 사라센의 위협을 피해 헝가리에서 건너온 이주민이었다.
“나는
두 사람의 작업을 통해 소위 르네상스 미술사의 핵심적인 문제들을 미술이나 미술사학사 면에서 모두 논의하고 싶었다.
나는
르네상스 미술과 미술사학사의 중요 이슈들을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다시
말하면 르네상스라는 거대한 우주를 비추는 소우주의 역할을 하는 두껍지 않은 한 권의 압축적 핸드북을 쓰고자했다.
실제로
파노프스키는 각각 르네상스 미술과 르네상스 미술사학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접하고 있다.”
3.
유럽의
16세기에서
가장 결정적인 사건으로 흔히 이탈리아의 르네상스와 독일의 종교개혁을 꼽는다.
독일의
뒤러는 두 사건의 한 가운데에 서 있던 화가다.
그는
최초로 르네상스의 양식을 북유럽에 들여왔다.
뒤러는
재능 있는 후학에게 체계적으로 미술을 교육하기 위해 북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미술이론서들을 직접 저술했다.
4.
파노프스키는
르네상스 미술사의 첫 삽을 떴다고 할 수 있다.
그의
방법론인 도상해석법은 르네상스 미술의 심층에 존재하는 소위 내재적 의미의 규명을 목표로 했다.
내재적
의미란 그 시대의 지배적인 정신적 경향성을 말한다.
파노프스키는
미술에 나타나는 시각적 징후를 통해 시대의 정신성을 읽어내려 했다.
파노스프스키가
이처럼 병리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이래로 르네상스 미술사 연구는 어떤 방식이로든 이 의미의 문제를 다뤄야했다.
5.
미술사학자인
저자는 이 책에서 두 가지 논점에 주력한다.
첫째,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법,
즉
그림의 심층에 숨어있는 의미를 추구하는 방법론이 사실상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프로이트의
심리분석,
에드거
앨런 포가 쓴 추리소설의 모티프와 구조적 유사성을 띠고 있으며,
이처럼
의미와 상징에 천착하는 그림 독법이 현대 서구 문화의 공통된 유산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둘째,
쿤의
패러다임과 푸코의 담론개념을 도구로 삼아 파노프스키의 르네상스 연구가 지닌 정치적 측면,
그
헤겔적인 역사주의의 실체와 권력 욕구를 드러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