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
데이비드 우튼 지음, 정태훈 옮김, 홍성욱 감수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 하여 / 데이비드 우튼 / 김영사


“이 책의 제목은 ‘과학의 발명’이다. 그것은 뒤돌아볼 때만 그 중요성이 충분히 파악될 수 있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저자 데이비든 우튼은 역사학자이다. 영국과 캐나다 대학들에서 역사와 정치를 가르쳤다. 책의 부제를 ‘다시 쓰는 과학의 역사’라고 붙일만하다. 그만큼 저자는 기존의 학설에 반기를 든다. 과학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학사학자들은 두 부류로 나뉜다. 역사적으로 ‘과학혁명’은 없다고 하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데이비드 우튼은 과학이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들었다고 한다. 이때가 곧 ‘과학혁명의 시대’라는 것이다. 근대과학이라고 이름붙일 만한 사건 중 튀코 브라헤가 신성, 새로운 별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이 그의 《광학, Opticks》을 출간했던 1704년에 발명되었다는 것이다. 1572년 이전에도 ‘과학’이라고 부를만한 지식체계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많은 분야는 아니고, 천문학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1572년 이후 최초의 과학으로 크게 변화 한 것도 천문학이 유일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1572년과 1704년 사이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방대한 자료와 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아울러 1572년 이전의 세계를 돌아보는 것도 소홀히 하지 않는다. 그리고 책 후반부엔 역사서술방법론과 철학을 다루고 있다.


아이작 뉴턴(1642~1727)이《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를 저술한 곳이기도 한 케임브리지 대학 일련의 역사학자들은 과학사는 과학자가 아닌 역사가에 의해 연구되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과학자와 역사학자들 사이 과학혁명을 바라보는 관점이 양분된다. 따라서 처음에는 두 개의 과학혁명이 존재했다. 뉴턴의 고전물리학으로 대표되는 것과 러더퍼드의 핵물리학으로 대표되는 것이 두 개의 큰 주제였다. 과학혁명이 존재했고 그것이 17세기에 일어난 사건이라는 생각은 아주 최근의 일이라고 한다. 사실 ‘혁명’은 정치적인 단어이다. 미국독립혁명, 프랑스혁명 등과는 다른 각도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저자는 ‘과학혁명’이라는 용어가 ‘산업혁명’이라는 용어 위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산업혁명과 마찬가지로 과학혁명도 역사상 여러 차례 일어났다는 것과 시기확정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과학혁명이라는 시간이 존재했다는 생각은 많은 공격을 받았다. 어떤 이들은 근대과학은 중세과학에서 발전했다는(아리스토텔레스를 시발점으로 삼는) 연속성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코페르니쿠스 혁명》과 《과학혁명의 구조》를 토머스 쿤을 위시한 다른 이들은 복수혁명(다윈혁명, 양자혁명, DNA혁명 등)을 주장했다. 이에 반해 저자는 “이 모든 다양한 혁명들은 과거를 이해하는데 쓸모가 있지만 주된 사건으로부터 우리의 주의를 흩뜨려서는 안 된다. 그 주된 사건이란 바로 과학의 발명이다.”


‘발견의 발명’에 주목한다. 〈발견의 해부〉를 쓴 핸슨은 “발견이란 과학에 관한 모든 것이다”라고 했다. 저자는 시대적으로 쓰인 용어의 범주를 설명해준다. 1492년 10월 11/12일 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할 무렵 만해도 ‘발견’이라는 단어 대신 비록 같은 의미로 해석되지만, ‘찾아내다’라는 표현을 했다. 콜럼버스 이후 100년 이상이 지난 후, 갈릴레이는 라틴어로 자신의 발견을 전하기 위해, 여전히 ‘나 이전의 어떤 천문학자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던’같은 복잡한 문구를 사용했다고 한다. “과학사가 그 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상사에서의 중심적인 관심사는 언어적 변화여야만 한다. 보통 언어적 변화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이 수정되었다는 결정적인 표지다.”


저자는 과학-연구프로그램, 실험적 방법, 순수과학과 새로운 기술과의 연결, 해체 가능한 지식의 언어-은 1572년과 1704년 사이에 발명되었다는 다시 언급함으로 이 책을 마무리한다. 우리는 여전히 그 결과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과학혁명은 단지 그것이 너무나 놀랍도록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거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되었다는 점이라고 강조한다. 주석포함 1000쪽이나 되는 방대한 글이지만, 역사상 수많은 과학자들이 바통 터치를 하며 등장하기에 지루한 감 없이 읽게 되었다. 현재의 과학이 이루어진 과정을 알아볼 수 있는 더 없이 소중한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할할라야 2020-07-06 02: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좋아요

쎄인트saint 2020-07-06 08:54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