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으로 본 세계사 - 솔론의 개혁에서 글로벌 경제 위기까지
천위루.양천 지음, 하진이 옮김 / 시그마북스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인간의 원초적인 욕망인 재물의 역사

 

1. 그리스 신화를 보면 제우스의 집 앞에 커다란 통이 두 개 놓여있다. 각각 행복과 불행이 들어 있었다. 제우스는 두 개의 통을 한 곳에 섞어 인간 세상에 보냈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한쪽 발은 행복에 겨워하고 한쪽 발은 불행에 잠겨 철벅거리고 걷고 있는 모습에 대한 설명이 될법하다.

 

2. ‘금융’이라는 타이틀을 통해 보는 역사, 세계사는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욕구인 재물욕에 대한 관점을 바라보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재물을 취하는 방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돌아보면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방향이 짐작 될 것이다.

 

3. 책에 펼쳐지는 내용은 방대하다. 총 13장으로 되어있다. ‘돈의 본성은 본래 선하다’는 글제목이 붙은 그리스-로마 시대 스토리부터 미국의 글로벌 금융위기의 주범 서브프라임까지 이어진다.

 

4. “그리스 문명을 통해 우리는 금융의 본질을 발견 할 수 있다. 즉 부자에게는 더 많은 돈을 벌게 해주고, 가난한 사람에게는 그나마 있는 돈도 빼앗아 가는 것이다.”  빈익빈 부익부의 역사와 전통은 오래 되었다.

 

5. 서유럽 게르만족이 화폐를 사라지게 한 것은 흥미롭다. 화폐의 가장 큰 기능이 교역의 지불수단인데 게르만족이 로마 제국의 식민지를 야금야금 먹어치우면서 그들 부족국가들은 자체적인 실물거래가 형성되었다.

 

6. ‘템플기사단’이 숨긴 보물이 있을까? 그럼 어디에서 잠자고 있을까? 제1세대 금융영웅으로도 부르는 ‘템플기사단’. 다빈치코드가 이 때 만들어졌다. 역대 문학가들이 즐겨 쓰는 소재가 바로 ‘템플기사단’.

 

 

 

 

 

7. ‘면죄부’에 얽힌 이야기는 프로테스탄트가 일어선 사실보다 더 복잡 미묘한 배경이 있다. “은화가 땡그랑 소리를 내며 돈 통에 들어가는 순간 지옥에 갇힌 영혼이 천국으로 승천 할 수 있다.” 이렇게 노골적으로 면죄부를 상품화시킨 교황 알렉산더 6세(1492~1503 재임)는 천국에 갔을까? 은화가 떨어질 때마다 지옥에 더욱 가까이 갔을 것이라는 생각도 든다.

 

8. 알렉산더 해밀턴은 아메리카 합중국 성립의 개국공신이자, 미국 금융사상 이정표적인 인물이다. ‘미국 금융의 아버지’라는 칭송 받고 있다. 그가 이룬 일은 크게 두 가지다. 중앙은행의 설립과 지폐 발행이다.

 

9. 화폐는 금이다? : 경제학 이론으론 금본위제에서 금 보유량에 따라 국제환율이 조정된다. 수입이 많을 경우 국내 금 보유량이 줄어들어 화폐의 금 함량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환율이 내려가고 대외무역이 균형을 찾게 된다. 이론적으론 흠잡을 데 없지만 약자에게만 적용되는 이론일 뿐이다.

 

10. 냉전 상태는 다른 말로 금융전쟁이다 : 미국의 국무장관 조지 마셜이 하버드 대학에서 미국에게 유럽 경제를 부흥시킬 책임이 있다며 전 세계를 향해 ‘유럽 부흥계획’을 제창했다. 이른바 마셜 플랜이다. “우리는 다른 이를 도와야 한다. 경제가 정체된 세계에선 번영을 공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경제적 위기가 닥치면 그곳이 어디든 간에 폭력정치가 자생하기 때문이다. 우리 공동의 적에게 대항하다 다친 친구와 동맹자에게 구권의 손길을 내밀어 돕는 것이야말로 옳은 행동이다.” 여기서 공동의 적은 소련이었다.

 

11.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주택담보 대출상품인 서브프라임은 미국 역사상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금융의 불효자였다. 대기업들이 줄지어 파산했다. “금융 위기는 영원히 피할 수 없으며 과거에도 현재에도 미래에도 존재할 것이다.”

 

12. 저자는 금융학 교수이자 중국 런민은행 화폐정책 위원회 위원으로 소개된다. 공저자인 양천 역시 금융학 박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