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9번 A장조 op.47 <크로이처>

 

>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모두 10곡이 있다. 10곡은 모두 대략 1798년부터 1812년까지 작곡이 이뤄졌고 많은 작품을 초기에 작곡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코렐리, 바흐, 그리고 모차르트 등의 작품의 영향을 받아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였으며 피아노와 바이올린이라는 두 악기의 대등한 관계를 강조하였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는 이후 슈베르트, 슈만, 브람스의 낭만파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그의 작품 가운데 5번 F장조 <봄; Spring(Fruhling)>과 함께 가장 유명한 9번 A장조 <크로이처> 는 협주곡 풍으로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대등함, 외면의 화려함과 내면의 내밀함을 두루 갖추고 있는 명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베토벤은 브리지타워라는 영국 국적의 바이올리니스트에게 초연을 맡기려 하였으나 성격차이 탓에 작곡가이기도 한, 루돌프 크로이처(1766-1831)에게 초연을 맡겨 이 곡의 이름은 <크로이처>가 된 일화도 있다.  

  

 

 

> 1악장 아다지오, 3/4박. 서주가 있는 소나타형식으로 곡은 느리면서도 인상 깊은 바이올린의 선율로 시작한다. 이어 피아노가 이 선율을 반복하고 마치 서로 대화하듯 곡은 진행이 이뤄진다. 이어 2/2박의, 스타카토로 연주가 이뤄지는 1주제가 등장하며 이 주제가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전반적으로 활기에 찬 악장. 2악장은 우아한 주제와 4개의 변주로 이뤄진 곡으로 주제를 먼저 연주한 후 첫번째 변주는 피아노가 중심이 되고, 두번째 변주는 바이올린이 세번째와 네번째는 두 악기가 모두 활약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끝으로 3악장은 소나타형식의 피날레. 경쾌하고 빠른 리듬으로 흐르는 악장이며 생기넘치며 쉴새 없이 도약하는 듯 모습을 보이는 악장이다. 중간 느리게 진행하는 부분도 찾아 볼 수 있으며 활발하게 곡을 진행하면서 끝을 맺는다.

   

 

* Top 추천  

Itzhak Perlman (violin)
Vladimir Ashkenazy (piano)
1973, DECCA

 

 

 

당연한 얘기가 될 수 있겠지만,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담고 있는 음반은 곡 모두를 담고 있는, 전집 형태나 <봄>, <크로이처> 등의 유명 곡 또는 개별 곡을 담고 있는 음반들로 나눠볼 수 있다. 전집은 3-4장의 음반에 담겨 있는데 전집 형태가 아닌 개별 음반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을 만나고 싶다면 이작 펄만과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가 DECCA에서 남긴 음반이 최적이다. 펄만의, 그야말로 귀에 감기는 연주와 아쉬케나지의 편안한 연주가 모여 누구에게나 어필할만한 음악을 만들어 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처음 접하기에 최상의 음반!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Gidon Kremer (violin)
Martha Argerich (piano)
1994, DG

  

  

 

 펭귄 가이드 ***

Takako Nishizaki (Violin)
Jeno Jando (Piano)
1989, Naxo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6. 베토벤 첼로 소나타 3번 A장조 op.69 

 

> 이 곡은 베토벤이 남긴 5곡의 첼로 소나타 가운데에서도 제일 널리 알려져 있고, 또한 그만큼 연주를 많이 하는 곡이다. 1807년 <교향곡 5번>을 작곡하던 시기에 본격적으로 곡의 작곡을 착수하여 1808년에 완성하였다. 베토벤은 자신을 후원하기도 했던 글라이헨슈타인(Gleichenstein) 남작에게 이 곡을 헌정하였다. 밝은 느낌의 곡으로 첼로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선율의 주도하에 자연스럽게 곡의 전개가 이뤄지는데 음악세계사 베토벤편에 따르면 이는 이 시기 베토벤의 요제피네 폰 다임 백작 부인과의 사랑의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고 한다. 복잡하지 않지만 명쾌하며 소나타라는 장르에서 첼로와 피아노 모두 넘치지 않는 선에서 자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곡은 그의 생애를 3기로 나눈다고 했을 때 중기의 걸작 가운데 하나이며 첼로 소나타 는 장르에 있어서도 높은 위치에 닿아 있는 명곡이다.   

