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집에 있는 책들 중 정말로 다시 읽고 싶지 않은 책들 중 하나이다.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너무 힘겨워서라고나 할까.
아직 나는 객관적으로 이런 일들을 받아들이기에는 덜 자랐나보다.
학생들이 대자보를 붙이자 학생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리, '변호인'이란 영화를 평가하는 포털사이트의 극명한 대조, 철도파업에 공권력이 대응, 갖가지 사건들에 국가가 고소, 고발을 남발하는 것을 듣고, 보며 나는 다시 이 책을 집어들었다.
그냥 펼쳤을 때... 우습게도 무섭게도 의문사 사례들...
p.332 ...이내창... 89.8.15 중앙대 안성교정 총학생회장 안기부 요원과 나간 뒤 거문도 앞바다에서 주검 발견... 박창수... 91.5.6 한진중공업 노조위원장 전노협 탈퇴 강요받던 중 병원서 주검 발견...
9장을 들어가며 읽는 글을 보며 섬뜩했다.
분명 1980년대 있었던 암울하고 숨 막힐 듯한 시대상황을 표현했는데 지금 시대와 겹쳐지는 것은 나만 그런 것일까...
p.299 ...돌이켜보면 해방의 격한 감격으로 시작된 우리 현대사의 궤적은 이후 분단의 아픔과 참혹한 폐허, 독재통치의 공포와 민주주의의 교살 등으로 이어져 왔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는 말과는 정반대로, 우리의 현대정치사는 지배와 저항의 무한 충돌 속에서 국가와 자본에 의한 극단적인 폭력과 그로 인한 죽음의 정치로 점철된 '광기가 지배해 온 야만의 역사' 그 자체였던 것이다...
어차피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은 깨진 지 오래라지만, 그래도 보다 더 나은 사회로 갈 수 있을텐데 이렇게 회귀하는 걸 보니 복고 패션만 유행이 아니라 정치조차도 독재로 돌아가는 건가 싶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대한민국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헌법 제1조 1항과 2항이 무색해지는 요즘이다.
덧붙여 고민해본다.
나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