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의 비밀
매들린 내시 지음, 이면우 외 옮김 / 중심 / 2003년 9월
평점 :
품절


엘니뇨에 관한 기록은 고대 이집트에서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나일강의 부침에 맞춰 삶의 숨결이 흘렀던 곳이었기 때문입니다. 홍수는 물의 공급원이 될 뿐만 아니라 농사의 중요한 토양이 되는 점토의 공급원으로도 중요합니다.

 

엘니뇨의 과거를 돌아보는 것은 조명이 희미한 회랑 안을 살펴보는 것과 같다는 표현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록되어 있는 부분이 많습니다.  16세기의 시인 구루 나낙은 다음과 같은 詩를 남겼습니다.

 

오, 내 가슴이여, 기뻐하라! '사완'이다.

비구름과 비의 계절이 왔도다.

 

암갈색 바위가 원형 극장처럼 둘러쳐진 한적한 페루의 항구 도시 파이타는 엘니뇨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엘니뇨'라는 말을 짓는데 파이타 어부들의 역할이 개입되어 있다고 합니다. 민간 전승에 의하면 크리스마스 무렵 근해에 출현한 따뜻한 해류를 맨 처음 발견한 사람은 파이타 어부들이라고 합니다. 그들은 그것을 '아기 예수 해류'라고 불렀습니다. 엘니뇨 해류는 해마다 출현했으며 대개 12월에 나타나서 큰 소란 없이 3월까지 지속됩니다. 가끔 엘니뇨는 제멋대로의 성격을 나타내곤 했지요. 사막에 호수가 생기고, 개울이 넘쳐 강이 되고, 강물이 넘쳐 내륙의 바다로 흘러 들어갑니다. 사막도시와 마을은 물에 잠기고 맙니다.

 

30년 뒤인 1925년 또 하나의 강력한 엘니뇨가 찾아오게 됩니다. 그 세력이 얼마나 강했던지 에콰도르에만 사는 특유의 동물을 페루 해안지대의 사막으로 옮겨 놓기도 했습니다. 그 가운데는 살아있는 악어도 있었지요. 독사와 아메비아처럼 생긴 도마뱀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엘니뇨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오늘날 과학자들이 이해하는 엘니뇨는 지구의 공전에 의해 생기는 게절적 기후 변화 다음으로 지구의 기후 패턴에 월간 단위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자연 발생적 주기의 한 측면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훨씬 뒤까지도 규명되지 않았지만 그 주기의 다른 한 측면은 '라니냐'이며, '라니냐'는 스페인어로 '여자 아이'를 가리킵니다.

 

가장 눈에 띄는 엘니뇨의 특징은 날자변경선에서 남아메리카 해안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난수대의 형성입니다. 반면 라니냐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같은 해역에 이례적으로 차가운 물을 유입시킵니다. 

 

이 책은 [타임]지의 선임 과학 기자인 매들린 내시가 많은 조사와 연구 끝에 내놓은 역작입니다. 엘니뇨의 기원에서 부터 예보하는 과정, 엘니뇨가 방출하는 세균, 숲을 태우기까지 하는 엘니뇨의 생태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