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틱낫한의 걷기 명상 How to Walk - 언제 어디서든 나만의 힐링 명상 ㅣ 틱낫한의 명상서 How to 시리즈
틱낫한 지음, 제이슨 디앤토니스 그림, 진우기 옮김 / 한빛비즈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 틱낫한의 걷기
명상 How
to Walk 】 - 언제 어디서든 나만의
힐링 명상 l 틱낫한의
명상서 How
to 시리즈 _틱낫한(저자)
| 제이슨
디앤토니스(그림)
| 진우기(역자)
| 한빛비즈 |
2018-01-29 | 원제 How
To Walk (2015년)
“아름답게
걷기 ; 가장 혼잡한
거리에서도 마음다함으로 걸을 수는 있지만, 때로는 공원이나
조용한 장소에서 걷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천천히 걷되
사람들의 이목을 끌 만큼 천천히 걷지는 마십시오.”
_운전을 해도
차량의 흐름에 어느 정도 맞추면 좋듯이, 걷기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걷기’라는 단어만큼
자주 나오는 것이 ‘명상’입니다.
‘걷기’는 만만해
보이지만,
‘명상’은 좀 어렵게
느껴지긴 합니다만...
‘마음다함’. 옮긴이는 영문판에
나오는 ‘mindfulness’라는
단어를 ‘마음다함’으로
번역했군요. 마음을 대상에
가져가 백퍼센트 대상과 함께 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고 부연설명을 붙였습니다. 나는 ‘mindfulness’를 좀
길지만,
‘몸과 마음을
함께하기’로 번역하고
싶습니다. 살아가면서 우리는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때가 얼마나 많던 지요. 몸과 마음을 너무
떨어뜨리며 살지 맙시다. 다칩니다. 몸이 다치든
마음이 다치든 암튼 안녕하지 못합니다.
“당신을 대신하여
걷습니다 ; 저의 조상이나
친구 중 많은 사람이 이미 저세상으로 갔습니다. 친한 친구 한
명은 걷지 못해 바퀴의자를 타고 다닙니다. 다른 친구는 무릎
통증이 심해 계단을 오르내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
친구들을 대신하여 걷습니다.” 대신
걷기. 멋지고 아름다운
생각입니다. 그 마음이 걷지
못하는 이들의 마음에 가 닿던지, 그렇지 못하든지를
떠나 “이렇게 아직 걸을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하며
걸음을 옮깁니다.
그렇다면,
‘걷기
명상’은
어떻게?
“걷기 명상의
시작 ; 대체로 사람들은
들숨(들이마시는
숨)이 날숨보다 약간
짧습니다. 숨을 들이쉴 때는
두세 걸음을 걸으세요. 물론 그것은 폐가
결정할 일입니다. 폐가 들숨에 두
걸음을 원하면 꼭 두 걸음만 걸으세요. 세 걸음이
편하다면 세 걸음으로 하십시오. 숨을 내쉴 때는
폐에 다시 귀를 기울여 몇 걸음을 걸을 지 결정 하세요.” 내가 해보니까
처음엔 들숨에 두 걸음, 날숨에 세 걸음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 저자는 걷는 중에
누군가와 말을 하고 싶으면, 멈춰 서서 말을
주고받은 후 다시 걸으라고 합니다. 걷는 중에 폰을
들여다보는 것은 ‘걷기
명상’하고는 거리가
멉니다.
‘그냥
걸었어’가 되고
맙니다.
‘과거
놓아버리기’와 ‘미래
돌보기’도 좋은
조언입니다.
“사슬에 묶이지
않았는데도 걸을 때 자유롭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의 후회와
슬픔에 붙들려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느 결에
과거로 자꾸 되돌아가서 계속 고통스러워하지요.
‘(우울한)과거는
감옥’이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그렇다면 미래는
어떨까요?
“미래의 죄수가 된
사람들이 있습니다.(...)실제 미래는 단
한 가지 재료로 이뤄졌습니다. 바로 ‘현재’입니다. 그것 말고 무엇이
미래를 만들까요?”
_미래를 만드는
유일한 재료가 ‘현재’라는 말에 정신이
번쩍 듭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말, 생각, 행동 등이 결국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봐야겠지요.
“좋은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지금 이 순간을 최선을 다해 돌보는 법을 아는 것입니다. 지금 이 현재를
돌봄으로써 미래를 구축합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8/pimg_7244541732084688.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