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의 철학 - 모든 위대한 가르침의 핵심
올더스 헉슬리 지음, 조옥경 옮김, 오강남 / 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冊 이야기 2014-164

 

영원의 철학』 올더스 헉슬리 김영사

 

 

1. "이 멋진 인간들이여이 얼마나 아름다운 인간들인가멋진 신세계여..." 올더스 헉슬리를 생각하면 자동으로 떠오르는 것이 멋진 신세계이다흔히 조지 오웰의 1984과 함께 거론되는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2. 많은 이야기 중 책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난다오웰이 그리는 디스토피아는 공포와 기만이 지배하는 세계이며헉슬리가 그리는 디스토피아는 욕망과 말초적인 자극이 지배하는 세계이다오웰이 책을 금지할 자들을 두려워했다면헉슬리는 아무도 책을 읽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책을 금지할 필요조차 없어질 것을 두려워했다.

 

3. 책에 대한 관점만 보면 올더스 헉슬리가 이겼다최근 인터넷에 오른 글들 중에 머니투데이의 [대한민국 리포트] '책 안 읽는 사회'를 보면 올더스 헉슬리가 백번 옳다. "문학소녀찌질하잖아요쌤도 문제 하나 더 풀라던데요". "진지 빨지 말고 책 치워라~". '무식한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의 기사 중간 중간 눈에 띄는 이러한 문구들은 대한민국이라는 배가 제대로 가고 있는가 돌아보게 만든다우리 아이들이 이 나라를 과연 어떻게 운전해갈지 큰 걱정이다.

 

4. 책의 제목인 영원의 철학에 무게감이 실려 있다영원히 풀어가야 할 철학이냐영원을 향한 철학이냐헉슬리는 영원의 철학(Philosophia perennis)’이 근대 독일의 수학자이며 철학자이자 뉴턴과 별개로 무한소 미적분을 창시한 독일 근세 철학의 원조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가 최초로 사용한 용어라고 한다.

 

5. 그러나 옮긴이 조옥경 교수는 영원의 철학이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그보다 훨씬 이전에 이탈리아 구약성경학자 아고스티노 스테우코가 자신의 저서 Deperenni philosophia(1540)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라고 한다라이프니츠가 이 용어를 역사를 초월해서 전승되는 형이상학적 근본진리라는 의미로 본격적으로 사용했다.

 

6. 영원의 철학에 따르면기독교 · 불교 · 유교 · 도교 · 이슬람교 · 유대교 · 힌두교 등 세계의 종교는 영원의 철학이 제안하는 보편적인 진리가 각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적용된 결과로 나타난 모습니다이 보편적인 진리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7. 첫째물질 · 생명 · 정신권의 근본바탕에는 신성한 실재가 존재하며모든 현상은 그러한 실재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둘째신성한 실재는 분석적 사고를 통해서는 포착할 수 없으며더 높은 차원의 직관적 통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셋째인간은 현상적 자아와 영원한 참자아라는 이중성을 지니며참자아는 신성한 실재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넷째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러한 실재와 경험적으로 합일하는 데 있다.

 

8. 헉슬리는 그대가 그것이다’, ‘세상 속의 신’, ‘최고의 사랑’, ‘진리’, ‘종교와 기질’, ‘선과 악’, ‘시간과 영원’, ‘침묵’, ‘기도’, ‘믿음’, ‘우상숭배’, ‘기적’, ‘영적 훈련’ 등을 포함한 27개의 화두를 갖고 생각을 풀어나가고 있다. 400여 인용문엔 각 종교의 경전 외에 노자장자에크하르트십자가의 성 요한카뮈사르트르 등 많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9. 다소 종교적인 면에 치중된 감이 크지만요즈음처럼 신앙인은 없고 종교인만 있는 현실을 직시해볼 때 종교를 갖고 있건 아니건 읽어볼 만한 책이다간혹 종교에 대한 불신감만 충만한 사람들은 하나님도 안 믿고부처님도 안 믿고 나는 나를 믿는다고 한다그럼 그 는 제대로 알고 있는가종교는 우선 믿고 알아가는 방법도 있다그 후에 맛을 보는 경우도 있다. “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지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시편 34:8) 단지 그 맛에만 길들여져서 다른 맛은 모두 배척하는 지나침은 자제해야 할 일이다아울러 를 제대로 알고 를 믿는 계기도 되리라 믿는다그 를 제대로 알고 나면 를 믿게 될지 어떨지에 대해선 말을 아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