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서 왕과 원탁의 기사
토마스 불핀치 지음, 이동일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마태우스님께서 선물해 주신 책이다. 이 책을 다 읽으므로써, 난 마태우스님께서 주신 책을 모두 다 읽은 셈이다. 진심으로 마태우스님께 감사드린다.
토마스 볼핀치의 이름이 얼마나 영향력이 있는가 새삼 깨달았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그가 보여준 나와 다른 시각에도 불구하고, 나는 저자가 그였기 때문에 이 책을 선택했다. 그리고 그 선택이 잘 되었는지, 아닌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장 마르칼의 아더왕 이야기 두 권을 먼저 읽어서 였을까, 아니면 어린 시절 가지고 있던 강렬한 추억 때문일까 한 권으로 줄여놓은 이 책은 나를 크게 만족시켜 주지는 못했다. 그래도 많이 배웠다. 하나의 내용을 여러 저자의 입을 통해 여러 번 듣는 것도 꽤 흥미있는 일이니까.
이야기 전개는 대단히 빠르다. 모험 이야기도 긴박감이나 긴장감은 없고, 상황 설명 조금에 끝이다. 게임은 끝이 나고, 상대편 기사 혹은 용, 괴물은 죽거나 다치고, 원탁의 기사는 승리한다. 멀린 역시 잠시 등장하고는 비비안에게로 가 버린다. 그러다가 내가 좋아하는 트리스트람과 이주데 이야기가 나온다. 우리가 알고 있기는 트리스탄과 이졸데이다. 그리고는 순결한 기사인 갤러헤드가 등장하고, 모두 성배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시작한다. 결국 성배의 인도로 천국으로 가는 사람은 단 한 사람, 선택받은 기사 갤러헤드 뿐이고, 나머지 남은 기사들은 수도원에서 여생을 보낸다. 아더 왕은 멀린의 예언대로 자신의 조카의 반역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모르가나는 부상을 입어 죽어가는 그를 마중나온다. 명검 엑스칼리버는 다시 주인의 손으로 돌아간다. 모든 것은 제자리로 돌아가고, 가엾은 귀네비어는 수녀원에서 여생을 마친다.
겉에 둘러싸인 기독교적 시각을 걷어내고 싶었지만, 워낙 짧고 빠르게 전개되는 터에 걷어내고 할 것도 없었다. 벌핀치가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지, 번역가가 그런지 잘 모르겠지만, 읽는 중간중간 약간은 강요하는 듯한 종교적 어투 때문에 기분이 좀 상하기도 했다.
장 마르칼의 아더왕 이야기 3권이 빨리 나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