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글쓰기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이 책을 읽기 전에 몇 가지 오해가 있었다. 우선 대통령의 연설은 비서들이 써주는 연설문을 그저 읽기만 하는 줄 알았다. 실내가 아닌 열린 공간에서 연설문을 읽다가 바람에 날아가 버리면 연설도 함께 날아가는 줄 알았다. 두 번째로 저자는 두 분의 대통령을 스피치 라이터(연설 비서관)로 모시면서 에피소드 중심의 가벼운 이야기 거리로만 쓴 줄 알았다.

 

2. 그러나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 ‘이런, 대단한 책인데!’ 하는 느낌을 감출 수가 없다. 리뷰를 쓰면서 이런 표현을 많이 자제하는 편인 내겐 흔치 않은 일이다. 저자의 아내가 책을 교정해주고 나서 한 마디 했다고 한다. ‘이 책은 누구나 꼭 읽어봐야 할 책이야!’ 아내가 책 쓰느라 고생한 남편을 위로하고 모처럼 기를 살려주려 한 말인 줄 알았더니 깊이 동감이 가는 말이다.

 

3. 첫 장을 들추면 저자가 청와대로 출근하게 된 배경부터 시작된다. 2000년 6월 13일 TV에서 김대중 대통령이 연설을 하고 있었다. 역사적인 6.15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서울을 출발하면서 인사말을 하는 장면이었다. “민족을 사랑하는 뜨거운 가슴과 현실을 직시하는 차가운 머리를 가지고 방문길에 오르고자 합니다.” 다시 보니 뜨거운 가슴, 차가운 머리라는 표현이 참 좋다.

 

4. TV 시청을 함께 하던 저자가 아내에게 한마디 했다. “대통령 연설문을 어떤 사람들이 쓰나? 나도 저런 연설문 쓸 수 있는데...” 그저 마음뿐이었다. 그런 자리가 어디 이력서 낸다고 될 일인가? 그런데 믿기지 않는 일이 일어났다. 일주일 후 청와대에서 전화가 결려왔다. 그렇게 김대중 대통령의 연설비서실에 합류했다. 그래서 우리 삶의 미래는 미스터리라는 말이 맞다.

 

5. 청와대 입성 후 그야말로 저자에겐 피가 마르고 뼈가 녹아내리는 시간들이 이어진다. 물론 그만큼 긍지와 보람의 시간이었다고도 한다. 책의 제목은 『대통령의 글쓰기』이다. 저자는 의도한 바가 아니었겠지만, 두 가지 함축된 의미가 보인다. 대통령이 쓰는 글과 대통령을 위한 글쓰기이다. 공통점은 ‘대통령’과 ‘글’이다.

 

6. 대기업의 CEO나 조직의 단체장 또는 비중 있는 군대지휘관의 한 마디 한 마디는 그 조직이 나아갈 바를 제시해주는 강력한 메시지역할을 한다. 하물며 한국가의 대통령이 하는 말은 농담조차도 예사롭게 넘겨지지 않는다. 특히 국제간의 미묘한 이해관계가 얽힌 경우에 하게되는 대통령의 연설문의 단어 하나하나가 매우 큰 비중을 갖기 때문이다.

 

7. “이 책은 글쓰기에 관한 책이다. 문학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가 있다면 후자에 가깝다. 그중에서도 연설문이 주재료다. 더 정확하게는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의 연설문이다. 연설문은 말과 글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말을 하기 위해 준비한 글이 연설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은 말하는 방식과 글쓰기 방법을 아우르고 있다. 특히 토씨 하나도 허투루 하지 않는 대통령 연설문 특성상 전략적으로 말하고, 글을 쓰는 노하우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마흔 가지 꼭지마다 두 대통령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힘으로써 독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글쓰기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이 책의 성격을 잘 표현해주는 저자의 말이다.

 

8. 생각은 말과 글로 표현된다. 말과 글은 생각에서 나온다. 덕이 되는 말과 글은 좋은 생각이 갑이다. 이것은 주변에 선한 영향력을 주는 향기로운 삶으로 나타난다. 저자도 언급했지만 좋은 생각은 독서가 도와준다. 아울러 좀 더 영양가 있는 말과 글에 욕심이 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