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쯤 품고 산다 - 시인 장석주가 고른 삶과 죽음, 인생의 시 30 ㅣ 시인의 시 읽기
장석주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冊
이야기
2015-098
『누구나
가슴에 벼랑 하나쯤 품고 산다』
장석주
/
21세기북스
1. 나와
그대가 살아가는 삶에 정답이 있을까?
누구나
정답을 쓰며 살아간다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 시험지는 누가 체크할까?
신앙인이라면
자신이 믿는 신 앞에 가서 성적표를 받을 것이다.
이
땅을 떠나면서 마지막 긴 호흡을 들이마시며 자신이 쓴 삶의 답안지를 들여다볼 수도 있겠다.
쓰인
답은 사실 살아온 흔적들이다.
내가
걸어온 길,
내가
보고 느꼈던 단상들,
의도하던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이들에게 준 상처들,
내가
받은 상처들,
넘어졌던
기억들,
아팠던
기억들 등이 ‘빨리
보기’로
순식간에 지나갈 것이다.
2.
나이가
들어가면서 시(詩)가
더욱 좋아진다.
나의
삶의 20대
때 시를 참 좋아했다.
많이
읽고 많이 썼다.
시를
썼다기보다는 시 비슷한 것을 쓰긴 했다.
지금도
가끔 시 비슷한 것을 긁적이곤 한다.
이제껏
살아오면서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살아온 것 같아 자책감이 들 때는 시를 쓴다.
함축의
언어로 내 마음을 그린다.
스쳐가는
느낌을 붙잡아놓는다.
때로는
한 권의 묵직한 책보다 한 편의 시가 가슴에 콕 박힐 때가 있다.
그
느낌이 나의 느낌이기도 할 때 더욱 그렇다.
3.
이
책의 지은이 장석주는 어떤 사람인가?
스무
살에 등단해서 여전히 시 쓰는 사람.
읽을
수 있는 것에서 읽을 수 없는 것까지 읽어내는 독서광.
읽고
쓰는 것에 모든 것을 건 문장노동자.
경기도
안성 호숫가의 ‘수졸재’주민으로
소개된다.
‘스무
살에 등단해서 여전히 시 쓰는 사람’이라는
것과 사는 곳만 다를 뿐 나와 흡사하다.
이
책의 타이틀은 ‘인생을
아는 나이 비로소 시를 읽다.
시인
장석주가 고른 삶과 죽음,
인생의
시 30’이다.
4.
지은이
장석주 시인이 소개하는 30편의
시(詩)들은
대체적으로 쓰다.
달콤한
것만 찾던 입맛에는 더욱 쓸 것이다.
그러나
달디 단 약은 아이들에게나 먹일 일이다.
어차피
인생은 쓰다.
그리고
좋은 약이 입에는 쓰다.
아이들이
아프면 평소 아이가 좋아하던 음식을 먹일 것이 아니라 잘 안 먹던 음식을 먹이라는 처방전도 있다.
몸의
균형을 맞추듯 영혼의 균형도 맞추며 살아야 한다.
쓰디쓴
약은 나만 먹고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5.
“당신이
얼마나 외로운지,
얼마나
괴로운지/
미쳐버리고
싶은지 미쳐지지 않는지/
나한테
토로하지 말라/
심장의
벌레에 대해 옷장의 나비에 대해/
찬장의
거미줄에 대해 터지는 복장에 대해/
나한테
침도 튀기지 말라/
인생의
어깃장에 대해 저미는 애간장에 대해/
빠개질
것 같은 머리에 대해 치사함에 대해/
웃겼고,
웃기고,
웃길
몰골에 대해/
차라리
강에 가서 말하라/
당신이
직접/
강에
가서 말하란 말이다//
강가에서는
우리/
눈도
마주치지 말자.”
_황인숙
‘강’
전문
당신만 아픈 척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내가
당신에게 상처를 준 가해자이고 당신은 피해자라는 생각도 말일이다.
따지고
보면 피차 가해자고,
피해자다.
쉽게
쓰는 말로 ‘쌍방과실’이다.
퉁
쳐야 할 일들 뿐이다.
이건
내 생각이다.
지은이는
이 시를 이렇게 풀어준다.
“지금
이 시의 서정적 주체를 지배하는 것은 권태,
피로,
무기력이다.
이
시의 문면 뒤에 숨은 말은 다음과 같다.
나는
당신의 ‘말함’을
허락할 수가 없다.
나는
당신에게 어떤 대답도 해줄 수 없다.
제발
나를 건드리지 말고 내게 아무런 응답도 요구하지 말고,
나를
‘응답
할 수 없음’,
즉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익명성에
그냥 머물게 놓아다오.”
6.
“나
떠난 후에도 저 술들은 남아/
사람들을
흥분시키고/
사람들을
서서히 죽이겠지//
나 떠난 후에도
사람들은/
술에
취해/
몸은
땅에 가장 가까지 닿고/
마음은
하늘에 가장 가까이 닿아/
허공
속을 몽롱하게 출렁이겠지//
혀끝에
타오르는 불로/
아무렇게나
사랑을 고백하고/
술
깨고 난 후의 쓸쓸함으로/
시를
쓰겠지//
나
떠난 후에도/
꿀
같은 죄와 악마들은 남아/
거리를
비틀거리며/
오늘
나처럼 슬프게 돌아다니겠지/
누군가
또 떠나겠지.”
_문정희
‘나
떠난 후에도’
전문
이 시를 읽다보니 문득 생각나는 것이
있다.
사고로
자식을 잃은 어머니가 아파트 창을 통해 밖을,
아래를
내려다보다가 가슴이 더 무너졌다.
내
아이는 죽어 없는데 해는 여전히 같은 장소에서 떠오르고,
아빠의
출근길을 배웅하는 엄마 품 아가의 손짓은 여전하고,
등굣길
아이들의 밝은 웃음과 활기 넘치는 번잡스러움은 여전하다는 것이 너무 이상하고 너무 받아들이기 힘들었단다.
그래서
두꺼운 커튼으로 창을 닫은 후 상당히 오랫동안 두문불출 했단다.
세월호
건져 올리는 비용이 천문학적 숫자라고,
아직
못 올라온 아이들을 가슴에 묻으라는 말을 함부로 하지마라.
네
새끼 아니라고.
그저
입 다물고 조용히 있는 것이 도와주는 것이다.
“시적
화자가 상상적 죽음에 이른 이런 순간들은 존재의 고갈이면서 고갈이 아니고 덧없음이면서 덧없음이 아니다.
죽음은
운명의 견고함을 마침내 완성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시적 화자의 죽음은 미래의 것 즉,
아직
오지 않은 죽음이다.
여기서
기묘한 안도감과 함께 살아 있음에 쏟아지는 신적인 시선과 빛으로 우리를 이끈다.”
7.
내가
시(詩)를
읽는 법 ;
‘단
숨에 읽으려고 하지 않는다.
한
번에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시는
결코 쉽게 쓰이는 법이 없다.
때로
A4
용지에
시를 그대로 옮겨본다.
워드로
두드려보기도 한다.
연의
구분,
끊김과
이어짐,
숨표
하나도 임의로 하지 않고 그대로 그린다.
그 부분들도 시의
일부분이다.
시인의
호흡을 따라 시를 읽고 마음에 담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