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 오프 상하이
신동흔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페이스 오프 상하이 】 _신동흔 저 | 랜덤하우스코리아

 

 

 

 

 

 

“시안(西安)은 중국 2000년의 역사를 지켜봤고, 베이징(北京)은 1000년의 역사를 목격했다. 그리고 상하이(上海)는 그 마지막 100년의 역사를 증명해 보이고 있다.”

 

 

 

 

 

 

이름에는 그 존재의 의미와 역사가 담겨있는 경우가 많다. 상하이도 그렇다. shanghai의 사전적 의미는 약취, 유인하여 뱃일을 시킨다는 뜻이 담겨있다. 대문자로 시작하는 Shanghai는 비로소 중국 남부의 도시이름이 된다. 20세기 중국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모던 시티(modern city) 상하이를 만든 방식 자체가 ‘서구에 의한 약취 유인(shanghai)이었다고 할 수 있다. 1842년 영국과 벌였던 아편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면서 영문도 모른 채 어느 날 갑자기 세계사로 편입된 이 도시의 사람들은 ’힘든 뱃일‘이나 다름없는 삶을 살았던 것은 아닐까?

 

 

 

 

‘조계지(租界地)’

 

 

 

상하이에 맨 먼저 입성(入城)한 것은 아편전쟁에서 막 승리를 거둔 영국인들이었다. 그 뒤를 이어 프랑스인과 미국인들이 들어왔다. 청일전쟁 후에는 일본인들이 상하이 한 귀퉁이를 차지했다. 그들은 남의 땅에 자기들끼리 줄을 그어놓고 그곳을 ‘조계지(租界地)’라고 불렀다. 자기네들 취향에 맞게 건물도 짓고, 치안과 행정관청까지 만들었다. 완벽한 치외법권자의 지위를 누렸다. 이주민들이 주인이 된 상하이 원주민들의 나라 잃은 서러움이 얼마나 심했을까. 이 당시 그들의 조계지엔 ‘개와 중국인 출입금지’라는 유명한 팻말이 오랫동안 붙어있었다. 중국인들은 조계지안에서 일만 했지, 거주할 수는 없었다.

 

 

 

 

 

‘쿨리, Kuli, coolie'

 

 

 

쿨리라는 단어를 중국의 소설이나 중국 관련 책에서 가끔 접한다. 쿨리(苦力)는 힘든 일을 하는 사람이나 힘든 일, 2차 대전이전에 중국이나 인도출신의 짐꾼. 광부. 인력거꾼들을 부르던 호칭이다. 노예처럼 매매되기도 했다. “태평양 연안으로 이주하는 중국인 이민자들의 숫자가 정점을 이뤘던 1852년~1882년은 저 악명 높은 중국의 ‘쿨리 무역’시대와 일치한다. 중국인들을 납치 또는 유인하거나 속여서 ‘계약제 기간 노동자’로 만든 다음, 세계 각지로 팔았다.” 21세기가 중국의 세기라고는 하지만, 이미 19세기 말~20세기 초 미국이 강대국으로 도약하고 있을 때부터 이들 쿨리가 가장 밑바닥에서 노동력을 제공했다. 지금 그 일을 맡고 있는 사람들은 민공(民工, 이주노동자)들이다.

 

 

 

 

 

민공(民工)들

 

 

 

 

중국인이면서 중국내에서 불법 이민자로 취급받는 민공들의 삶은 그동안 문학작품이나 여타 정보를 통해 눈동냥 했던 내용보다 훨씬 심각하고 안타깝다. “난 도무지 모르겠어, 공원 하나 만드는데 왜 10억을 퍼붓고, 체육관에서 노래자랑 하는데 수백만 위안을, 이런저런 전람회 개최한다고 수천만 위안을 쏟아 붓는지 말이야. 왜 돈 있는 사람들은 도시에만 살고 있어? 우리는 왜 돈이 없어” -『즐거운 인생』, 자핑와. 중국 춘지에(春節)때 수억 명의 ‘대이동’을 만들어내는 주역들이 민공들이다. 존재는 하지만 존재하지 않은 존재감이다. 공식적으로 자주 부정당하기 때문이다. 원래는 농촌 출신이라는 의미에서 ‘농민공’으로 불리었으나, 줄여서 민공 또는 다공(打工, 일용 노동자라는 뜻)으로 불린다. 이들이 바로 지금 눈부신 중국 경제 건설의 주역들이다. 100여 년 전 상하이라는 최첨단 도시를 만들었던 저임금 노동자 쿨리들처럼 지금은 이들이 대도시 상하이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들은 상하이에 살고 있지만, 상하이 사람이 아니다. 중국의 호구(戶口, 후코우)제도는 마치 불법 체류자 단속, 그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을 듯하다. 중국은 1956년 이후로 국영공장, 광산, 건설업체, 운송업체 등에 ‘농민고용금지령’을 내리면서 도시와 농촌을 갈라놓는 도농분리 정책을 실시했다. 대도시 출신이냐, 농촌 거주자냐에 따라 사회보장에서부터 교육, 의료, 직업, 생활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차별이 존재한다. 민공들은 고향에서 사는 것에 비해 도시에서 생활하는 것이 훨씬 위험하고 비용도 많이 들지만 생계를 위해 도시로 몰려나올 수밖에 없다.

 

 

 

 

 

“그 마을엔 높은 철제 울타리가 쳐져있고 경찰이 지키는 단 하나뿐인 철문을 지나야 드나들 수 있다. 마을 안 주택과 상점엔 감시 카메라가 있다. 아침에 철문이 열리면 어른들은 일터로, 아이들은 학교로 향한다. 밤이 되면 철문은 닫히고 야간통행금지가 실시된다. 베이징시(市)는 농민공 관리와 범죄 예방목적으로 베이징 외곽 16개 지역을 이른바 ‘장벽마을’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베이징 저널’

 

 

 

 

자본주의적 외관과 사회주의적 관리방식이 공존하는 상하이

 

 

 

 

이 책의 지은이 신동흔은 국내 언론사에 근무하던 중 약 1년간 상하이교통대학교로 연수를 가면서 상하이와 인연을 맺게 된다. 상하이에 체류하며 직접 보고 느낀 체험은 중국에 대해 새롭게 눈을 뜨는 계기가 된다. 상하이의 과거와 현재를 많은 자료를 통해 소개한다. 지은이가 생각하는 현재의 상하이는 최첨단 현대와 100년 전의 풍경이 공존하는 곳이다. 이들의 성장과정엔 아무런 모순이나 죄책감이 스며들어 있지 않다. 상하이는 마치 ‘기회의 땅’인듯하다. “중국, 그것도 상하이라는 거대한 ‘용광로’속에 들어가면 모든 것이 현실이 되고, 모든 것이 발전이라는 이름으로 용서되고 합리화된다.” 상하이는 자본주의적 외관(外觀)을 보여주지만, 내적으로는 사회주의적 관리방식이 작동하고 있는 곳이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한다. 뿌리내리지 못한 ‘들뜬’ 떠돌이들만 오가는 분위기가 팽배한 곳 상하이. “중국에 대해 열광을 유발하는 스토리는 대부분 인구나 면적, GDP같은 중국이 만들어내는 어마어마한 숫자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나는 숫자가 아닌 다른 것을 보려고 했다. 혼자 걸었던 와이탄 거리, 매일 같이 지하철을 갈아탔던 인민광장역, 번화한 거리에 어울리지 않던 민공들, 거리에서 하염없이 무언가를 기다리던 사람들...하나하나가 추억처럼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