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경전
해이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 2015-108

 

눈의 경전해이수 / 자음과모음

 

 

마체르모(Machermo, 4,450m)를 떠나서 네 시간쯤 걸었을 때, 완은 얼굴에서 발라클라바를 벗겨냈다. 악천후에 안면을 보호하는 그것은 이미 습설과 콧물에 젖어서 얼음이 서걱거렸다. 고도 4,700미터 지점에서 눈은 전후좌우에서 휘몰아치고 땅에서도 솟구쳤다. 눈보라 속에서 사나운 채찍 소리가 들렸다. 강풍에 실린 눈발이 완의 뺨을 할퀴며 괴성을 질렀다.”

 

 

넌 그녀를 버렸어!”

 

이 소설의 화자이자 주인공인 완은 한발 한발 히말라야의 눈길을 헤치며 산을 오른다. 히말라야의 눈길을 헤맨 지가 며칠 째인지를 헤아려보니 벌써 열흘이나 되었다. 그는 어찌 이렇게 걷고 있을까? 그가 찾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아니 잊고자 하는 것은 또 무엇일까?

 

 

소설의 무대는 히말라야의 가파른 눈밭과 호주의 대학 강의실, 서울을 오가며 옮겨간다. 완은 히말라야의 산길에서 결국 지쳐 쓰러진다. 누군가 자신을 부르는 소리가 들린다. 가까이 들리는 목소리는 따뜻하고 애틋했다. 그녀였다. 여인은 다가와 누워 있는 완 앞에 한쪽 무릎을 꿇고 앉았다. 그리고 작고 부드러운 손으로 완의 뺨을 어루만졌다.

 

 

그 여인은 완이 호주에 유학 중 만난 유밍이다. 중국에서 온 유학생이다. 완이 학교 강의와 과제물을 어디서 어떻게 이해하고 풀어가야 할지 갈팡질팡할 때 마치 구세주처럼 나타난 존재다. 완은 유밍 덕분에 학업의 중심을 잘 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둘이는 연인사이가 됐다. 서른한 살의 완과 스물네 살의 유밍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된다.

 

 

순례의 길과 무지개

 

다시 히말라야. “영리하거나 힘이 센 것들은 순례를 하지 않는 법이다. 그런 힘든 여정에 오르지 않아도 자신의 영토 안에서 충분히 잘 살기 때문이다. 밥벌이에 하루하루가 고단한 부류도 고행을 하지 않는다. 일상 자체가 고행이기 때문이다. 죄를 지어 추방당했거나 거룩한 정신적 부담을 가진 자만이 순례를 선택한다.” 일면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완의 산행은 거룩하다고 표현할 정도는 아니지만, 모종의 정신적 부담임을 암시해주는 부분이다.

 

 

완은 히말라야 산정에서 무지개를 보고 싶었다. 그 무지개는 유밍도 보고 싶었던 무지개다. ‘이 봉우리에서 저 봉우리까지 하늘을 가로지르는, 아주 커다랗고 선명한!’ 무지개의 반대쪽이 내려앉는 그곳은 어디일까? 무지개라는 것이 한갓 나타났다 사라지는 존재일지라도 사람들은 무지개를 바라보며 감탄한다. 눈을 못 뗀다. 우리가 바라는 꿈과 희망이 어쩌면 무지개 같을지도 모른다. 사라져 버릴지언정 갖고 싶고, 이루고 싶은 그 무엇일지도 모른다. 유밍은 완과 함께 이뤄갈 꿈을 그 무지개에 싣고 싶었을 것이다. 그것이 가교(架橋)역할을 해주리라 믿고 있었을 것 같다.

 

 

완이 히말라야에 온 것은 유밍과의 약속이다. “자신을 네팔까지 부른 중국 여인, 상대방은 까맣게 잊은 약속을 숨이 끊기던 순간까지 가슴에 품었던 사람...” 그녀는 지금 이 세상에 없다. 함께 오기로 한 그 약속을 혼자라도 지키기 위해 완은 히말라야 행을 결정한 것이다. 완이 산을 오르는 것은 회상일수도 있다. 다시 쓰고 싶은 내면의 일기장일 수도 있다.

