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슬러 오르는 연어의 초록강 - 봉쇄수녀원 곽한나 수녀의 치유 에세이
곽한나 지음 / 진명출판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글 보다 그림이 우울한 한 수도자의 고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제 갈 지는 모르지만 책부터 읽자.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어쨌든, 잇태리
박찬일 지음 / 난다 / 2011년 10월
12,000원 → 10,800원(10%할인) / 마일리지 6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6월 7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2년 08월 28일에 저장

이탈리아에서 제대로 먹기
2012.8.28
이탈리아 오래된 도시로 미술여행을 떠나다- 미술사학자 고종희와 함께
고종희 지음 / 한길사 / 2009년 7월
19,000원 → 17,100원(10%할인) / 마일리지 950원(5% 적립)
2010년 06월 20일에 저장
품절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박영구 옮김 / 푸른숲 / 1998년 4월
15,000원 → 13,500원(10%할인) / 마일리지 750원(5% 적립)
2010년 06월 20일에 저장
품절

이 책을 읽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느낌
먼 북소리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4년 1월
14,800원 → 13,320원(10%할인) / 마일리지 740원(5% 적립)
2010년 06월 20일에 저장
구판절판
시칠리아하면 무라카미 하루키가 먼저 떠오른다.


8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탈리아로 간 과학자 - 태양과 화산, 유적이 있는 이탈리아, 그 자연과 문화를 찾아 떠난 여행!
안운선 지음 / 럭스미디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대한 정보 하나 없이 이 책을 읽었다. 애초에 이 책을 구입하게 된 건, 다른 책을 중고샵에서 고르다가 그 책 한 권만 달랑 사기도 뭐해서 이것저것 살펴보다가 대충 이탈리아 기행문 같아서 더불어 구매하게 되었다. 계란 사러 수퍼마켓에 갔다가 어디 계란만 달랑 사가지고 오게 되는가.  

제목도 마음에 안 들었고 저자도 생소했다. 더구나 저자는 1930년생으로 솔직히 선입견부터 앞섰다. 고리타분하거나 계몽주의적 성향은 아닐까, 몇 쪽 읽고 구석에 처박아 두게 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우려 못잖게 호기심도 생겼다. 우리 엄마도 1930년생이신데 '잘 배운 양반'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하는 궁금증도 있었다.  

책 날개에 저자의 나이를 밝히지 않았다면, 아마도 저자의 나이를 짐작하기가 어려웠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혼자서 혹은 부인과 당당하게 여행하는 모습이 여느 젊은이 못지 않다. 어떤 사람은 해외 여행을 해마다 다녀도 배낭 여행은 엄두도 못내는 게 내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모습이기 때문에 이 저자의 당당한 발걸음이 예사롭지 않게 보였다. 

그러나 전직 교수인 이 분은 당연 혜택 받은 사람이다. 우리네 부모 중에 이렇게 남의 땅을 마음대로 다닐 수 있는 분이 몇이나 될까? 여행은 한다손 치더라도 이렇게 글을 남길 수 있는 분이 몇이나 있을까?  

하지만 부모 세대에게서 감지할 수 있는 공통점은 있었다. 성실성이다. 과학자의 본분을 지키고자 책 사이사이에 과학적인 상식을 삽입하였다. 책 제목 값을 하기 위해서라고 하면 어른에 대한 예의가 아니겠지만 사실 내 솔직한 생각이다. 이 기행문을 읽는데 별 도움도 안되고 흐름이 끊기기도 한다. 옥에 티라면 티다.  

한편 이 책을 읽으면서 나도 은연 이런 생각을 품었을지도 모르겠다.   

'나도 이렇게 멋지게 늙어가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음은 오늘 한겨레 신문에 실린 기사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426422.html 

오는 7월 13,14일 양일에 걸쳐 치러지는 소위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준비하는 일선 학교의 모습이다. 

이 시험을 대비한 일종의 모의고사가 5월에도 있었다. 이름하여 '2010년 중학교 양질의 평가문항 개발자료'라는 묘한 이름의 시험이었다. 내가 가르치는 과목은 70점 만점에 평균이 30점을 넘지 못했다. 시험이 끝난  어느날 교감이 인터폰을 했다. 70점 만점에 10점대인 학생이 백 몇명이라며 잘 좀 가르쳐달란다. 학년 전체가 480여 명이 되니까 1/4 정도가 되는 셈이다. 황당하고 화가 났지만, 그래도 나이 든 선생에 대한 최대한의 예의를 차린 어투라는 것을 알고는 그냥 알았다고만 대답했다.  

