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그 후 - 10년간 1,300명의 죽음체험자를 연구한 최초의 死後生 보고서
제프리 롱 지음, 한상석 옮김 / 에이미팩토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에는 삶 뒤에 죽음을 생각하는 사람과 죽음 뒤의 삶을 생각하는 두 부류의 사람이 있다고 한다. 아무래도 죽음 뒤의 삶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종교를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지금까지 죽었다 다시 살아난 사람들의 이야기 또는 영혼세계, 사후세계에 관련된 서적은 대체적으로 종교적 관점에서 종교가에 의해 쓰인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의 특징은 종양학 전문의인 저자가 보다 실제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구 및 조사한 내용이란 것이다.
누구나 한 번은 가졌을 법한 궁금증들. ‘심장이 멈추고 뇌가 작동을 그만 둔 후에 우리의 의식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죽음은 과연 모든 것의 끝일까?’  ‘우리가 눈으로 보고 경험하는 이 세계 이외에 다른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등 영혼의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저자 또한 갖고 있었다.

저자는 10여 년 전, 임사체험연구재단(Near Death Research Foundation)을 설립하고 전 세계 1,300여 명의 죽음체험자들을 대상으로 방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아직은 임사체험에 대해 널리 통용되는 객관적 규정을 없다. 임사체험 연구재단에서는 임사체험의 2가지 구성요소인 ‘임사(near-death)’와 ‘체험(experience)’을 각각 정의함으로써, 그 규정을 시도했다.

우선, ‘임사’란 특정인이 육체적으로 위태로운 상태가 되어 여건이 나아지지 않아 죽음에 이르게 되는 순간을 가리킨다. 실제 ‘죽음 체험자’들은 대개 의식이 없고 심장박동이나 호흡이 정지해, 의학적으로 분명히 사망한 상태였다. ‘체험’은 그들이 임사상태일 때 일어난 것으로 ‘한정’했다. 또한 ‘체험’은 생생하게 기억나는 것으로 한정했으며, 단편적이고 혼란스러운 기억들은 제외했다.

- 임사체험자들은 무엇을 보았나?
아주 오래전, 약 30년 전쯤?  내 기억 속 한 에피소드가 떠오른다. 인간에게 영혼이 있다면, 그 영혼의 무게가 얼마나 될까?  어느 연구 단체에서 실험을 했다. 임종을 앞둔 환자들을 체중계가 부착된 침대에 뉘어 놓았다. 그리고 숨을 거두는 순간 체중의 변화를 기록했다. 그때 평균치로 산출된 영혼의 무게가 280g 정도로 기억하고 있다.
임사체험자들 대부분은 ‘유체이탈’을 경험했다. 수술 중 또는 사고로 인해 의학적으로 숨을 거둔 상태에서 체험자의 영혼은 몸에서 빠져나가 본인의 몸과 주변의 의료진과 가족들을 내려다본다. 더 나아가 간호사 스테이션이나 이웃까지 마실을 간다. 영혼이 빠져나온 상태에서 자기 몸과 그 주변을 360도 상태에서 보았다는 체험자도 있다.

터널로 들어가거나 터널을 통과한다. 그것도 매우 빠르게 지나간다. 그리고는 신비롭거나 눈부신 빛과 만난다. 죽은 가족, 친지, 친구들과 재회한다. 생전에 한 번도 만난 일이 없던 사람이 반갑게 맞이해준 일이 있은 후, 뒤늦게 가족 앨범에서 친지라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 무엇을 느끼는가?
모든 감각이 매우 예민하게 고조됨. 감정이나 느낌이 매우 격렬하고 대체로 긍정적인 마음. 시공간의 개념이 달라진 느낌. 주마등처럼 삶을 회고. 비현실적인 영역을 접함 등

- 다시 살아날 때 느낌은 ?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본인의 몸으로 되돌아온다. 영적세계에 남을 것인가? 몸으로 돌아 갈 것인가? 를 묻는 경우에 대부분 그 답변을 주저하게 된다. 그 이유는 그 빛의 세계, 영적 세계가 너무 좋기 때문이다. 평안함이 그 사람을 에워싸고 있다. 가족 또는 모르고 지냈던 영들이나 친지관계였던 영. 천사라 이름 붙일 그런 존재 등이 “아직은 때가 아니다!”라며 등을 떠밀어서 다시 본인의 몸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공통된 점은 본인의 몸으로 다시 들어갈 때 결코 좋은 기분, 기쁜 마음이 아니라는 것이다.
몸은 영이 거하는 집이라는 표현이 있다. 마치 내 집을 떠나 쾌적하고 평안한 곳에서 안식을 취한 후 답답하기 짝이 없는 옛 거처로 돌아갈 때 느끼는 그런 기분으로 이해된다.

