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의 경제학 - 마이너스를 통해 플러스를 얻다
서정락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 2015-003

 

손해의 경제학서정락 / 21세기북스

 

1.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라는 말처럼 애매모호한 말이 없다. 지고이기는 것은 명료한데 어찌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인가? 사실 말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실행이 어렵다. 마음의 수련이 어느 정도 경지에 올라야 가능한 일이다.

 

2. 지은이가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 싶은 것을 한 문장으로 줄이면 이렇다. “손해를 보면 오히려 더 큰 이익으로 돌아 올 수 있다.” 역시 여간한 심성 아니면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다.

 

3. 경영과 인간관계에서 일순간의 손해는 결국 성공을 위한 에너지를 재창출한다는 경험적 결론부터 내놓고 있다.

 

4. 지은이의 생각은 계산을 할 줄 몰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 손해를 받아들임으로 상대방에게 진정으로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돈보다는 일, 일보다는 인간관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5. 책은 손해의 경제학, 세심, 자아, 동료애, 열린 사고, 리더십, 의지, 마음관리 등을 키워드로 한다.

 

6. “나는 방하착(放下着)이라는 말을 참 좋아한다. 방하착은 불가에서 나온 말이다. ‘내려놓아라!’는 의미이고 외부, 잡념을 끊어야 수행에 전념할 수 있다는 속뜻을 갖고 있다. 나는 인생을 늘 방하착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7. 사실 우리의 삶에서 입으로는 내려놓는다하면서 더 세게 움켜쥐는 일이 허다하다. 나의 욕심대로 되지 않을 때 몸과 마음이 더욱 피폐해진다는 것은 불 보듯 훤하다. 내려놓는 것이 결코 쉽지 않지만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 마음을 비운다면 그 욕심의 실체를 더욱 잘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8. 이 시대가 원하는 인재상은 열린 사고의 소유자라고 한다. 누구나 장단점은 있기 마련이다. 그 장점과 단점은 매우 주관적이다. 보는 각도나 주어진 상황에 따라 장점이 단점이 되기도 하고 단점이 장점이 되기도 한다.

 

9. 지은이는 하이브리드 인재를 강조하고 있다. ‘하이브리드는 두 가지 기능이나 역할이 하나로 합쳐진 것을 말한다. 전기와 휘발유를 동시에 쓸 수 있는 차를 하이브리드 자동차라고 한다. 하이브리드형 인재는 한 가지 장점에 머물러 있는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장점을 받아들여서 계속 발전해 나가는 인재를 의미한다.

 

10. 각자의 삶의 여정에서 붙잡고 갈만한 이 필요하다. 목표일수도 있고 사람일 수도 있다. 그 끈을 밖에서 구할 것이 아니라 내 안에서 키우고 더욱 단단히 할 필요가 있다. 심리학 용어에 자기 효능감이라는 것이 있다. “한 번의 성공, 한 번의 긍정이 무한한 영향을 줍니다.” 한 번의 좋은 경험과 좋은 영향의 결과를 계속 유지하려는 마음이 결국 나를 지탱해주는 버팀목이자 나의 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