시험이 끝나면 곧바로 자체 학교 평가에 들어간다. 옆 학교들을 탐문하여 우열을 가리며 일희일비하며 국영수사과 선생들을 볶아치기 시작한다. 평수가 넓은 아파트 동네에 위치한 학교들의 점수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우리 같이 임대아파트 지역의 학교들은 점수가 떨어진다. 새로울 것도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모의고사의 수준은 한마디로 내가 가르치는 교과서 수준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건 중3짜리가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적어도 1년 이상의 선행학습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고등학생이 치러야 할 법한 문제들이다. 물론 전교 등수를 다투는 아이들은 도전해볼 만하다. 상위 1%를 위한 시험이랄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열패감만을 안겨주는 이런 시험을 치르게 하는 이유는 뭘까? 학습부진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서? 학생들의 질좋은 실력 향상을 위해서? 좀 솔직히 말하면, 선생과 학생을 길들이기 위해서?

따질 틈도 없이 다시 7월에 치러질 시험을 위해 비상 체제에 들어간다. 6월 들어서자 교과서를 전폐하고 기출문제 풀이에 들어간다. 왜 이런 공부를 해야 하느냐, 는 아이들에게 해줄 말도 준비되어있다. '어차피 이 과목은 교과서 공부가 별 의미가 없다는 거 너희도 알지 않느냐. 그리고 몇 개월 후에 너희가 고등학생이 되면 다 알게 될거다. 중학교 때 어느 정도 수준 있는 걸 공부해놔야 고등학교 가서 덜 헤매게 된다. 그러니 미리 맛보기쯤으로 생각해라.'라고. 궁색한 변명이다. 

학교에서 지각생을 바로 잡는다고 반별로 지각생 명단을 만들고 벌점을 부과하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시행하면 - 심지어는 지각생의 많고 적음을 교사 성과급에 반영한다는 웃기는 말까지 나왔다-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에게 미치기 마련이다. 

매사 이런 식이다. 토끼 몰이에 길들여진 교사들은 어느 새 자신도 모르게 아이들 토끼 몰이에 나선다.

나는 초등학교때부터 학교를 불신했다. 그런 내가 교사가 되어 나를 가르친 선생들과 별로 다르지도 않은 그저그런 선생으로 살아가고 있다. 지난번, 가수 웅산의 콘서트에 갔을 때, 그녀는 무대에 선 지 10년 되었다고 했다. 그 10년의 세월이 그녀의 노래에 담겨 있었다. 한가지 일에 10년을 바치면 쌓이는 게 있기 마련인데....교사는 그렇지 않다는 생각에 참 쓸쓸해진다. 10년, 20년 지나면 뭐하나. 남는 거? 별로 없다. 험악해진 인상과 걸죽해진 목소리 뿐이다. 실력은 갈수록 바닥을 드러낸다. 교사는 소모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과 들을 접시에 담다 - 약이 되는 잡초음식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25
변현단 지음, 안경자 그림 / 들녘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생 처음 무엇인가를 해본다는 건 가슴 떨리는 일이다. 

들길을 걷다보면, 멋대가리 없이 키가 훌쩍 크고 잎사귀가 넓적한 한마디로 별로 예쁘지 않은 풀이 있다. 생명력은 또 얼마나 왕성한지 이 구석 저 구석 없는 데가 없다. 여러모로 보아 가히 잡초의 제왕쯤 되는 품위(?)가 돋보이는 풀이 있다. 드디어 그 이름을 알아냈다. 소리쟁이다. 거칠것 없는 이 풀의 모양새로 보아 외래종쯤으로 여겼었다. 

그런데 이 책을 뒤적거리다가 이 소리쟁이를 먹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먹는다는 것은 이미 들어서 대강 알고 있었지만 이 책에는 먹는 방법까지 나와 있었다. 며칠 벼르다가 동료 선생의 부추김에 힘을 얻어 드디어 오늘 저녁 밥상에 올렸다. 음,..아직은 실험 단계라서 우선 나 혼자만 먹었다. 

입맛 만큼 보수적인 게 없다는 데, 아무래도 이 시큼한 맛과 친해지려면 몇 번은 더 먹어야되겠다. 홍어회의 참 맛을 두번째에 깨달았으니까 이 소리쟁이 맛을 알려면 적어도 두번은 먹어야겠지.아직 낯이 설긴하지만 시금치국이나 근대국보다 훨씬 부드럽긴하다. 

왕성하고 거칠것 없는 온갖 잡초들을 볼 때마다 좀 안타까운 생각이 들곤 했다. 씨를 뿌리지 않아도 저절로 생겨나는 저런 놈들을 먹을 수만 있다면 여러모로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었는데 세상엔 참 훌륭한 사람들이 많다. 재밌고 희망적이다. 세상엔 늘 앞서가는 사람들이 있음을 새삼 확인한다.

여기서 그치랴. 소리쟁이를 뜯어오는 길에 박주가리라는 놈도 한 잎 뜯어와서는 책과 대조해본다. 틀림없는 박주가리이긴한데 요놈은 또 어떻게 먹나? 아무리봐도 먹음직스럽지 않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