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감하는 능력 - 관계의 혁명을 이끄는 당신 안의 힘
로먼 크르즈나릭 지음, 김병화 옮김 / 더퀘스트 / 201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冊 이야기 2014-215
『공감하는 능력』 로먼 크르즈나릭 / 더퀘스트
1. 공감(共感)이란 무엇일까? 사전적 해석으로는 ‘남의 생각이나 의견·감정 등에 대하여 자기도 그러하다고 느낌, 또는 그런 감정’ 이다. 그렇다면 동감이란? ‘남과 같게 생각하거나 느낌, 또는 그 생각이나 느낌’이다. 고전에서 그 뜻을 찾아본다면 역지사지(易地思之)와 같지 않을까.
2. 사실 인간관계에서 ‘공감’이 차지하는 범주가 무척 넓다. 공감대가 깨지면서 불화가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감은 혁명을 일으킬 수 있다. 지금까지 있었던 구식 혁명, 즉 법률과 제도, 정부를 새로 세우는 그런 혁명이 아니라 훨씬 더 근본적인 것, 인간관계의 혁명을 일으킨다.”
3. 저자는 공감을 이렇게도 해석한다. ‘공감은 상상력을 발휘해 다른 사람의 처지에 서보고, 다른 사람의 느낌과 시각을 이해하며, 그렇게 이해한 내용을 활용해 당신의 행동지침으로 삼는 기술이다.“
4. 그러니까, 느낌에 충실한 것에 그치지 말고 행동지침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숙제이다. ‘공감’이 처음 주목을 받은 것은 18세기였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는 인간의 도덕적 감수성은 고통 받는 자와 상상 속에서 처지를 바꿔볼 수 있는 정신 능력이라고 했다.
5. 의학과 과학의 발달은 ‘공감’까지도 벗겨내고 있다. 신경과학자들은 우리 두뇌 속에서 10개 구역으로 이뤄진 ‘공감회로’를 밝혀냈다. 공감회로가 손상되면 타인들이 무엇을 느끼는지 이해하는 능력이 줄어든다는 결론이다.
6. 책은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의 6가지 습관이 주 내용이다.
첫 번째 습관 : 두뇌의 공감회로를 작동시킨다.
두 번째 습관 : 상상력을 발휘해 도약한다.
세 번째 습관 : 새로운 체험에 뛰어든다.
네 번째 습관 : 대화의 기교를 연마한다.
다섯 번째 습관 : ‘안락의자’여행자가 되어본다 - 예술, 문학, 영화 그리고 SNS를 통해 다른 사람의 마음속으로 여행을 떠나본다.
여섯 번째 습관 : 주변에 변화의 기운을 불어넣는다.
7. 공감능력은 개인 차이가 있다. 극히 드문 사람들이 선천적 또는 기질적으로 타인과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98%) 공감과 사회적 연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괴테는 ‘인간은 세계를 아는 정도만큼만 그 자신을 안다’고 했다. 세계를 알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그 자신도 모른다는 이야기로도 들린다.
8. 책 후반부에 실린 ‘공감도서관’ 이 흥미롭다. 저자가 만든 온라인 공감도서관이다. 이 도서관의 목표는 사람들에게 공감적 사고와 행동에 불을 붙이도록 영감을 주는 책, 영화, 앱, 기사를 공유하는 디지털 보물 창고가 되는 것이라고 한다. 저자는 다음 단계로 공감박물관을 꿈꾸고 있다. 어쨌든 ‘공감’이 모두의 마음에 이미 들어와 있었다니, 잘 키워볼 일이다. 그럼 덜 피곤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