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Book

 

 

민주주의의 마법에서 깨어나라

_존 던 / 레디셋고 (2015)

 

 

민주주의의 정치적 힘은 허황되지도 부적절하지도 않다. 하지만 그 힘은 권위를 근거로 하여 세력이 미미한 다른 경쟁 상대와 대적하기에는 제한적이고 비판적인 힘이다. 그 힘은 판단이나 선택을 해야 할 때, 혹은 그 판단과 선택을 변호해야 할 경우 도움이 되는 인지적 힘이 아니다. 한동안 우리의 집단적 판단이나 선택은 그리 훌륭하지 못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기 전까지는 우리의 판단이나 선택이 훨씬 나아질 것 같지 않다.”

 

 

 

어지럽다 못해 지극히 염려스러운 현재 상황이 이 책을 소환했다(二重駐冊 중이었던 책 뒷 칸에서 꺼냈다). 민주주의는 살아있는가? 민주주의의 힘의 주체는 민중에서 나온다고 알고 있는데, 그 민중은 과연 건강한가? 앞에서 뛰니까 얼떨결에 같이 몰려서 뛰어가다 절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저자 존 던 교수는 영국의 저명한 역사, 정치학자이다. 예일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인 책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민주주의를 해부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 살펴본다. 저자는 민주주의가 낳은 결과 중에는 아주 좋은 부분도 있었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나쁜 결과는 민주주의의 용어나 개념을 의도적으로 오용하거나 민주주의의 의미를 잘못 이해해서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다.

 

 

책은 민주주의의 위력을 진단하다’, ‘민주주의의 부상(浮上)’, ‘방향을 잃은 민주주의’, ‘자세 바로 잡기 : 숙명, 선택, 그리고 이해등으로 편집되었다. 그렇다면 책 제목 그대로(원제 : Breaking Democracy's Spell) 민주주의의 마법에서 깨어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는 우리가 민주주의를 매우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민주주의를 보다 명확하게 바라보고, 자축하지 않는 태도로 민주주의를 관찰하며, 민주주의의 실제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민주주의가 우리의 정치적 목적을 실현함에 있어 가지는 한계를 직시하자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정치를 보고 느끼는 방식에서 민주주의가 큰 비중을 차지하도록 만든 역사적 과정을 받아들이고, 그 과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오늘의책 #민주주의의마법에서깨어나라 #존던

#레디셋고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