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교육 두 번째 이야기 - 꼴찌도 행복한 교실
박성숙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일 교육 두 번째 이야기박성숙 / 21세기북스

 

 

한 나라의 미래를 확정짓는 것은 교육이다. 달리 무엇이 있겠는가? 건물, 시설? 이는 자연재해 앞에 하루아침에 사라진다. 단단한 교육은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해결할 수 있는 크나큰 에너지원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교육의 현주소는 어디에 있는가? 대학입시를 위한 기술자를 양성하는 양성소 말고 또 무엇을 내세울 수 있는가? 또 대학은 그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이 책의 저자 박성숙(무터킨더)은 대학을 졸업하고 잡지사 기자로 일했다. 남편과 함께 독일로 유학 온 후 네덜란드 마스트리트대학에서 미술 공부를 하다가 건강상의 이유로 쉬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지자 독일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한국과는 달라도 너무 다른 독일 교육 제도를 자신의 블로그 무터킨더의 독일 이야기와 언론 기고 등을 통해 한국에 알리기 시작했다. 그 내용을 토대로 교육과 관련된 책을 출간하고, 교육 관련 단체 여러 곳에서 주목을 받게 된다. 현재 한국교육신문에서 교육 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아이에게 공부보다 중요한 것

 

우리 교실에서 최고로 대접받는 학생은 누구일까? 당연히 공부를 제일 잘하고 착실하고 조용하고 선생님 말씀도 잘 듣는 범생이. 그에 반해 독일 학교에서 존경과 존중을 한 몸에 받는 학생은 남을 위해 봉사하고 친절하고 자기를 희생할 줄 알면서 리더십을 갖춘 사람이다. 성적은 전혀 상관없다.

 

 

 

독일어의 레스펙트라는 단어에는 존경과 존중의 의미가 함께 들어 있다. 레스펙트는 반드시 사람이 아니라 특정 기관이 받을 수도 있고, 여든의 할아버지가 세 살 된 아기를 향해 가질 수도 있다. 독일 교실에서 선생님과 친구들의 레스펙트를 한 몸에 받는 학생은 남을 도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의미의 힐프스베라이트샤프트가 있는 사회적인 사람이다.”

 

 

 

 

언론을 믿지 말라고 가르치는 학교

 

우리사회에서 언론의 역할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과연 언론을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뉴스 기사를 대할 때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세월호 사건 때는 기레기라는 단어까지 만들어졌다. 공의를 위해, 공정한 보도를 위해 혼신을 다하는 언론인들에겐 미안한 마음이 들지만, 대부분 언론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는 과히 안 좋다. 정치 논리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세상이 모두 알고 있는 진실조차 부정하는 데 열을 올리는 언론의 행태. 더 심각한 것은 그러한 언론을 여과과정 없이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독일인은 어떨까? 독일 사람들은 교양서든 신문이든 방송이든 미디어를 무조건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 한마디로 국민을 대상으로 한 프로파간다(propaganda)가 매우 어렵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저자는 그 원인을 독일의 역사와 교육에서 찾고 있다.

 

첫째는 독일인의 영원한 아킬레스건인 나치의 역사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의해 600만 명의 유대인이 학살된 홀로코스트, 현대사에서 나치즘만큼 인간 잔인성의 극을 보여주었던 예는 없었다. (......) 히틀러의 뒤에는 그의 독재와 학살을 정당화하고 대국민 선전 선동에 앞장섰던 파울 괴벨스라는 비뚤어진 지식인이 있었다. (....) 당시 대부분의 독일 국민들은 괴벨스가 장악한 언론이 전하는 대로 의심 없이 믿었다. 독재의 나팔수가 된 언론은 도덕과 정의, 관용, 애국심에 호소하며 지식인들을 설득하고 국민을 세뇌했다. 이런 역사적인 경험을 통해 독일인들은 미디어를 통한 우민화가 얼마나 무서운지 뼈에 사무치도록 알 수밖에 없었다. 둘째는 교육이다. 독일인이 국제학업성취도평가를 비판할 때 반드시 언급하는 내용은 독해 위주의 언어시험이다. (.....) 문학 작품을 읽든, 역사책을 읽든 수업 시간에 교사가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내용은 저자가 쓴 글을 액면 그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시험 준비는 작품과 관련된 시대상은 물론 작가 개인의 인생까지 두루 섭렵하며 깊이 있게 공부해야 한다. 왜 이 작가는 이런 주장을 했을까? 그 배경은 무엇일까? 정치 코멘트라면, 이 글의 정치적인 배경은 무엇일까? 이 기자는 진보적 성향인가 보수인가까지 언급해야 한다.”

 

 

저자는 책을 이렇게 마무리한다.박사도 아니고 교수도 아니고, 교육자도 아닌, 그저 독일에서 두 아이를 키우고 있는 한갓 아낙네가 한국 교육을 바꿔보겠노라며 다소 건방지고 무모한 도전으로 시작했던 것 같다. 독일 교육 이야기는 어쩌면 내 잃어버린 청소년기에 대한 안타까움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며 미래를 생각하는 모든 이들, 특히 교육에 대해 염려하고 고민하는 모든 학무모들, 교사들, 학생 등 모두가 읽어봐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