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화(余華)

 

 

 

 

 

위화(余華, 1960~)는 1960년 중국 저장성에서 태어났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때 발치사(拔齒師)로 일하다가 1983년 단편소설 『첫번째 기숙사』를 발표하면서 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그 후 《세상사는 연기와 같다(1988)》 등 실험성 강한 중단편 소설을 잇달아 내놓으며 중국 제3세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첫 장편소설 《가랑비 속의 외침(1993)》을 선보인 위화는 두 번째 장편소설 《인생(1993)》을 통해 작가로서 확실한 기반을 다졌다. 장이머우 감독이 영화로 만든 《인생》은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이는 세계적으로 ‘위화 현상’을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이 작품은 중국 국어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으며, 출간된 지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중국에서 매년 40만 부씩 판매되며 베스트셀러 순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허삼관 매혈기(1996)》는 출간되자마자 세계 문단의 극찬을 받았고, 이 작품으로 위화는 명실상부한 중국 대표 작가로 자리를 굳혔다. 이후 중국 현대사회를 예리한 시선으로 그려낸 장편소설 《형제》와 《제7일》은 중국 사회에 첨예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전 세계 독자들에게는 중국을 이해하는 통로가 되어주었다. 산문집으로는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 《우리는 거대한 차이 속에 살고 있다》 등이 있다.

 

 

 

 

 

 

1998년 이탈리아 그린차네 카보우르 문학상, 2002년 중국 작가 최초로 제임스 조이스 기금, 2004년 프랑스 문학예술 훈장 및 미국 반스 앤 노블의 신인작가상, 2005년 중화도서 공로상, 2008년 프랑스 꾸리에 엥테르나시오날 해외 도서상 등을 수상하였다.

 

 

 

 

 

 

 

 

 

 

 

 

 

 

 

 

 

 

 

 

 

 

 

 

 

 

 

 

 

 

 

『형제』(1,2). _비극을 그리면서도 웃음을 놓지 않고 희극을 그리면서도 한번쯤 곱씹어보게 하는, 위화 문학 인생의 대표작으로, 모든 가치관과 도덕이 무너지고, '돈'으로 표상되는 새로운 질서로 재편되는 현대 중국 사회의 초상을 그린다. 『재앙은 피할 수 없다』_ <무더운 여름>, <4월 3일 사건>에서 선보였던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로 구성된 위화의 중편집. 책에 실린 세 편은 모두 위화가 1980년대 후반에 썼던 소설들 가운데 직접 고른 작품들로, 한국 독자들이 익히 접해왔던 그의 장편들과는 다른 맛과 색을 담고 있다. 『우리는 거대한 차이 속에 살고 있다』 _이 산문집은, 세계 곳곳의 여행기에서부터 독서 일기, 자신의 소설에 대한 스스로의 해설, 그리고 마오쩌둥 시대라는 하나의 극단의 시대에서 시장경제라는 또 하나의 극단의 시대로 가고 있는 기형적인 오늘의 중국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 부모로서 보여주는 아들에 대한 사랑, 그리고 축구와 미국 프로농구 '광팬'인 위화의 발랄한 모습까지 다채로운 이야기를 망라하고 있다. 『제7일』 _사고로 버려진 아이를 혈혈단신 총각의 몸으로 키우는 아버지와 그들을 돌봐주는 아버지 친구 부부, 사랑했던 여인과 이웃들의 이야기가 엮여가면서 중국 사회를 뉴스 보도보다 더 사실적이고 날카롭게 그리면서도 휴머니티에 대한 견고한 믿음을 작품 전체에 걸쳐 그려냈다.

