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다다익선(多多益善)

 

1.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2. 오만한 성격을 비유하는 성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많을 다

많다, 넓다, 도량이 넓다, 겹치다, 포개지다

 

() 더할 익

더하다, 증가, 느는 일, 유익하다

 

() 착할 선

착하다, 착하고 정당하여 도덕적 기준에 맞는 것, 높다, 많다

 

.................................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는 뜻의 다다익선은 우선 그 뜻이 좋아 2천년 넘는 세월동안 수많은 사람이 인용했고,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렸다. 하지만 이 성어의 유래를 알고 나면 함부로 입에 올리기 어려울 것이다. 먼저 이 성어의 유래를 알아보자.

 

기원전 202, 5년에 걸친 초한쟁패 끝에 항우를 물리치고 서한을 건국한 유방은 천하를 통일한 후 편안한 시간에 명장 한신과 대화를 나누었다. 유방은 장수로서 한신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래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내가 군사를 거느린다면 얼마나 거느릴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진정한 명장 한신의 대답이 궁금했던 모양이다. 한신은 별생각 없이 폐하는 10만 명이면 충분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유방은 은근히 기분이 나빴다. 이번에는 다소 까칠하게 그러는 그대는 얼마나 거느릴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 대목에서 유방의 의도를 눈치 챘어야 하는데, 순진한 무장 한신은 이 질문에도 솔직히 대답했다.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라는 다다익선이 바로 이 대목에서 나온 것이다. 유방은 마음이 완전히 상해서 그렇게 잘난 그대가 왜 내 밑에 있는가라고 추궁했다.

 

한신은 그제야 아차 싶었다. 말을 잘못한 것이다. 유방의 기분을 풀어주려고 서둘러 둘러댄 말이 폐하는 장수를 잘 다루는 장수이십니다였다. 여기서 선장장(善將將)’이란 단어가 나왔고, 훗날 장수 위의 장수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 장상지장(將上之將)‘의 밑천이 되었다.

 

하지만 유방의 상해버린 마음을 돌릴 수 없었다. 얼마 뒤 한신은 모반죄를 뒤집어쓰고 삼족이 멸하는 처참한 형벌을 받아 죽었다. 한신은 토사구팽(兎死狗烹)’이란 사자성어를 남기면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다다익선뒤로 토사구팽의 그림자가 어른거렸던 것이다.

 

다다익선은 한신의 오만한 성격을 대변하는 사자성어다. 함부로 사용하면 곤란해질 수 있다. 고사를 잘 아는 사람이나 중국인들에게 섣불리 사용했다가는 건방지고 오만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로 탐득무염(貪 得無厭)’이 있다. ‘싫증도 내지 않고 욕심을 부린다는 뜻이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Ryunosuke Kiku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