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계획의 철학 - 미루는 본성을 부정하지 않고 필요한 일만 룰루랄라 제때 해내기 위한 조언
카트린 파시히.사샤 로보 지음, 배명자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무계획의
철학』
카르린
파시히 외 /
와이즈베리
계획을 세우다 날이 새는 경우가
있다.
물론
철저한 계획은 필요하다.
반면
일을 계속 미루다가 날이 새는 경우도 있다.
그
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해선 나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책은 ‘무대책이
대책’이라고
조언한다.
“습관적으로
일을 미루는 우리는 우리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 책을 쓴다.”
마치
자아비판서(?)같다.
“책을
쓰는 일은 아주 힘들지만,
이런
책은 세상에 꼭 필요하다.
우리는
일중독에 빠진 일벌레와 아무것도 안 하려는 게으름뱅이 사이의 격렬한 전장에 내던져진 많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한다.
우리는
유익한 일을 하려한다.
우리
방식으로..” 시작이
좋다.
왠지
기분이 좋아지려한다.
‘기한
내에 일을 끝내주기’를
주제로 하는 책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업무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은 전적으로 자신의 책임이라며 절망에 빠진 사람을 비난하고 당장 내일부터 열심히 따라하면 성공이 보장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그룹이 있다.
스트레스가
더 쌓인다.
다른
하나는 멈춤,
느림,
게으름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과학기술의 발전은 해결책이 아니라 모든 문제의 근원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들 두 부류의 주장과 다른 해결책을 알려준다.
“물론,
하기
싫은 일을 해야 할 때도 있다.
하지만
꼭 그 일을 해야 할까?
꼭
그래야 하는지 연구된 바가 없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런 경우(죽기보다
싫은 일 하기)가
적을수록 더 행복해진다.”
이야기인즉슨,
힘들게
자기 삶을 바꾸지 않고도 예전보다 더 기분 좋게 살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다는 것이다.
“완벽해
보이는 사람들도 저녁에 이불 속에서 남몰래 괴로워하며 뒤척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왜
안 그러겠는가?
수면위로
보이는 백조의 모습에만 시선을 두지 말라는 이야긴 우리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도 자주 잊고 산다.
이 책의 키워드나 다름없는 단어가
하나 있다.
LOBO라는
단어다 LOBO는
(Lifestyle
Of Bad Organization, 조직화나
계획에 서툰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을
뜻한다. LOBO들은
어떤 과제에 부담을 느끼고 뒤로 미루는 것이 모두 자기 탓이라고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고 그 때문에 좌절감을 느낀다.
그들의
능력에 비해 요구사항이 너무 과한 경우에도 그렇다. “널리
만연해 있는 이런 자책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
LOBO 들이
책임감을 느껴야 하는 일은 하나뿐이다.
LOBO들에겐
자기능력에 맞는 환경을 찾거나 만들어야 할 책임이 있다.”
그래도 일은 하긴
해야지.
우선순위를
어떻게 정하나?
“어떤
일을 먼저 할지 선택할 때는 내적 감탄을 지표로 삼아야 한다.
서류
분류,
지하실
청소,
다림질,
양말
정리 등이 딴청거리로 사랑받는 까닭은 중요도나 만족감 때문이 아니라 단지 양심을 달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미룸’의
대선배들이 있다.
노련하게
미루는 프로들은 종종 훌륭한 업적을 남긴다.
리누스
토발즈는 컴퓨터 운영체제 리눅스를 개발하느라 전산학과를 졸업하는데 8년이나
걸렸다.
로베르트
슈만은 전공인 법학 공부는 하지 않고 피아노만 쳤다.
레오나르드
다빈치는 궁정 화가로서 맡은 업무를 제때 끝내지 못했다.
기하학이
훨씬 더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책의 저자들이
‘미룸’
예찬론자들만은
아니다.
단지
일을 빨리 끝내지 못한다는 것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지 말라는 이야기다.
너무
자신을 학대하지 말라는 것이다.
독자의
게으름과 대책 없음에 대해 “괜찮다~괜찮다~!!”
하다가
후반부로 가면서 “그래도...”
하면서
이렇게 권유한다.
“지연행동과
싸울 때는 게으름의 힘이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다.
집중을
방해하는 충동적 행위를 할 수 없도록 환경적으로든 인위적으로든 장치를 마련해두면 충동에 즉각 반응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평소
한눈을 팔게 하던 게으름이 이 경우에는 오히려 한눈을 못 팔게 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예컨대
침대가 책상 바로 옆에 있으면 30분
만에 짧은 낮잠을 자게 된다.
그러나
침대가 없는 대학으로,
사무실로,
혹은
멀리 카페로 가면 낮잠을 자러 침대로 가는 것이 갑자기 귀찮고 힘든 일이 된다.”
페이스 북 내 비공개 그룹인
〈일
못하는 사람 유니온〉
엔
2015년
9월
22일
현재 6,289명의
회원이 가입되어 있다.
진짜
일을 못해서 일을 좀 더 잘 해볼 만한 팁을 얻어 보겠다는 생각인지?
일
못하는 것도 ‘내
복이려니,
내
팔자려니’하고
동병상련(同病相憐)의
벗들과 마음을 나누며 살아가겠다는 뜻인지?
나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어쨌든 일보다 소중한 것은 ‘사람’이다.
직장에서
비열한 방법으로 사람을 내쫒을 때 혼자 감당하기 힘든 일이나 부당한 일을 시키거나 일 같지도 않을 일을 시켜서 자존심을 뭉개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땐 일이 ‘더러운
흉기’가
된다.
이 책을 통해 일에 대해,
사람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