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오늘 한겨레 신문에 실린 기사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426422.html 

오는 7월 13,14일 양일에 걸쳐 치러지는 소위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준비하는 일선 학교의 모습이다. 

이 시험을 대비한 일종의 모의고사가 5월에도 있었다. 이름하여 '2010년 중학교 양질의 평가문항 개발자료'라는 묘한 이름의 시험이었다. 내가 가르치는 과목은 70점 만점에 평균이 30점을 넘지 못했다. 시험이 끝난  어느날 교감이 인터폰을 했다. 70점 만점에 10점대인 학생이 백 몇명이라며 잘 좀 가르쳐달란다. 학년 전체가 480여 명이 되니까 1/4 정도가 되는 셈이다. 황당하고 화가 났지만, 그래도 나이 든 선생에 대한 최대한의 예의를 차린 어투라는 것을 알고는 그냥 알았다고만 대답했다.  

시험이 끝나면 곧바로 자체 학교 평가에 들어간다. 옆 학교들을 탐문하여 우열을 가리며 일희일비하며 국영수사과 선생들을 볶아치기 시작한다. 평수가 넓은 아파트 동네에 위치한 학교들의 점수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우리 같이 임대아파트 지역의 학교들은 점수가 떨어진다. 새로울 것도 없는 사실이다.

그리고 모의고사의 수준은 한마디로 내가 가르치는 교과서 수준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건 중3짜리가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적어도 1년 이상의 선행학습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고등학생이 치러야 할 법한 문제들이다. 물론 전교 등수를 다투는 아이들은 도전해볼 만하다. 상위 1%를 위한 시험이랄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열패감만을 안겨주는 이런 시험을 치르게 하는 이유는 뭘까? 학습부진 학생을 가려내기 위해서? 학생들의 질좋은 실력 향상을 위해서? 좀 솔직히 말하면, 선생과 학생을 길들이기 위해서?

따질 틈도 없이 다시 7월에 치러질 시험을 위해 비상 체제에 들어간다. 6월 들어서자 교과서를 전폐하고 기출문제 풀이에 들어간다. 왜 이런 공부를 해야 하느냐, 는 아이들에게 해줄 말도 준비되어있다. '어차피 이 과목은 교과서 공부가 별 의미가 없다는 거 너희도 알지 않느냐. 그리고 몇 개월 후에 너희가 고등학생이 되면 다 알게 될거다. 중학교 때 어느 정도 수준 있는 걸 공부해놔야 고등학교 가서 덜 헤매게 된다. 그러니 미리 맛보기쯤으로 생각해라.'라고. 궁색한 변명이다. 

학교에서 지각생을 바로 잡는다고 반별로 지각생 명단을 만들고 벌점을 부과하는 일을 아무렇지도 않게 시행하면 - 심지어는 지각생의 많고 적음을 교사 성과급에 반영한다는 웃기는 말까지 나왔다-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교사와 학생에게 미치기 마련이다. 

매사 이런 식이다. 토끼 몰이에 길들여진 교사들은 어느 새 자신도 모르게 아이들 토끼 몰이에 나선다.

나는 초등학교때부터 학교를 불신했다. 그런 내가 교사가 되어 나를 가르친 선생들과 별로 다르지도 않은 그저그런 선생으로 살아가고 있다. 지난번, 가수 웅산의 콘서트에 갔을 때, 그녀는 무대에 선 지 10년 되었다고 했다. 그 10년의 세월이 그녀의 노래에 담겨 있었다. 한가지 일에 10년을 바치면 쌓이는 게 있기 마련인데....교사는 그렇지 않다는 생각에 참 쓸쓸해진다. 10년, 20년 지나면 뭐하나. 남는 거? 별로 없다. 험악해진 인상과 걸죽해진 목소리 뿐이다. 실력은 갈수록 바닥을 드러낸다. 교사는 소모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