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을 권하다 - 삶을 사랑하는 기술
줄스 에반스 지음, 서영조 옮김 / 더퀘스트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冊 이야기 2014-194
『
철학을 권하다』 줄스 에반스 / 더퀘스트(길벗)
1. “옛사람들은 철학을 온몸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교실에서뿐만 아니라 체육관에서 배우고 연습하는 것으로 여겼다.” 몸 근육을 단련하려고 투자를 하는 만큼 마음 근육을 위해 관심을 갖는다면 세계 제2위의 자살 공화국으로 까진 안 가도 될 텐데 안타깝다.
2. 대학 1학년생. 갑자기 마음에 문제가 생겼다. 난데없이 공황발작과 심한 감정의 기복, 우울증, 불안장애가 몰려왔다. 저자 줄스 에반스의 이야기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었다. 그럭저럭 학업은 따라갔지만, 정서적 삶은 더 황폐해져만 갔다. 그 후 어찌어찌 연결되어 ‘인지행동치료’를 받게 된다.
3. 저자는 인지행동치료를 받으면서 그 아이디어와 기법이 어딘지 익숙하게 느껴졌다. 고대 그리스철학이 떠올랐다. 인지행동치료의 오리진을 거슬러 올라가봤다. “인간은 현상이 아니라 현상에 대한 자신의 생각 때문에 불안해진다.” 스토아학파 철학자 에픽테토스가 한 말이다.
4. 이 책은 저자의 독특한 구상으로 편집되었다. 우선 아테네 학당을 다시 세웠다. 이미 저 윗동네 노인정에서 놀고 계시던 어르신들을 단체로 모셔왔다. 오리엔테이션에서 오전수업, 점심시간(식사하면서도 강의는 이어진다), 오후수업, 저녁수업 그리고 졸업식이다. 하루에 끝나긴 하지만, 거의 스파르타식으로 강행군이다.
5. 그렇다고 지레 겁먹진 말자. 오늘은 오전수업만 듣고 오후 수업은 내일 들어도 된다. 강의는 반복 된다. 책이 없어질 때까지.
6. 신경과학자들은 스스로를 변화시키는 인간 두뇌의 놀라운 능력을 ‘가소성’이라고 부른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철학자들은 두뇌를 오직 밖에서만 보던 시절에 두뇌의 가소성에 처음으로 주목한 사람들이다.
7. 철학이 할 일이 있다. 인간을 바꾸기 위해 먼저 습관적인 것을 의식하고, 그 뒤에 의식한 것을 습관으로 만드는 이중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철학은 훈련이다. 연습할수록 쉬워지는 정신적, 육체적 운동이다.” 몸이 기억하고 오래 전 몸 움직임을 재현해줄 때도 있다. 마음 또한 그리해주길 바랄 뿐이다.
8. 점심시간. 철학자들의 식사시간에 에피쿠로스를 만나보자. 에피쿠로스의 키워드는 즐거움이다. 한 발 더 나가면 ‘쾌락’이다. 에피쿠로스는 즐거움은 “존재의 알파이자 오메가”라고 가르쳤다. 그 유지를 잘 받들어 ‘오직 쾌락’에 몰두한 사람들도 많았지만 에피쿠로스의 쾌락은 매우 소박하고 합리적인 쾌락주의로 이해된다.
9. 철학을 왜 해야 하는가? 많은 답변이 있겠지만, 나는 나를 이해하고 당신을 받아들이고 서로의 삶을 사랑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답하고 싶다. 그래서 나 역시 당신에게 철학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