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개주막 기담회 3 케이팩션
오윤희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80년에 연암이 함께 갔던 사행은 청나라의 황제인 건륭제의 칠순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이었다. 정사로 연암의 삼종형 박명원이 임명되었기에 연암은 이 사행길에 오를 수 있었다. 그리고 청나라로 여행을 다녀오며 듣게 될 기담들을 기억하기 위해 선노미를 데려가게 되었다.


1780년 5월 25일 출발하여 1780년 10월 27일에 도착하기까지 장장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선노미는 다양한 기담들을 듣고 같이 슬퍼하고 안타까워하게 되었다. 아무래도 기담이란 행복하고 즐거운 이야기는 아닌데다, 의주에서 시작해서 책문을 지나고 성경을 지나 열하까지 그들의 여정은 덥고 질척이고 힘든 길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연암은 청나라의 발전상을 보기도 했고, 100년도 더 전에 있었던 병자호란으로 끌려 온 조선인들을 보며 가슴 아파하기도 했다. 더불어 볼모로 끌려왔던 소현세자와 세자빈 강씨의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는데, 아무래도 가장 가슴 아픈 이야기 중 하나가 아닐까 싶기도 했다. <더 글로리>에서 보았던 재준이의 적녹색약이 여기도 적용될 줄이야... 


뱃사공의 이야기부터 열하로 가기 위해 강을 건널 때 휩쓸려서 가게 된 마을 '낙원'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모든 이야기에서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 것을, 사람의 '말'이, 사람의 '편견'이 제일 무섭다는 것을 알게 된다.


뱃사공이 들려 준 죽은 이들을 안내하는 '안내자'는 살아 있을 적 삶이 너무 고단하여 죽은 줄도 모른 채 이승을 떠도는 불쌍한 영혼이었다. 신분제와 남존여비가 만든 부조리와 불합리는 능력 있는 사람들을 체념과 상실에 허우적거리도록 만들었고, 이는 사회의 불안으로 축적되었다. 그리하여 억울하게 죽은 사람들은 자신이 죽은 지도 모르고 이승에서 자신의 이름조차 잊은 채 그렇게 떠돌고 있는 것이다. 


돌아 온 탕아는 조선시대 때도 비켜갈 수 없었던 부동산 문제가 숨어있었다. 여가탈입(양반이나 관리가 백성들의 집을 빼앗는 일)으로 시작된 이야기에서 한 가족의 가슴 아픈 사연은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하게 했다. 간 적도 없는 탕아가 돌아오면 그 집은 어떻게 될 것인가.


마마신이 찾은 마을은 신념을 가진 자가 얼마나 무서운지, 그 신념이 삐뚤어진 데다 이기적이기까지 하면 얼마나 큰 고통을 주는 지 알 수 있는 이야기였다. 인간은 자신에게 닥친 불행은 두렵지만, 타인에게 닥친 불행은 마음대로 판단하고 행동한다. 그리고 겁이 나서 순응하는 이들 사이에 모순과 불합리를 깨닫고 저항하는 이는 선구자가 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배척당하고 만다. 이 이야기 역시 그러했다. 이기적이었던 춘삼과 용감했던 용주는 그렇게 같지만 다른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


붉은 비단의 저주는 세자빈 강씨와 관련된 기이한 이야기였다. 인조의 질투로 억울하게 죽은 세자빈 강씨는 한참 후에나 복권되는데, 그녀가 죽게 되는 데 이유가 되었던 그 붉은 비단은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정말로 그 비단에 얽힌 저주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사람들의 삿된 말과 임금의 죄의식에 합리화를 대신 해주려고 속살거린 탐욕스러운 인간들 때문이었을까. 


화피는 익히 알려진 이야기이다. <요재지이>에 나오는 이 이야기는 사람 가죽에 그림을 그려 뒤집어 쓰면 인간의 모습을 하게 되는 요괴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이야기 역시 사람의 눈이, 선입견이 얼마나 무서운지 알려 주었다. 또한 대가를 치르지 않고는 소중한 것을 얻지 못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처음에 아름다운 외모에 홀리지 않았더라면 잃지 않았을 것을. 하지만 잃은 대가로 또한 사물의 본질을 볼 수 있게 되었으니 이 또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마지막 이야기는 낙원이다. 앞도 보이지 않고 과거도 기억나지 않은 채 마을에서 기계처럼 일하는 이들이 사는 마을의 이야기였다. 낙원이라는 말이 너무나 섬뜩하게 보일만큼 끔찍한 곳이었고, 사람의 탐욕이 또한 얼마나 참혹한 지 알 수 있었다. 어딜가나 사람이 제일 무섭다는 건 만고의 진리가 틀림없다. 실제로 열하로 가는 길에 강물에 휩쓸렸던 연암의 사연이 들어간 이야기라 더 몰입해서 읽었더랬다. 선노미는 과연 자신의 어둠에서 돌아나올 수 있을까?


그렇게 기담이라면서 귀신이나 요괴의 입을 빌어 하는 이야기들은 하나같이 살면서 우리가 알든 모르든 짓게 되는 죄들을 나열한다. 생각없이 뱉은 말 한 마디가 누군가의 삶을 망쳐버릴 수 있다든지, 자신의 안위를 위해 신의를 저버린다든지 하는 일들 말이다. 그리 거창하지도 의도하지도 않은 일들이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상하기 힘들다. 그러니 언제나 말을 할 때 조심해야 할 것이고, 사람의 외모로만 판단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이 가장 어려운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