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워크숍 오늘의 젊은 작가 36
박지영 지음 / 민음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사람은 혼자 죽는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더라도 죽음의 순간, 죽음이 찾아 온 순간은 오롯이 혼자 맞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모든 사람은 '고독사' 한다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책은 어떻게 하면 '고독사'를 잘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죽음을 잘 맞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어떻게든 잘 '살아남을' 수 있을까로 바뀌게 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으나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한 때 존경했던 선배와 연락이 끊어진 건 오래되고, 여동생의 눈치를 보느라 집을 나와야 하고, 공무원 시험에 실패하고 취업에 실패해서 부모님 눈치를 봐야 하고, 자식의 죽음 때문에 죄책감을 가슴에 끌어안고 사느라 기억이 오락가락하게 되고, 돼지를 구하려다 죽음을 맞이하는 등의 사연을 보면 사람들은 섬 같았다. 지나치게 연결되면 불편하고 지나치게 고립되면 쓸쓸해지는 그런 섬들... 사실은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 지를 몰라 서투르게 다가가서 상처 받고, 상처 받기 싫어 아예 벽을 만들어버리고, 외로워서 벽을 부수고 싶지만 부수는 방법을 모르게 되어버린 것 같은 그런 섬들 말이다. 어쩌면 어린 시절, 단 한 순간의 경험이 왜곡되어 한 사람의 인생을 만들었을 수도 있고, 어른이 되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상처 받고 배신 당해서 쓸쓸해졌을 수도 있고, 그 순간에 정의롭게 행동하지 못해서 두고두고 마음의 짐을 안고 살게 되었을 수도 있다. 


내가 아니라 다행이다를 중얼거리는 마음도, 누군가를 찌를까 걱정되어 연필을 뭉툭하게 깎는 마음도, 우는 판다 인형탈을 뒤집어 써야지만 울 수 있는 마음도 모두 현재를 살아가는 수많은 이들이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고독사 워크숍이 도움이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다양한 사람들이 저마다의 사연을 가지고 우연인지 필연인지 만난 QR코드를 통해 '심야코인세탁소'에 접속한다. 그리고 그들은 고독사 워크숍에 참가하면서 채널을 받게 되고, 각자만의 방식으로 채널을 꾸며간다. 누군가는 의자를 뛰어넘고, 누군가는 연필로 스케치를 하고, 누군가는 철봉에 오래 매달리기를 한다. 누군가는 사연을 상상하여 부고를 써 주기도 하고, 서툰 솜씨로 어려운 곡들만 피아노로 연주하기도 했다. 그렇게 '별 것 아닌 것' 같은 일들을 꾸준히 해내면서, 각자의 고통을 '농담'으로 승화하면서 회복탄력성을 길러가는 이들... 예전에 받지 못한 관심을 받고, 스스로 그 상처를 어루만질 수 있게 되고, 정의롭지 못했던 자신을 용서하게 된다.


사람은 누구나 불안을 안고 있고, 소소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간다. 삶의 의지를 잃어버릴 만큼 끔찍한 상실을 경험할 수도 있고, 사람에게 상처 받아 좌절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찾아오는 위안에 위로받을 수도 있고, 희망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 고독사 워크숍에 참가한 사람들은 모두 고장난 듯한 자신을 돌아볼 줄 아는 사람들이다. 


'우는 판다'와 '라이프가드'의 사연이 가장 가슴에 남았는데, 어쩌면 나에게 가장 소설처럼 다가오는 이야기라서 그런 걸까.

할머니, 나 계속 이렇게 형편없이 살아도 될까?
할머니는 말했다.
당연하지. 세상이 왜 이렇게 형편없는 줄 알아? 형편없는 사람들만 살아남았기 때문이야. 그러니까 너도 형편없이 살아. 그러다가 가끔 근사한 일 한 번씩만 하면 돼. 계속 형편없는 일만 하면 자신에게도 형편없이 굴게 되니까. 근사한 일 한 번에 형편없는 일 아홉 개, 그 정도면 충분해. 살아 있는 거 자체가 죽여주게 근사한 거니까, 근사한 일은 그걸로 충분히 했으니까 나머지는 형편없는 일로 수두룩 빽빽하게 채워도 괜찮다고. - P3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