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다정다감(多情多感)

 

1.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하다.

2. 사물이나 사람에 대해 애틋한 정이 많고 느낌이 풍부함을 일컫는 성어.

 

() 많을 다

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포개지다

 

() 뜻 정

, , 본성(本性)

 

() 느낄 감

느끼다, 마음을 움직이다, 고맙게 여기다

 

.................................

 

다정다감은 문학에서 많이 등장하는 표현이다. 사물이나 사람을 바라보고 대하는 감정이 풍부한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고려 말의 문신 이조년(李兆年, 1269~1343)배꽃에 달이 밝게 비치고라는 뜻의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고라는 평시조 마지막 구절을 다정(多情)도 병이 되어 잠 못 들어 하노라라고 읊었다.

 

다정다감은 중국 역대 시인들의 시에 자주 등장했다. 대표적인 것이 송나라 채신(蔡伸, 1088~1156)의 사() 유초정에 등장하는 다음 대목이다.

 

정향(丁香) 잔가지에 맺힌 이슬

눈물처럼 떨어지네.

헤아릴 수 없는 내 수심

애간장은 토막이 나네.

이내 마음도 심약처럼 다정다감하나

저기 저 풍경과는 아무 상관 없을지니.

 

채신이 말한 심약(沈約, 441~513)은 남조 양나라의 문인으로 시단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채신과 같은 송나라 사람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7~1101)은 즉흥시 채상자(采桑子)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내 몸은 조정 밖에 있지만

나라 생각하는 다정다감을 여전히 잔뜩 품은 채

감로사(甘露寺) 다경루(多景樓)에 와 있네.

다행히 술을 얻어 지난 즐거움 회상하니

한 번 웃음에 다 날아가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Susn Matthiess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