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순한 열정
아니 에르노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외에는 어떤 것도 할 수 없었다.'
위의 글에 이끌려, 아니 에느로라는 작가의 명성에 이끌려 이 책을 집어들었다. 집에 와서 단숨에 다 읽어 버렸다. 숨소리 하나 제대로 내지 못한 채, 마치 내가 사랑의 열병에 걸린 것 마냥 가슴이 슬픔으로 가득 찬 채... 사랑이란 이런 것이 아닐까... 아니의 경우처럼 '금지된 사랑'이 아니더라도,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지독한 집착과 의심과 끓어오르지만 다른 생각을 할 여유가 없을 정도로 단순한...열정.
작가이자 대학 교수인 아니는 연하의 유부남인 동구권 직원과 사랑에 빠진다. 미친듯이 '그'에게만 빠져든 아니는 정말 '그'와 상관이 없는 일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게다가 사랑의 증거를 온 몸으로 기억하려고 하며 탐닉과 질투와 집착에 사로잡혀 오직 '그'만이 자신의 전부라고 생각한다. 점점 다가오며 아니의 목을 죄는 이별의 시간은 아니로 하여금 점점 더 '그'에 대해 집착하게 했고 그런 안타까운 집착은 결국 '그'가 떠남으로서 '단순한 열정'이란 소설로 화해 버렸다.
오직 한 남자만 보는 맹목적인 사랑.... 집착과 미망에 사로잡혀 끝까지 유예의 시간을 벌어보려 애쓰던 아니의 노력은 '그'의 귀환으로 인해 산산히 부서져 버린다. 아니는 이미 끝나버린 사랑에 미련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다만 그와의 사랑이 만들어 준 추억들을 반추하며 이 소설이 자신의 이야기도 아니고, '그'의 이야기도 아니고 다만 그와 나누었던 사랑이, 추억이, 그 가슴 아팠던 기다림들과 행복, 그리움, 집착, 맹목에 대한 이야기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 글의 끝에 여운처럼 적혀 있던 4문장은 내 마음을 흔들어 놓았다.
...어렸을 때 내게 사치라는 것은 모피코트나 긴 드레스, 혹은 바닷가에 있는 저택 같은 것을 의미했다. 조금 자라서는 지성적인 삶을 사는 게 사치라고 믿었다. 지금은 생각이 다르다. 한 남자, 혹은 한 여자에게 사랑의 열정을 느끼며 사는 것이 사치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