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 - 더 일찍 더 많이 현명해지기 위한 뇌과학의 탐구
딜립 제스테.스콧 라피 지음, 제효영 옮김 / 김영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Book Review

 

 

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 - 더 일찍 더 많이 현명해지기 위한 뇌과학의 탐구  

           _딜립 제스테, 스콧 라피 (지은이), 제효영 (옮긴이) 김영사(2025)

 


 

지혜는 외로움의 악영향을 없애는 해독제다. 이 책을 읽으면 지혜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지금보다 더 일찍 더 현명해지는 방법을 알게 되어 결과적으로 외로움에 덜 시달리는 법을 터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혜는 지능보다 훨씬 더 큰 것이라는 사실 또한 깨닫게 될 것이다.” (P. 17)

 

 

지혜가 외로움(이라 적고 우울증이라 읽는다)을 이겨낼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지혜는 생각의 다양성과 다변화로 이해한다. 이렇게도 생각해보고, 저렇게도 생각해보고, 뒤집어도 보고 하다보면 자살살자로 바뀌지 않을까? 기왕에 자살이야기가 나온 김에, 지식이 도와주는 것은 한 번에 성공하기’ ‘그 순간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법등이 아닐까? 최근 외로움(외로움의 얼굴도 다양하지만), 우울증으로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서 적어봤다. 지식과 지혜는 엄연히 다르다.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 같은 사람에게 아는 게 많은 사람이라고 하지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하지 않는다.

 

 

전문가 2인에 의해 쓰인 이 책 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지혜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지혜의 구성요소’, ‘실용적, 사회적 지혜를 강화하는 법으로 마무리된다. “지혜는 지능과 다르다. 지혜가 훨씬 더 크다.” 지혜가 더 크다는 말을 인간이 살아가는 데 지식보다 지혜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이해한다. 아울러 인간의 의식과 스트레스, 회복력에 생물학적 기반이 있듯이, 지혜 또한 마찬가지라는 점을 주목한다. 이 부분이 이 책의 골자이다. 지혜도 인체의 다른 모든 생물학적 기능처럼 현대 과학과 의학의 실증적 방법들로 연구하고, 측정하고, 변화시키고,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지행동학적 관점에서 볼 때, 행동과 환경은 개개인의 생물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고, 생물학적 특성은 행동에 영향을 준다. 행동과 환경의 변화로, 또는 생물학적, 기술적 개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지혜를 키울 수 있고 더 현명해진다면 이 또한 멋지지 아니한가? 인간의 뇌와 마음, 행동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소개된다. 그 중 새삼스러운 이야기는 아니지만, 독서가 공감력을 키운다는 부분에 마음이 머물렀다. ‘공감력이것 매우 중요하다. 사이코패스한테 제일 부족한 것이 공감력 아닌가? 책 중에서도 소설을 자주 많이 읽는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더 잘 이해한다는 것은 명확히 입증된 사실이라고 한다(소설을 더 자주 많이 읽어야겠다). 아울러 좋은 어휘, 다양한 어휘도 공감능력을 강화한다고 하는데, 이 또한 독서가 답이 아닌가?

 

 

지혜를 키우는 최신 기술로 넘어가 본다. 영화 리미트리스에서처럼 알약하나 먹고 완전 똑똑해지고, 신체기능도 헐크처럼 강해지는 뭐가 있을까? 지은이는 약리학(약물)과 기술(전자기기, 인공지능)의 형태로 제공되는 외적 도움으로도 지혜를 강화할 수 있을지 알아본다. 결론은 아직 아니라고 한다. 미래에도 약이 개발된다면 효과보다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공감한다. 인공기술적인 면에서도 현재까지 인간의 지능이나 지혜를 향상하는 효과가 검증된 기술은 아직 없다고 한다. 지은이는 글을 이렇게 마무리한다. “먼저 우리 개개인이 더 현명해지자. 현명한 사람이 늘어나면 우리 사회도 더욱 현명해질 것이다.” 현명한 사람은 최소한 나와 남을 해치지 않을 것이다. 대형사고도 안 칠 것이다. 그렇게 믿고 싶다.

 

 

 

#북리뷰 #우리가지혜라고부르는것의비밀

#딜립제스테 #스콧라피 #제효영

#김영사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