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C 힐러리 로댐 클린턴
조너선 앨런.에이미 판즈 지음, 이영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이야기 2015-082

 

HRC 힐러리 로댐 클린턴조너선 앨런 외 / 와이즈베리

 

1. 미국 대선을 앞두고 힐러리에 관한 책들이 속속 출간되고 있다. 힐러리 진영측의 전략적인 이유도 있겠고, 아닐 수도 있겠다. 요즘 힐러리 여사가 궁지에 몰렸다. 검증몰매 1위다. E-메일 건 때문이다. 미국의 대선 가도에서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던 중 만난 복병이다. 한 꼼꼼하다는 그녀가 어떻게 그런 일을 저질렀는지 모르겠다. 장관 재직 중이던 4년간 정부 규정을 어기고 정부 E-메일이 아닌 개인 E-메일을 공무에 활용했다는 것이 골자다. “개인 E-메일을 썼다는 것은 E-메일이 민간회사의 서버를 거친데다 당시 정부 기록으로 보관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워싱턴 포스트(WP)의 지적이다.

 

 

 

2. 국무장관직을 맡아달라는 오바마의 권유에 응한 날부터 4년 동안 힐러리는 세력 재구축과 이미지 쇄신에 공을 들여왔다. 동시에 누구보다 기민한 업무 수행능력을 보여주며 국무부의 영향력과 미국의 대외 관계, 그리고 미국 내에서의 그녀의 이미지를 향상시켰다. 그녀는 불굴의 강인함, 열성적인 정치 자본 구축, 강경한 경계심, 그리고 자신이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고 믿는 여인의 야망으로 그 일을 해냈다.

 

 

 

3. 백악관 출입의 베테랑 저널리스트 2인의 공동작품인 이 책은 내부관계자들이 전하는 이야기를 통해 아직 결말이 쓰이지 않은 채 남아 있는 힐러리 클린턴의 마지막 정치적 부활이 어떤 궤도를 그리고 있는지 추적한다. 2008년 대선 캠프 이야기부터 시작된다. 그리고 오바마에 패한 후 국무장관직을 제안 받은 후 오바마와의 밀당이 이어진다. 힐러리는 결국 국무장관직을 받아들인다. 힐러리는 국무부를 인수하면서 네 가지 중요한 문제에 직면했다.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입지 되찾기, 미국 정부 내에서 국무부의 영향력 재건, 소속 직원들(7만명)의 사기 진작, 대선을 대비한 그녀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미국 국민들에게 심어주기 등이다.

 

 

 

4. 힐러리의 행동 지침 중 스마트 파워가 눈길을 끈다. ‘스마트 파워이론은 클린턴 행정부의 국방부 관리였던 조지프 나이가 만들어낸 용어다. 군사력과 경제 제재 같은 전통적인 하드파워와 정책적, 경제적 원조 같은 당근을 던져주면서 외국들이 행동을 바꾸도록 유인하는 소프트파워를 결합하여 다른 나라들을 움직이는 방식을 뜻한다. 이를 힐러리가 리바이벌 했다. ‘어르고 뺨치기?’

 

 

 

5. 미국 내에서 검증몰매 1위와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힐러리. 내년 대선의 결과가 주목된다. 다소 외교적인 언사가 포함되어 있는 느낌이지만, 그녀의 말을 들어본다.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나도 알지 못합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앞으로의 일을 안다고 생각해본 적 은 단 한 번도 없어요. 존 웨슬리(감리교회의 창시자)의 가르침에 따라, 매일 최선을 다해 살려고 있는 힘껏 노력할 뿐이죠.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누가 알겠어요? 나는 전혀 몰라요. 그러니까 하루하루 내 가치관을 충실히 지키면서, 어떤 방법으로든 좋은 일에 기여하고 선행을 하려고 노력하는 거죠.” 미국 국민들에게 한 가지 당부하고 싶다. “여 대통령이라고 감성정치쪽에 너무 기대를 하지 말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