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허지원 지음 / 홍익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 뇌과학과 임상심리학이 부서진 마음에게 전하는 말

  _허지원 / 홍익출판사

 

 

“당신은, 당신이 알고 있는 그런 사람이 아닙니다.” 나에 대해 제일 잘 모르는 사람이 ‘바로 나’라는 지적에 공감한다. 나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은 친구나 회사동료일 가능성이 많다. 가족? 의외로 가족이 가족 구성원에 대해 잘 모른다. 특히 부모는 자신들의 자식에 대해 몰라도 너무 모른다. 아마도 자식들에게 요구하는 바람 이미지가 뇌리에 박혀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을 해본다.

 

 

이 책의 저자 허지원은 뇌과학자이자 임상심리전문가로 소개된다. ‘부서진 마음으로 위태로운 사람들에게 심리치료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보여준다면 조금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정신병리 및 심리치료와 융합한 뇌과학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조현병 성격장애군의 뇌보상회로의 이상성을 세계최초로 규명했다.

 

 

‘노력하되, 애쓰지 말 것’, ‘타인을 시험에 들게 하지 말 것’, ‘완벽주의적 불안에 휘둘리지 말 것’, ‘의미를 찾으려 하지 말 것’, ‘당신에 대해 함부로 이야기하지 말 것’ 등의 십계명식 조언과 함께 임상 에피소드가 추가되었다.

 

‘당신의 과거는 당신의 미래가 아닙니다.’ 맞는 말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심리적인 압박과 낮은 자존감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이유 중, 과거지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상황은 시간이 좀 지나야 못된 영향력을 행사한다.

 

 

“냉정하게 말해서, 우리는 언제 생을 마쳐도 이상하지 않을 각자의 궤적을 삽니다. 매일을 쾌락적으로 살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나만큼은 내게 관대해져도 좋습니다.” 완벽주의적 불안이라는 것이 있다. 완벽해지고 싶은데 완벽해질 자신이 없다보니 늘 불안할 것이다. “이번에도 안 될 것 같아요. 내가 잘 알아요.” 알긴 뭘 안다고. 치료 효과에 대해 미리부터 단정을 내리는 상담자. 저자는 이와 같은 타입을 ‘불안중독자’라고 표현한다. 타인의 시선과 감정을 지나치게 의식하고 있다.

 

 

완벽주의자에 관한 뇌과학자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여섯 차원으로 분류한다. _실수에 대한 염려. _개인적 기준. _부모의 기대. _부모의 비판. _행위에 대한 의심. _조직화 등이다. “타인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요컨대 전대상피질의 활성화가 과도한 상태로 유지된다면, 그 사람은 상처투성이의 자기개념을 움켜쥔 채 앞으로 나아가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뒤로 물러서지도 못한 채 제자리에 머무르게 됩니다.”

 

 

저자의 글을 읽다보면 무수히 많은 사례 속에서 바로 ‘나’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리고 은근 힘을 얻는다. 나 혼자만 끙끙 앓고 있는 문제들이 아니라는 사실에 안도감이 든다. 저자의 메시지는 단호하면서도 따뜻하다. 가독성이 높은 책이다.

 

 

 

 

 

 

 

"원래 정상인 사람이 없고 마냥 행복한 가정이 없지요. 프로이트는 정신적 ‘정상’상태를 ‘약간의 히스테리’, ‘약간의 편집’, ‘약간의 강박’으로 정의했습니다." (209쪽)
- P2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