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 비평 166호 - 2014.겨울
창작과비평 편집부 엮음 / 창비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이야기 2015-022

 

계간 창작과 비평166- 2014년 겨울

 

이번 호에는 특집으로 소설에서 현실만나기가 실렸다. 이중 염상섭의 작가 정신과 한국 근대라는 임형택 교수의 글을 정리해본다.

 

삼대(三代)가 사는 중산계급의 한 가정을 그려보려 합니다. 한 집안에서 살건마는 삼대의 호흡하는 공기는 다릅니다. 즉 같은 시대에 살면서도 세 가지 시대를 각각 대표합니다.” '삼대'의 신문연재가 시작되기 직전에 나온 작자의 말이다. 작중의 조씨가() 삼대에서 조부 조의관은 3.1운동 이전 시대, 부친 조상훈은 3.1운동 직후 시대, 손자 조덕기는 눈앞의 오늘을 대변하고 있다.

 

 

삼대서사를 통해서 작자가 전하려 한 메시지는 무엇일까? 1대 조의관은 3.1운동 이전 시대이다. 그 후 좌냐 우냐로 갈라지게 된다. 작자(염상섭)는 치우침 없이 우와 좌를 동시에 그려 넣고 있다. 2대 조상훈은 부친 조의관 과의 갈등으로 상속자의 권한을 잃는다. 그는 말로가 비참해진 어떤 애국지사를 후원하고 유족을 보살피다가 그 집 딸을 농락하게 된다. 3대 덕기는 이를 목도하면서 동정심이란 위선에 가깝고 나쁜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는 점을 배우게 된다.

 

 

이미 예정된 방향전환이었다. “손자의 대에 와서 비로소 새 길을 찾아들려고 허덕이다가 손에 잡힌 것이 그 이른바 '심퍼사이즈(sympathizer)'라고 하는 즉 좌익에의 동조자 혹은 동정자라는 것이다.

 

 

글쓴이 임형택은 염상섭의 소설 삼대의 평가 문제에서 시작해서 사상적, 문학적 입장, 삼대에 나타난 서사의 의미와 함께 염상섭 문학의 자연주의 논란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글쓴이의 텍스트가 되고 있는 2013, 2014년에 발간된 염상섭 문장전집(1~3)을 위시리스트에 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