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을 수록 놀랍고, 지극히 현 시점에서 반박할 수 없이 타당한 현상이란 것이 서글퍼진다. 이런 구조적 현상의 불합리한 일터 조건을 개선시켜 보려는 노동자들의 목소리는 묵살되고 있어, 우리도 차별적 대우를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는데, 이런 걸 겪어 보지 못한 밀레니얼 세대가 어떻게 감당해 내겠는가!
종종 뉴스에 올라오는 특성화고 학생들이 악조건의 현장에서 사고를 당하여 목숨까지 잃게 된 소식들이 오버랩된다.
읽을 수록 <요즘 애들>을 탓할 것이 아니라, <요즘 어른>들이 개선하고, 개선되어야 될 문제들이 더 산재해 있는 듯 하다.

노동자들이 게을러지고 있거나 멀티태스킹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게 아니다. 끈기나 야망이 부족한 것도 아니다. 일터의 조건이 나쁘고, 더 나빠지고 있다. 일터가 불안하고, 더 불안해지고 있다. 하지만 일터가 어쩌다가 이렇게 시궁창이 되었는지 이해하려면, 일단 과거를 살펴보아야 한다. 임시직의 역사뿐아니라 컨설팅, 사모펀드, 투자은행의 얽히고 설킨 역사를 파헤쳐 보아야 한다. 일터에 어떻게 균열이 생겼는지, 기반 자체가 어떻게 깨져버렸는지, 그 결과로 생긴 불안정이 어떻게 우리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이해해야 한다. - P173

하청 업체 활용은 컨설턴트의 사고방식에서 이익의 걸림돌로 여겨지는 노동조합을 제거할 편리한 방법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노동자들이 이익의 걸림돌이라면, 힘이 있는 노동자들은 분명히 걸림돌일 테다.) 노조 문제의 해법은 간단하다. 회사에서 고용한직원을 전원 해고하고, 하청 업체를 통해 복지 혜택을 받지 않고 똑같은 업무를 해줄 사람들을 다시 고용하는 것이다. 회사가 모든 직원을 해고하고 노동조합에 속하지 않은 신규 직원들을 직접 고용했다면, 그건 위법이다. 하지만 앞에서 말한 경우에 회사는 조합을 대놓고 죽이지 않았다. 단지 조합에 가입한 직원들을 전부 제거했다. 갱신이 느린 노동법은 버려진 조합원직원들을 구제할 수단이 없다. 심하게 균열된 지금의 일터에서 위태로운 직원들을 보호하지 못한다.
위험을 외주화하는 또 다른 교활한 술책은 프랜차이즈가 되는 것이다. 이것이 기업 본부가 세계 전역에서 개인들이 소유한 브랜드의 수천 개 점포에 대해 직접 책임을 피하는 효과적 - P188

인 방법이다. 예를 들어 맥도날드는 식품을 준비하고, 유니폼을 세탁하고, 손님에게 제공될 음식 온도를 맞추는 방법들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세웠다. 하지만 와일이 지적하듯 기업 자체는 직원에게 초과근무 수당을 주지 않거나, 관리자의 직원 성희롱을 제재하지 않거나, 위험한 세척 물질 노출 등의 책임에서 꽁무니를 뺄 것이다. 회사는 이익을 원하고, 브랜드 관리를 강조한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직원들에게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전혀 책임지지 않는다.
이것이 2019년에 맥도날드 직원 다수가 심각한 성희롱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며 회사를 고소했을 때 드러난 사실이다.
미주리의 한 직원은 자신의 상사인 지역 관리자를 반복적 성희롱으로 고소했으나 무고로 역고소당했다. 플로리다의 한 직원은 남성 동료 직원의 성희롱을 보고한 뒤 관리자에 의해 주당근무시간을 24시간에서 7시간으로 크게 삭감당했다. 맥도날드는 성희롱과 편견 없는 일터를 지키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주장하나, 2019년과 같은 소송이 3년 사이 벌써 세 번째였다.
성희롱을 견디는 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제 수단이 없어서, 혹은 신고로 해고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참는건-균열 일터의 여러 증상 중 하나에 불과하다. 2016년의 한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 사업에 종사하는 여성 직원의 40퍼센트가 일터에서 성희롱을 당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 중42퍼센트는 일자리를 잃을까 봐 성희롱을 문제 삼지 말아야한다는 압박을 느꼈고, 이들 중 21퍼센트는 문제를 제기한 후 - P189

근무시간 감소, 바람직하지 못한 스케줄, 임금 인상 거부 등의 보복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패스트푸드 업계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호텔 프랜차이즈(퀄리티 인, 모텔 6, 더블트리 등) 직원의 80퍼센트가 별개의 관리 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2016년에 접객업 노동자들을 대표하는 조합 유나이트 히어에서 시애틀의 객실 청소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53퍼센트가 일터에서 희롱을 경험한 적 있다고 보고했다. 시카고에서는 그 비율이 60퍼센트까지 올라갔다. 그로부터 2년 전, 시애틀 유권자의 77퍼센트의 동의를 얻은 주민 법안이 있었다. 모든 호텔에서 근로자들에게 위급 시 누를 수 있는 패닉 버튼을 제공하고, 성희롱으로고발당한 이용객들을 ‘이용 금지 리스트‘에 올리라는 것이었다. 또한 100개 이상 객실을 보유한 큰 규모의 호텔이 직원에게 건강보험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직원들이 직접 내야 할 건강보험료에 대해 매월 보조 지원금을 제공하라는 조건도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미국 호텔숙박협회에서는 법안을 번복하라고 워싱턴주를 고소했고, 승소했다. 20 우리 호텔에선 성희롱을 용인하지 않으며 직원들을 소중히 여긴다고 주장하는 것과,
실제로 그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 P190

이런 발언은 노동자들, 특히 일터에 대해 다른 경험을 해보지 못한 밀레니얼들로 하여금 시궁창 같은 현실에 속한 기분이 오로지 자기 탓이라고 믿게 만든다. 어쩌면 당신이 진짜로 게으른 걸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냥 일을 더 열심히 하면 될지도 모른다. 어쩌면 일은 누구에게나 이렇게 고된 걸지도 모른다. 어쩌면 모두가 참고 사는 건지도 모른다. 물론 당신의 가장 친한친구도 힘들어 하고, 여동생도 힘들어 하고, 동료 직원도 힘들어 하지만, 그건 모든 게 훌륭하다는 더 큰 서사에 등장하는 작은 일화일 뿐이다. - P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