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어와 규칙 - 스티븐 핑커가 들려주는 언어와 마음의 비밀 ㅣ 사이언스 마스터스 19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9년 11월
평점 :
【 단어와 규칙 】 - 스티븐 핑커가 들려주는 언어와 마음의 비밀 l 사이언스 마스터스 19 _스티븐 핑커 (지은이) | 김한영 (옮긴이) | 사이언스북스 | 원제 Words and Rules: The Ingredients of Language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은 학술서적 내음을 물씬 풍기는 《단어와 규칙》보다 부제인 ‘스티븐 핑커가 들려주는 언어와 마음’ 때문이었습니다. 언어와 마음과의 관계는 인문학적 성찰의 시간을 갖기 위한 좋은 소재이지요. 이 책의 지은이 스티븐 핑커는 실험심리학을 전공하고 대학에서 언어심리학과 진화심리학을 강의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 지은이는 “언어학의 특수한 현상인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를 조사하면서 언어와 마음의 본질을 조명”합니다.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선 일차적으로 인류에게, 각 민족들이 어떻게 그렇게 많은 표현의 능력이 생겼을까를 염두에 둬야겠습니다. 즉, 서로의 머릿속에 그렇게 많은 생각들을 채워 넣는 우리의 능력 뒤에는 어떤 비결이 숨어 있는 것일까? 지은이는 두 가지 비결을 내세웁니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단어와 규칙’입니다. “단어와 규칙은 서로 다른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서로 다른 방식으로 학습되고 사용되며, 심지어 뇌에서도 서로 다른 부위에 거주한다.” 둘 사이의 국경 분쟁은 언어들을 수세기에 걸쳐 형성하고 개조하며, 언어를 소통의 수단뿐만 아니라 말장난과 시(詩)의 매체로 그리고 영원한 보물로 만들었다는 이야깁니다.
지은이는 이를 설명하고 그의 논지를 펼쳐가기 위해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현재까지 전해오는 최초의 언어학적 논쟁인 플라톤을 등장시킵니다, 플라톤이 헤르모게네스를 통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어떤 것도 본래부터 이름을 갖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용법과 관습을 통해 이름을 갖게 된다.” 그러자 크라틸로스가 반론을 폅니다. “모든 것에는 본래부터 정확한 이름이 있다. 이름은 다수의 사람들이 사물을 지칭하기로 동의한 그 어떤 것이 아니다.” 오늘날 이 논쟁은 헤르모게네스의 관습적 결합 쪽의 우세로 판가름이 납니다. 20세기 초 현대 언어학의 창시자인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그런 결합을 ‘자의적 기호’라고 이름붙입니다. 언어학자 놈 촘스키에 와선 언어 고유의 창조성을 조합 규칙을 가진 문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개념이 성립됩니다.
이 책의 키워드이기도 한 규칙동사와 불규칙 동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수험생이나 언어학 전공자가 아닌 이상 이 동사들을 떠올릴 필요가 없겠지요. 그러나 이 책에서 저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을 이해하기위해선 어쩔 수가 없군요. 규칙 단어와 불규칙 단어는 오래전부터 규칙을 잘 지키는 사람과 변덕쟁이를 빗대는 은유로 사용되어왔답니다. 현 시대에는 안 어울리는 표현인 듯합니다. 1989년 《뉴욕 서평》에 개인 광고를 낸 어느 여성은 불규칙 동사를 찬양하는 의미로 “당신은 불규칙 동사인가?”라고 물었다고 하네요. 정확히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언급이 없군요. 추측해보건대, 표현의 자유로움 또는 자유로운 영혼 등으로 이해해야 하지 않을까요? 하긴 조지 오웰은 『1984』에서 국가가 불규칙동사를 금하는 것은 인간의 정신을 압살하는 증거라고 했지요. 규칙형들과 불규칙형들은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라는 살아 있는 통합 체계의 일부라는 점에 공감합니다.
「아날로그 세계와 디지털 마음」에 주목합니다. 역시 언어의 구성 요소는 단어와 규칙이라는 말을 전제로 합니다. 단어는 소리와 의미 사이의 기억된 연계를 의미하고, 규칙은 각 단어들의 의미와 배열 방식으로부터 전체의 의미가 계산될 수 있도록 단어들을 조합하는 연산을 의미한다는 말입니다. 지은이가 표현하길, 세계는 아날로그이고 우리의 마음은 디지털이라고 합니다. 요즘 추세로 봐선 그 반대라고 생각합니다만...“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우리 마음의 한 부분은 디지털이다. 우리는 익숙한 실재들과 그 실재들의 교차하는 특성들을 기억하지만, 또한 규칙에 따른 계산을 통해 새로운 마음의 산물들을 생성한다.(....) 단어와 규칙은 언어의 광대한 표현력을 창출해, 우리에게 사고의 광대한 창조력에서 열리는 결실들을 공유하게 해준다.” 촘스키의 '보편 문법'이론과, 러멜하트와 매클레렌드의 '패턴 연상망 기억 모형' 사이에서 스티븐 핑커는 ‘단어-규칙 이론’을 들고 제3의 길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단어와규칙 #스티븐핑커 #사이언스마스터스 #사이언스북스 #규칙동사 #불규칙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