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그 본성과 세계에서의 위치 (천줄읽기) 지만지 고전선집 608
아르놀트 겔렌 지음, 이을상 옮김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 살아있는 생명체가 발생시키는 미세한 전기장을 감지하는 능력을 먹이사냥과 바다 항해에 활용하는 귀상어는 과연 어떻게 이런 능력을 발휘하는 걸까? 열을 볼 수 있는 능력으로 어둠 속에서도 위협적인 사냥꾼인 비단구렁이와 살무사는 어떻게 이런 육감이 작용하는 걸까? 향유고래는 동물의 왕국에서 가장 큰 소리를 내며 깊은 바다에서 오징어를 사냥하는데 소리로 어떻게 시각 능력을 발휘하는 걸까?

 

2. 인간의 존재감을 설명하기 전에 동물의 초감각을 먼저 생각해봤다. 인간이 위와 같은 능력을 갖고 있다면, 아마도 초인이라 부를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겔렌은 철학의 긍극적 목적을 인간학적 원리에 입각해 근대 서구 기술 문명의 본성을 해명하는 것에 두고 있다.

 

3. 따라서 저자는 인간학적 원리의 정립에 초점을 맞춘다. 인간학적 원리의 정립을 위해 저자는 먼저 인간과 동물의 생물학적인 근본 차이를 규명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동물은 그 종(種)에 특수화된 기관이 발달되어왔다. 따라서 동물은 일정한 환경에 대한 자연적 적응이 언제나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스스로 형성되고 변화된다.

 

4. 그렇다면, 인간은 어떠한가. 사실 인간은 생존을 위한 모든 '기관적인 수단이 결여'된 상태이다. 자연을 지배하는 것같이 보이지만, 자연 앞에서 '생존'하기 위한 시스템이 매우 미약하다. 자연이 부여한 고유한 무기도 없고, 공격과 방어는 물론 도피를 위한 기관도 허약하다.

 

5. 그렇다면, 감각일까? 예지능력일까? 이러한 점이 동물들보다 뛰어나다고 볼 수 있을까? 헤르더는 이러한 점에서 인간은 '결핍 존재'라고 했다. 자연적 삶의 조건을 구성하는 유기적 기관을 갖추고 태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저자 겔렌은 이러한 테제를 이어받고 있다. 그 역시 인간에게는 동물이 자연 속에서 발전시켜 온 감각과 본능이 갖춰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인간을 '결핍 존재'로 규정한다.

 

6. 그렇다면 인간은 왜 아무런 기관적 장비도 갖추고 태어나지 못한 것일까? 그 이유에 대해 겔렌은 인간에게는 감각과 본능이 상실된 것이 아니라 '퇴화'되었다고 대답한다. 즉 그것은 유구한 진화사를 통해 동물이 자신의 합목적적 활동에 적합하게 기관을 특수화했듯이, 인간도 합목적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기관을 특수화해 온 결과, 본능이 퇴화되었다는 것이다. 겔렌이 아무래도 무리수를 드는 느낌이 드는 대목이다. 생물학적 차원에서 퇴화되는 것은 반대로 발달되는 기능이 따르기 마련인데, 그렇다면 발달된 부분은 무엇인가?

 

7. 겔렌은 이 점에 대해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인간은 자연적인 '무능력자'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지구 전역에 걸쳐 계속 번식하고 자연을 정복해 가는가? 그것은 바로 인간만이 미래를 예측할 수 있고, 계획된 공동 활동의 성과를 토대로 하여 살아가기 때문이다." 즉, 인간은 자연조건을 자의적으로 구성하고, 자연의 예측과 변경을 통해 생존을 위한 기술과 수단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활동이 자연적 활동과 구별되는 것이다. 이를 '문화'라고 부른다. 겔렌에 의하면 문화란 인간의 활동을 통해 변경시킨 야성적 조건들의 총체다.

 

8. 이 책을 읽다보면, 유사한 제목과 테제의 책이 오버랩된다. 막스 셸러의 [우주에서 인간의 위치 / 지만지,2012]이다. 두 책의 제목도 매우 흡사하다. 셸러와 겔렌의 공통점은 두 사람 다 독일 태생이라는 것이다. 셸러는 겔렌보다 꼭 30년 전에 태어났다. 셸러가 세상을 떠나기 한 해 전에 겔렌은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니까 셸러의 입장에서 겔렌은 아들뻘인 후학이다. 겔렌은 이 책의 테마를 셸러에게서 얻었다고 짐작된다.

 

9. 예상했던대로 겔렌은 이 책에서 셸러를 언급한다. 다짜고짜 겔렌은 셸러의 논리를 '선입견'이라고 부른다. 셸러가 살아 있으면 이를 어떻게 받아 들였을지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셸러는 '철학적 인간학'의 창시자로 기록된다. 칸트는 일찍이 철학의 근본 물음을 "인간이란 무엇인가"로 설정했지만, 셸러는 더 나아가 철학적 인간학이 종래의 '인간론'과는 분명히 다르다고 선을 긋고 있다.

 

10. 그렇다면 겔렌은 셸러에게 어떤 논리로 딴지를 거는 걸까? 셸러는 '지능'이 동물과 인간을 본질적으로 구별하는 징표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을 던지며 스스로 답한다. 셸러의 말이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새로운 원리는 모든 생명체 일반에 대립해 있는 원리이며,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모든 것의 바깥에 서 있는 원리인 정신이다. 정신의 본질은 실존적으로 풀려나 있음, 유기적인 것과의 의존성에서 분리되어 있음이다. 이러한 정신을 지닌 존재는 더 이상 충동에 얽매여 있지도 않고, 환경에 얽매여 있지도 않다. 정신을 지닌 존재는 환경으로부터 자유롭고, 세계 개방적이다."

 

11. 겔렌의 반론이다. "셸러의 학설 속에는 말하자면 본능, 습관, 실천적 지능, 인간적 지능이라는 하나의 단계적 도식이 들어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범하는 편견이다. 그 이유는 두 가지 가능성 때문이다. 그 하나는, 이미 동물도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능과 인간의 지능 사이에는 단지 점진적인 구별만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동물에서 인간에 이르는 연속적인 이행이 가능해지고, 인간은 동물적 '특성'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거나 정교화하고 복잡하게 만듦으로써 정의 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고전적인 계통발생론에 따른 것이다. 다른 하나는, 동물과 인간을 구별해주는 본질적으로 인간적인 것은, 단순히 지능이라는 특수한 소질 속에서 찾아 질 수 있는 '정신'이라는 어떤 특수한 성질이라는 것이다. 정신은 실천적 지능에 이르기까지 모든 선행적 성취에 대립한다. 그리하여 정신은 탈자연화되어 있다."

 

12. 이 책에서 겔렌이 펼치는 논지 속 부각되는 키워드 중 '부담 면제'에 시선이 머문다. 다시 동물과 인간을 대비할 수 밖에 없다. 동물은 비록 환경에 의존적이라 할지라도 환경에 의해 생존을 보호받고 있다. 이에 반해 어떤 보호막도 부여받지 못한 인간의 세계 개방성은 자연적 삶의 조건에서는 엄청난 삶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겔렌은 이러한 점이 '근원적으로' 인간이 짊어 질 수 밖에 없는 '부담'이라는 것이다. 내겐 두 사람의 논지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더 없는 '부담'으로 남는다. 두 사람의 책을 함께 읽으면 '우주에서, 세계에서 인간의 본성과 그 위치를 숙고해보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든다. 나는 좀 더 두 사람과 대화를 나눠봐야겠다. 따로 또 같이 불러서 이야기를 좀 더 들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