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의 선물 - 인생의 전환점에서 만난 필생의 가르침
에릭 시노웨이 & 메릴 미도우 지음, 김명철.유지연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죽음의 문턱까지 가 본 사람의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올 수 있다면 그 사람은 진정 행복한 삶을 살아온 것임에 틀림 없습니다.  "후회란 건 인생이 기대에 어긋나거나 열심히 시도해보지 못한 꿈이 있을 때만 하는거야. 헌데 난 내 뜻대로 살았고, 바라던 것보다 많은 일들을 이뤘잖아. 안 그래?"


이 책의 주인공이자 멘토인 하워드 스티븐슨 교수는 어느 날 교정을 걷다가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쓰러집니다. 기적적으로 깨어난 그는 놀란 마음을 추스리고 병문안을 온 제자에게 위와 같은 말을 합니다.  이 일을 계기로 그의 제자인 에릭 시노웨이는 그의 스승에게 삶의 지혜를 좀 더 배우고자 함께 시간을 갖습니다. 하워드의 병실과 서재, 하버드 대학의 캠퍼스, 찰스 강변, 노천카페 등에서 때로는 산책길에 때로는 나란히 앉아서 또는 차와 식사를 나누면서 대화를 나눕니다. 이 책은 그 대화의 보고서입니다. 


"인생은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채우고 또 비우는 과정의 연속이다.

무엇을 채우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지며

무엇을 비우느냐에 따라 가치는 달라진다.

인생이란 그렇게 채우고 또 비우며 

자신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찾아가는 길이다.

그 길 위에서 맞닥뜨리는 수많은 선택과 도전 앞에서 

후회 없는 선택을 위한 지혜와 

그것을 실행 할 수 있는 용기를 잊지 않기를 바라며.."



'되고 싶은 나'를 향한 삶의 균형 잡기

살아가면서 균형감을 잃지 않는 것은 참으로 소중합니다. 그 균형감을 상실하면 몸과 마음이 무너지게 되지요. 나만 쓰러지는 것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도미노 현상을 불러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중심을 잘 잡아야 합니다. "균형 잡힌 시선을 지닌 자는 가장 매혹적인 걸음걸이로 자신의 생을 거닌다."  매혹적인 걸음걸이는 유혹적인 걸음걸이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걷는 나는 피곤 한 줄 모르고, 바라보는 이는 함께 에너지가 채워지는 모습이 연상됩니다. 리듬감과 경쾌함이 살아 있는 걸음걸이. 그 모습이 진정 아름다운 삶의 현장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워드 교수는 균형감이라는 단어를 정지된 명사가 아닌 역동적인 동사로 생각하라고 합니다. 서커스에서 어릿광대가 평균대 위를 걸어 다니며 달걀이니 테니스공이니 칼 같은 걸로 저글링하는 이미지를 떠올리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전술적인 선택을 제대로 하려면 주변이 아무리 산만하고 상황이 시시때때 바뀌더라도 날카로운 균형감각을 유지한 채 용기 있게 한발 한발 내디뎌야 한다는 이야깁니다. 그것도 계속해서 저글링을 하면서 말입니다. 일생에 걸친 도전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고 합니다. 걸음걸이와 호흡도 중요하겠지요. 


19세기 화가 드가는 성공을 '공황상태'로 비유했습니다. 기차처럼 열심히 앞만 보고 달려갔는데, 레일이 끊기거나, 다리가 유실 된 코 앞에서 아차 싶어 브레이크를 밟아보지만 그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지요.  하워드는 우리의 삶에서 완전한 만족을 추구하는 것에서 한 발 비껴나길 원하고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면 그것으로 족하다는 이야깁니다.


"우리를 살아가게 하는 건 가득 찬 항아리가 아니라 그 속의 비어 있는 여백이라고 봐야 해. 그래서 훌륭한 건축가는 여백에 대한 계획부터 세우고, 작곡가는 쉼표의 쓰임새를 먼저 고민하는 거야."


하워드 교수 역시 항상 100퍼센트 행복할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다만 매일매일 어떤 부분에서만큼은 행복하길 바랄 뿐이라고 합니다. 그 외에도 그는 제자와의 대화에서 '지금 걸려 넘어진 그 자리가 당신의 전환점이다', '인생은 어려울 때가 제대로 가고 있는 것이다.', '당신에게 맞지 않는 신발은 과감히 버려라', '그대는 그대의 삶, 그대로를 살아라'등의 조언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는 책 출간을 앞두고 제자와의 마지막 대화를  이렇게 마무리 합니다.

"어쨌건 나는 전진하는 삶을 계속 이어갈 것이고, 아직 완성되지 않는 나만의 비전을 위해 늘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갈 걸세. 그게 내가 원하는 삶이고, 또 가장 만족스러운 삶이겠지."


'삶의 물결, 새로운 물결'이라는 부분이 내게 남겨진 과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