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토의 자유 지만지 고전선집 540
정을병 지음, 이봉일 엮음 / 지만지고전천줄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토의 자유정을병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 소크라테스의 말로 시작이 된다. “.... 사람들이 쾌락이라고 부르는 것은 정말 이상한 무엇인 것 같더군. 그것은 쾌락의 정반대인 것처럼 보여지는, 다시 말하면 고통이라는 것과도 이상한 관계가 있는 모양이야. 그 둘은 동시에 하나의 인간에게 주어지려고는 하지 않으나, 마치 둘이면서 하나의 머리에 묶여 있는 것처럼 사람이 그 한쪽을 추구하여 붙잡으면, 언제건 간에 다시 한쪽을 자연히 붙잡게 되거든...”

 

 

2. 책 제목에 등장하는 까토는 누구인가? 까토(BC 85~ BC 46)라고도 부른다. 이는 같은 이름을 가진 까토(BC 234~ BC 149)의 증손자이기 때문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까토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인으로 카이사르와 대적해 로마 공화정을 수호한 것으로 유명하고, 스토아학파의 철학자이기도 하다.

 

 

3. ‘죽음에 대한 태도 또는 입장은 한 사회의 문명적 수준을 가늠하는 여러 잣대 중 하나가 된다. 그 사회와 사회 구성원들이 죽음을 어떻게 수용하는가? 사실 떠나는 사람보다 남은 사람들의 마음이 더 분명하긴 하다. 여러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죽은 자의 관점에서 보면 죽음은 자유의 문제이고(죽은 다음에 느낄 가능성이 많다. 죽기 전엔 두려움이 대부분이다), 산자의 관점에서 보면 죽음은 애도의 문제다.

 

 

 

4. 까토의 자유를 이해하기 위해선 소크라테스의 죽음과 까토의 죽음을 대입해야한다. 물론 작가는 독자에게 이 둘의 모습을 교차시켜 보여주고 있다. 소설적 화자는, 죽음에는 그것을 회피하면서 어쩔 수 없이 겪는 비겁한 죽음과 정면으로 대응하면서 맞이하는 용감한 죽음이 있다고 말한다. 현자(賢者)는 늘 후자를 선택한다. 소크라테스와 카토는 각각 자신들을 고발하고 추격해 온 메레토스와 카이사르에게 머리를 조금만 숙였으면 죽음의 사신이 그들을 스쳐 지나갔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양심을 끝까지 저버리지 않았다. 그리고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했다. 이런 이유로, 작가는 두 사람을 모두 현자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5. 이 책엔 플라톤의 파이돈이 등장한다. 까토가 최후의 순간을 맞이하며 읽은 책이다. 까토의 마음이 머물던 곳은 쾌락과 고통, 혼의 독립, 혼과 윤회, 선한 사람들의 혼과 쓸모없는 자들의 혼, 애지(愛智)의 역할, 죽은 자에 대한 신령(神靈)의 판결, 소생(蘇生)에 대한 감사등이다.

 

 

6. 이 소설의 작가 정을병의 출세작은 1965, 66현대문학에 연재했던 장편소설 개새끼들19668월에 발표된 중편소설 까토의 자유가 뽑힌다. 개새끼들5. 16 군사쿠데타 이후 병역 미필자를 강제 징집해 국토건설단공사 현장에 투입시켜 인권을 유린한 사건을 고발한 작품이다. 제주도의 깡패 도로가 오버랩 된다. 까토의 자유는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 로마를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바꾸려한 정치적 시도에 대해 카토의 관점에서 해석한 작품이다. 60년대 한국 사회의 실존적 자유의 문제를 다룬 정치적 알레고리 작품이다. ‘실존적 자유의 문제는 반세기를 넘긴 현재도 여전히 이 땅에 남겨진 우리 모두의 과제로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