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품격 - 삶은 성공이 아닌 성장의 이야기다, 빌 게이츠 선정 올해의 추천도서
데이비드 브룩스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품격 삶은 성공이 아닌 성장의 이야기다

   _데이비드 브룩스 저 / 김희정 역 | 부키 | 원제 : The Road to Character

 

 

모든 사물에는 격()이 있다. 환경이나 사정에 자연스럽게 어울리는 분수나 품위를 의미한다. 하물며 사람에겐 더욱 그 격이 필요하다. 이를 인격 또는 품격이라고 한다. 출세지향주의를 찬양하는 현 시대에선 커리어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어떤 일로, 어떤 자리를 차지하며 살아가는가, 살아왔는가에 치중한다. 그것이 그렇게 중요할까? 살아오면서 성실하고, 정직하고, 신의가 두터운 사람이었는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까?

 

 

이 책의 저자는 자기고백으로 글을 연다. “나는 얄팍한 성향을 타고났다. 현재 일종의 전문가이자 칼럼니스트로 일하면서, 자기애에 빠진 떠버리가 되어 내 생각들을 마구 쏟아내는 일로 돈을 번다. 그 생각들에 대해 내가 실제로 느끼는 것보다 더 자신감 있는 척하고, 실제보다 더 영리한 척하고, 실제보다 더 권위 있는 척하는 것으로 돈을 버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의 부족함을 누구보다도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인격을 연마하는 길이 궁금했다. 그래서 그 길이 어떻게 생겼고, 다른 사람들은 그 길을 어떻게 걸었는지 알고 싶었다고 한다.

 

 

인간을 뒤틀린 목재(crooked timber)’로 받아들임에는 숙고가 필요하다. 어차피 뒤틀린 목재니까 굳이 애쓰며 살아갈 필요가 없다는 될 대로 되라식 포기형과 비록 뒤틀린 목재지만 그 결점을 인정하고 스스로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투쟁의 과정에서 인격형성이 이루어진다고 믿는 부류가 있다. 어디에 속할 것인가는 개인의 자유이다.

 

 

저자는 내면의 결함을 딛고 위대한 영혼이 된 사람들 9명을 소개한다. 루스벨트 재임 기간 내내 그를 보좌한 단 두 사람 중 하나인, 미국 최초의 여성 각료 프랜시스 퍼킨스. 어린 시절 문제아라는 공통점을 가졌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와 조지 마셜. 보헤미안 같은 무질서함과 약간의 성적 문란함이 뒤섞인 젊은 날을 보냈지만, 빈민들의 어머니가 된 도러시 데이. 세속적 욕망에서 허우적대다가 신의 사랑 안에서 길을 찾은 아우구스티누스. 조지 엘리엇은? 어린 시절 어머니에게 사랑받지 못한 결핍에서 비롯된 감정적 혼돈으로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며 젊은 시절을 보냈다. 자기파괴적 행동을 빈번하게 일으켰었다. 내면의 악과 맞선 비폭력 인권운동가 필립 랜돌프와 베이어드 러스틴 역시 그들 나름대로 자신과의 치열한 싸움을 벌이며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승화시켰다. 육체적 장애와 지독한 가난이라는 환경을 극복하며 도덕적 에세이를 쓰면서 스스로 치유하고자 애썼던 새뮤얼 존슨도 등장한다.

 

 

저자가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을 한 줄로 표현하면,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로 마무리된다. 삶은 성공이 아닌 성장이라는 이야기다. 아울러 이 책에서 키워드를 뽑는다면, ‘빅 미’(Big Me)리틀 미’(Little Me)이다. ‘빅 미는 우리 각자가 자기중심에 특별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낭만적이면서, 다소 위험한 사고방식이다. 정당한 삶의 규칙이란 내가 만들고, 받아들이고, 옳다고 느끼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리틀 미는 그 무엇보다 겸양을 일차 덕목으로 내세운다. 외적인 성공보다 내적 성장이 우선이다. “삶의 기쁨은 다른 사람이 칭찬을 한다고 해서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기쁨은 뜻하지 않은 순간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는 것이다. 기쁨은 전혀 예상치 못한 순간 선물처럼 온다. (...) 만족감, 정적, 평화 그리고 숨죽임을 느낄 수 있다. 그런 순간이야말로 축복이자 아름다운 삶의 징표이다.”

 

#인간의품격 #삶은성공이아닌성장이다 #빅미 #리틀미 #데이비드브룩스 #부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