저자는 연구를 통해, 임사체험이란 현재 삶의 ‘출구’이자 다음 삶의 ‘입구’라고 확신한다. 어떤 체험자는 이렇게 증언한다. “나는 수정(crystal)처럼 영롱한 그 빛을 보았다. 그리고 죽음 이후의 삶, 현재의 삶 이후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압도 되었다. 죽음이 무엇이든, 그것이 두렵지 않게 된 것이 정말 좋다.”

죽음 체험자들이 만난 사람들 중 누군지 알 수 없는 존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미 이전에 죽은 사람들이었다. 임상심리학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꿈이나 환각상태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생존해 있는 이들이다. 이것은 임사체험을 꿈이나 환각과 구별 짓게 하며, 임사체험의 사실성을 더욱 뒷받침 한다고 한다.

재단의 연구결과, 죽음체험은 매우 강렬하며 놀라운 것이어서 그 체험이 끝난 후에도 체험자의 삶에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일관된 변화를 가져온다. 공통적인 현상은 죽음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줄어들며,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믿음이 커지는 것이다. 체험자들은 대부분 이전보다 사람들과의 관계에 더 집중하고 배려를 잘한다.
죽음의 손길이 스친 후에, 다른 사람들을 돕거나 치료하는 직업을 구한 경우도 발견됐다. 주변 사람들의 증인을 통해서 확인한 부분이지만, 때로는 180도 변해서 깜짝 놀랐다는 경우도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더 인간미가 넘치는 사람이 되었다는 의미다.

일상에서 영성을 체험하려면, 우리는 ‘인간의 몸’을 잠시 입고 있는 영적인 존재라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바바라 드 엔젤리스 (Barbara De Angelis)

노벨상을 받은 존 에클스 경 (Sir John Eccles)은 의식을 연구하는 신경과학자였다. 그는 의식이 실제로 뇌와 떨어져서도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 했다. 에클스 경은 이렇게 말했다.
“과학적 환원주의로 인해, 인간의 신비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었다고 나는 확신한다. 과학적 환원주의란, 궁극적으로는 정신세계의 모든 것을 뉴런(neuron)활동만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물질주의를 기치로 한다. 그러나 그런 믿음은 오히려 미신으로 분류되어야 한다. 우리는 ‘물질세계에 존재하는 몸과 뇌를 가진 물질적 존재’인 동시에 ‘영적세계에 존재하는 영혼을 지닌 영적존재’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이 연구보고에 대한 회의론자들의 반응을 본다.
회의론자들은 특히 삶을 회고하는 체험이 임사체험이 아니라는 반론을 내놓았다.
1. 삶을 회고하는 체험은 심리적인 방어기제일 뿐이다.
2. 삶을 회고하는 체험은 죽어가는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부분’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단락반응(Short Circuit)의 결과다.

저자는 위의 두 가지 회의적 반응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론을 편다. 임사체험에 대한 대표적인 회의론자인 수잔 블랙모어(Susan Blackmore)박사는 삶을 회고하는 체험을 생명이 위험한 순간에 나타나는 심리적인 방어기제로 보았는데, 이들 방어 기제에는 ..‘이전에 즐거운 기억들로 퇴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설명은 그럴 듯해 보인다. 그러나 임사체험에서 ‘즐겁지 않은’ 기억들을 만나는 부분에 달하면 그렇지 못하다. 만일 삶을 회고하는 체험이 일종의 심리적 도피라면, ‘즐겁지 않은’ 내용이 등장할 이유가 없다.

블랙모어 박사를 비롯하여 회의론자들은 발작들, 특히 측두엽 간질과 관련된 발작들이 회고 체험을 포함한 임사체험과 유사한 경험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러 증거들은 이런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신경학자 에른스튼 로딘(Ernst Rodin)박사는 이렇게 말했다.
‘30년간 전문직에 종사하면서 수많은 측두엽 발작 환자들을 보았지만, 발작에서 임사체험의 징후를 본 적이 없다.’

‘죽음은 어제의 우정과 내일의 재회를 연결하는 별빛 찬란한 다리이다.’  - 마크 트웨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