 

 

 

 

 

 

 

 

 

 

 

 

 

 

 

 

 

 

 

 

 

 

 

 

 

 

 

 

 

 

 

 

 

 

 

 

 

 

 

 

 

『사람의 목소리는 빛보다 멀리 간다』_원제는 '열 개 단어 속의 중국(十個詞彙中的中國)'이다. 저자는 인민, 영수(領水), 독서, 글쓰기, 루쉰, 차이, 혁명, 풀뿌리, 산채(山寨), 홀유(忽悠) 등 열 개의 단어 속에 중국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담아냈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열 개의 단어를 열 쌍의 눈으로 삼아 열 개의 방향에서 중국을 응시하는 책'이다. 『4월 3일 사건』_표제작이기도 한 '4월 3일 사건'은 정체를 알 수 없는 공포와 압박에 시달리는 한 소년의 심리를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소년은 자기 주위의 모든 사람들, 친구, 이웃, 심지어 부모까지도 뭔가 자신과 관련된 모종의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강박에 시달린다. 그래서 잔뜩 긴장한 채 모든 사람을 의심한다. 소년이 생각할 때 이 음모가 실행되는 날이 바로 '4월 3일'이다. 『무더운 여름』 _두 여자가 한 청년을 사이에 두고 벌이는 해프닝을 다룬 '무더운 여름'을 비롯하여, 한때 잘나갔지만 지금은 퇴물로 전락해버린 한 시인이 12년 전에 받았던 편지를 책 사이에서 우연히 발견하면서 벌어지는 묘한 연애 이야기 '전율', 임신을 매개로 한 어느 부부의 이야기 '다리에서', 현대 중국사회의 한 단면을 담백하게 보여주는 '그들의 아들' 등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영혼의 식사』_ 발치사(拔齒師)에서 소설가로 전업하기까지의 과정, 장편 소설을 쓸 때 모티프는 어디에서 얻는지, 34년간 아들 노릇만 하다가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을 때의 감회, 일상 생활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느낌과 생각, 글쓰기가 작가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등 위화 자신에 대한 이야기들을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내게는 이름이 없다』 _나는 글쓰기가 끊임없이 기억을 환기시켜줄 수 있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이 같은 기억은 기껏해야 사사로운 일에 불과하지만, 한 시대의 형상일 수도 있다고 믿는다. 어쩌면 한 개인의 정신 깊은 곳에 찍힌 세계의 낙인, 아물 수 없는 흉터라고 할 수도 있겠다. 글쓰기는 내 기억 속의 수많은 욕망을 환기시켰다. 이러한 욕망들은 과거 생활 속에서 있었던 것일 수도 있고 근본적으로 없었던 것일 수도 있으며, 실현한 것일 수도 있고 근본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나의 글쓰기는 그것들을 한데 모아 허구의 현실 속에서 합법화했다. (작가의 말)

 

 

 

 

 

 

 

 

 

 

 

 

 

 

 

 

 

 

 

 

 

 

 

 

 

 

 

 

『가랑비 속의 외침』_지금 애써 <가랑비 속의 외침>을 쓸 때를 떠올려본다. 그때 나는 늘 내 유년과 소년 시절의 얼굴을 베고 잠들지는 않았던가? 안타까운 것은 이미 아무런 생각이 나질 않는다는 것이다. 그저 기억 깊은 곳에서 수많은 행복의 느낌과 수많은 쓰라림의 느낌이 떠오를 뿐이다. (작가의 말) 『세상사는 연기와 같다』 _사람들은 나에게 물었다. "왜 이런 작품을 쓰는가?" 이해할 수 없다는 눈길로, 나에게 질문하고 했다. "왜 이렇게 많이 죽음과 폭력에 대해서 쓰는 것인가?" 이는 작가가 속 시원히 해명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다만 그들에게 우리 사는 데에서 이런 것들이 없는지 한번 찾아보라고 이야기한 적은 있다. 삶에 왜 이렇게 많은 죽음과 폭력적인 상황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이 문제에 관해서라면 삶은 아무 말 없이 대답해줄 것이다. (작가의 말) 『인생』 _위화는 <인생>을 통해 절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사람은 살아간다는 것 자체를 위해 살아가지, 그 이외의 어떤 것을 위해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하고자 한다. 이 시대를 가장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바치는 애정 어린 헌사와도 같은 소설이다. 『허삼관 매혈기』 _작가는 시종일관 익살과 해학을 견지하며 아픈 역사를 통과하는 소시민의 이야기를 그려나간다. 생명과도 같은 피를 팔아야 인생의 고비를 넘을 수 있었던 격변의 시대, 함께 살아가는 이들에 대한 애정과 인간적인 품격을 잃지 않았던 허삼관을 통해 평범한 사람들의 진실한 휴머니즘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