 

 

고통과 아름다움

 

“750도의 고열에서 하루 24시간 꼬박 열을 가해야 합니다. 그런 열기를 견뎌야만 이렇게 진실하고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가 만들어집니다.” 완이 유밍과 시드니의 한 예배당을 들렀을 때 스테인드글라스를 손으로 가리키던 성직자의 말이다. 하루 24시간 꼬박 열을 가해야 한다는 말에 시선이 머문다. 그 온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완이 유밍에게 묻는다. “왜 진실과 아름다움은 시련을 통해서만 드러나는 걸까? 순서를 보면 고통이 먼저고 아름다움은 그 다음이야. 왜 아름다움이 먼저가 아니라 고통이 먼저일까?” 유밍이 답한다. “고통이 먼저고 아름다움이 나중이니까 그나마 고통을 견딜 수 있겠지. 만약에 아름다움이 먼저면 곧 다가올 고통의 두려움 때문에 그 아름다움을 아름다움으로 느끼지 못잖아. 그러니까 그 순서가 맞는 거야.”

 

작가는 후기에서 스스로 묻고 답한다. 인간이 가진 최고의 덕성은 왜 고통의 순간에 발현될까? 다행스럽게도 그곳의 추위와 시련은 나를 전보다 조금은 선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눈보라 너머로 어떤 희미한 이야기가 보였다. 희미한 것을 선명하게 만드는 작업을 나는 중요한 과제로 받아들였다. 하늘은 중요한 일을 맡기기 전에 그 사람의 생각과 의지를 시험하므로 나도 이번에 시험 대상자에 속했을 것이다.

 

작가가 작가로서의 뜻과 의지를 어떻게 다져가고 있는가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다. 백지에 그림을 그리듯,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작가라는 생각도 들지만 때로 드는 생각은 이미 누군가 진작 그려 둔 밑그림을 따라 선을 이어가는 것이라는 느낌도 전해진다. 마치 완이 걸어가던 그 눈길이 다른 이들이 남긴 발자국은 이미 사라졌지만, 그 길을 따라가듯이 그렇게 이어지는 것이 문학이고, 예술이다.

 

 

당신이 만든 물결이 결국 당신에게 돌아올 거예요

 

완이 히말라야 산행의 막바지에서 만난 빠모. 그녀는 영국 출신이다. 텐진 빠모(일종의 구루)가 된 서양 최초의 여성이다. 이십대에 인도에서 스승을 만나 티베트의 수도원에서 서원한 뒤 히말라야 13,000피트의 동굴에서 혼자 12년간 수행하며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빠모는 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꿰뚫어보듯 한 마디 한 마디가 완의 가슴에 콕 박힌다. 아마도 작가는 빠모의 입을 빌어 이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이리라.이 우주는 말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광대해요. 그러나 아무리 광대해도 모든 것은 다른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어요. 그 누구도 이 연결에서 제외되어 있지 않죠.(.....) 지난 일을 후회 할 때도 있겠지만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 당신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없었을 거예요. 어느 곳에나 존재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존재 할 수 있어요.(.....) 선택을 하면 책임을 져야 해요. 책임에서 도망치려 할 때 불행에 빠지고 말죠. 이 우주는 잊는다는 것을 몰라요. 당신이 매 순간 선택할 때마다 우주는 지켜볼 거예요. 앞으로는 지옥보다 천국을 택하세요. 당신이 만든 물결이 결국 당신에게 돌아올 거예요.”

 

 

작가 해이수. 내가 주목할 작가의 명단에 올린다. 깊은 울림이 있는 글을 쓰는 작가다. 실제로 히말라야를 다녀왔다고 한다. 몇 해 전, 쿰부 히말라야의 대폭설 기간에 그는 그곳을 걸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때 떠오른 그의 상념 중 관계는 상처를 먹고 성장한다는 말에 지극한 공감을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