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작품이나 예술 현상이 눈앞을 스쳐 지나갔다고 해서 모두 결과로 남는 것은 아니다. 오로지 마음과 부딪혔을 때라야 남을 수 있다. 모든 예술의 문을 다 두드릴 수는 없지만 오늘도, 여기서 나는 홀로 문을 두드린다.”
문학도 마찬가지지만, 회화 또는 설치미술같은 경우 일단 작가의 손을 떠난 후엔 감상자에게 넘어갑니다. 작품에 대한 감상은 오롯이 그것을 들여다보는 사람의 몫입니다. 작가 어떤 작품을 놓고 '이 작품은 이러이러한 의도로 창작되었으니 이 범주내에서만 받아들이시오'하고 요구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예술평론가는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을 관람자 또는 감상자에게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해줍니다. 작가가 그의 작품을 놓고 사족을 단다는 자체가 불합리하기 때문에 평론가의 평론은 작품세계를 더욱 깊이 있게 느낄 수 있게 해주는 모티브가 되고 있습니다.
예술은 그 시대의 트렌드가 반영됩니다. 시대적 사조가 태어나는 계기가 됩니다. 그 예술의 마당을 중국이라는 나라의 시대적 상황에 국한시켜 봅니다. 중국은 문화혁명기간 동안 정치적, 사회적 급변을 겪은 후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초까지 중국 예술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중국'속에 은폐되어 있던 '표현의 욕망'이 개혁개방이후 서서히 터져나오게 됩니다. 1980년대의 정치적 개혁개방은 당시 중국 사회 최대의 주제였고, 중국의 예술 역시 이들 주제를 둘러싸고 전개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예술연구원의 랑사오쥔은 이 책을 놓고 '문화대혁명 이래 가정 영향력 있는 미술비평집'이라고 평했습니다. 저자 인지난의 부친 윤재원 선생은 경남 통영 출신의 음악가였다고 합니다. 어려서 중국으로 건너가 동북의용군에 가담했고, 모친 김애현 여사는 평안북도 용천군 출신으로 어린 시절 부모를 따라 중국의 선양, 스좌장, 베이징 등을 전전하다가 1945년 광복이 되면서 평양으로 귀화했다고 합니다. 저자의 부모는 남북한의 결합이라고 표현됩니다. 음악을 하는 남한 출신의 윤재원 선생과 북한 출신의 사학도 김애현 여사사 평양에서 첫 사랑의 연을 맺게됩니다. 저자는 자신의 학구적 태도나 예술적 감성을 부모로부터 전승받았다고 믿습니다.
저자는 중국 단동에서 고교 생활을 마치고, 우수한 성적으로 베이징 대학 역사과 고고학 전공에 입학하게 됩니다. 베이징 대학에 재학하던 20대, 저자는 치열한 독서와 엄격한 감정(鑑定)실습의 과정을 겪게 됩니다. 재학 중에 저자가 발표한 고고학 관련의 몇몇 논문들은 발표될 때마다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킵니다. 그 누구도 생각지 못한 깊고 철저한 관점과 논지는 '전인미답의 성과'라는 극찬을 받습니다.
이 책은 저자에게 중국에서 출판된 첫 번째 저술입니다. 미술평론서이기도 한 이 책은 중국 현대 예술사에서 거대한 변화가 발생했던 1985년에서 1993년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 스스로 중국 예술 평론서 출판사상 최다 쇄수(刷數)라는 자랑스러운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출간후 전국 각지에서 무수한 해적 출판이 출현할 정도로 대단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정치적 예술만이 지배하던 자리에 이 책은 중국에 "자유로운 글쓰기의 전형"이라는 칭호가 붙기도 했다는군요.
"예술은 인생을 뒤섞어 혼합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허장 성쇄의 거대 관념에 사람들이 지쳐있을 때 생명에 대한 관찰을 중시하는 '근거리' 경향이 출현했다. 이런 경향은 지나치게 평화롭고 고요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소리 없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서 '근거리'에 대한 궁금점이 생깁니다. 저자가 어떤 의도에서 '근거리'라는 호칭을 붙였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근거리'와 다르게 '신생대'라는 표현도 눈에 띕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 두 의미의 개념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의 평론에서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신생대 예술인들은 대부분 베이징에 집중되어 있다. 1960년대 출생한 이들은 홍위병과 지식 청년이라는 역사 기억 속의 트리우마가 없기 때문에 1950년대에 출생한 사람들과의 사이에는 확연한 정신적 단층이 존재한다. 그들은 대체로 집단의식이 약하고 상호 인정할 만한 통일된 인생 원칙이나 예술적 주장이 없다. 신생대가 연령상 개념이라면 근거리는 예술 상태를 염두에 둔 개념이다.(....) 이른바 근거리라는 것은 예술과 관념, 예술과 생활이라는 삼자 간의 정신적 거리를 좁히자는 것이었다. 생활과 관념, 이 두 개념은 줄곧 중국 예술가들 생각의 양극단이었다."
봇물처럼 번진 표현의 자유 못지않게 그 작품들을 대하는 중국 인민의 정서를 들여다보는 흥미로운 대목이 눈에 띕니다. 저자는 상당한 지면을 할애해서 이 부분에 대한 깊은 평론을 펼치고 있습니다. 1989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유화인체예술전'이 그것입니다. 예술계를 통해 크나큰 사회적 충격을 준 한 해 였다고 합니다. 이 전시회는 지금까지 중국에 존재했던 그 어떤 것보다 많은 '최고'들을 기록했다고 하는군요. 최대 규모, 최고강의 입장료와 최고의 판매 수익, 최다 관람객 수와 최다 화보 판매량...이 전시회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유화인체예술'이라고 표현된 '누드화'입니다. 누드의 모델들이 전시회측에 소송을 할 정도로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한 이 전시회. 전시회에 작품을 출품했던 한 화가는 이러한 사태를 두고 이런 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어떤 관객은 그림을 보러왔고 어떤 관객은 벗은 엉덩이를 보러왔다." 관객 중 한 노인은 "2위안으로 벗은 몸뚱이를 볼 수 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합니다.
"정말이지 중국의 성 문화가 독립하지 못하고 여전히 변태와 기형의 상태에 처해 있다면, 중국의 문화와 예술은 지속적으로 고통과 조롱을 당할 것이며, 중국 민중도 마찬가지로 조롱과 고통을 받을 것이다."
책의 내용도 충실하지만, 책이 참 잘 만들어졌습니다. 140여 장에 달하는 작가와 작품, 그리고 전시회 상황과 관련된 사진이 매우 훌륭한 인쇄로 담겨져 있습니다. 당장은 눈이 즐겁습니다. 책말미엔 중국 당대 예술가 60명에 대한 간단한 소개글이 그들의 사진과 함께 실려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중국의 1980~90년대를 관통하는 대표적 예술가들인 만큼, 이들을 알면 중국 현대 예술 전체를 알 수 있게 해준다는 점입니다. 회화를 전공하는 분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리라 생각이 듭니다. 물론 중간에 언급한대로 중국에서'자유로운 글쓰기의 전형'이라는 평가를 받은 만큼 저자의 글들이 주는 깊은 사색과 고독의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홀로 두드린 문'을 열고 '함께 들어가 보는 계기'를 마련해보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