 

   

> 1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깊게 울리는 첼로의 1주제로 크고 넓은 느낌으로 시작한다. 이어 피아노는 이를 받아 진행하게 되고 이어 다양하게 변하고 클라이막스 이후 제시부가 등장한다. 재현부를 지나 1악장은 조용히 끝을 맺고 2악장 스케르초로 흐른다. 악장의 첫머리는 피아노 독주로 이루어지며 당김음의 진행이 나타난다. 이를 첼로가 이어 되풀이하며 A-B-A-B-A 형식의 2부분으로 흐른다. 1부 반복형식이 나타나고 첼로의 피치카토와 함께 여유 있는 2악장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3악장으로 이어져 우아하고 아름다운 선율의 짧은 마디의 서주가 흐른다. 이어 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흐르고 화려한 재현부를 거쳐 곡은 마무리가 이뤄진다.

  

 

* Top 추천 

Mstislav Rostropovich (cello)
Sviatoslav Richter(piano)
1961, Philips 

 

 

 

Pierre Fournier (Cello)
Wilhelm Kempff (Piano)
1965, DG

  

  

 

Adrian Brendel (cello)
Alfred Brendel (piano)
2003, Philips 

 

 

 

많은 이들이 흔히 이 곡의 명반으로 꼽는 음반은 필립스에서 발매한 스비야토슬라프 리히터 (pf.) 와 로스트로포비치 (Vc.) 의 1960년대 초반 레코딩일 것이다. 로스트로포비치의 선 굵은 첼로와 리히터의 터치는 섬세함이나 은은함보다는 강하고 힘찬 기운이 스며들어 있는 연주이다. 하지만 둘의, 호흡이 잘 맞지 않는다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으며 음악에 집중하게 하는 강한 기운이 느껴진다. 다만 이 음반은 현재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데 차선으로는 켐프와 푸르니에(DG), 브렌델 부자 (Philips) 의 음반을 고려할만하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Miklos Perenyi (Vlc.)
Andras Schiff (Pf.)
2001, EC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5.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BEETHOVEN: Piano Concerto No. 5 in E flat major op. 73)

 

>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번은 1809년, 당시 나폴레옹이 빈으로 진격해 옴에 따라 혼란이 있었던 시기에 베토벤이 작곡한 곡으로서 한국, 일본 쪽이나 영미권에서는 주로 <황제> 라 부르기도 한다. (음악세계사 베토벤편 참조.) 이 <황제> 란 명칭은 베토벤 자신이 붙인 것이 아니지만, 곡의 느낌이 당당하고 위엄이 느껴지는 모습이 마치 세상의 많은 피아노 협주곡에서 황제와 같다는 면에서 후대 사람이 붙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 이름에 걸맞게 나약함은 찾아 볼 수 없고 당당하고 선 굵은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 곡이다. 대담하게 1악장 첫머리에 화려한 카덴차를 넣고, 2-3악장을 긴밀히 연결하는 점, 종교적 숭고함과 뚜렷한 입체감의 관현악 등은 당시로써는 보다 대담하고도  새로운 것에 속하는 것이었다. 수많은 피아노 협주곡 가운데에서도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명곡 가운데 명곡.

  

   

 

 

 

 

>> 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강한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이어 화려한 피아노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전반적으로 강한 흐름이 이어지고 스타카토 표현에 의한 다채로운 변화등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는 클라이맥스로 흐름이 이어지며 경쾌하게 끝을 맺는다. 2악장, 아다지오는 자유로운 변주 형식으로 매우 유명하며 숭고함과 아름다움이 비할 바 없이 감동을 주는 악장이다. 여리고 느린 관악 반주에 이어 섬세한 피아노가 등장하여 맑고 깨끗한 연주를 이어간다. 이런 느낌의 노래를 이어가다가 3악장을 암시하고, 끊임없이 3악장 론도로 흐른다. 3악장 첫머리에서는 2악장 마지막에서 암시한 주제가 선명히 드러나며 서로 엮여 곡이 진행이 이뤄지다가 끝 부분에 팀파니의 조용한 울림 후에 화려하게 끝을 맺는다.

   

 

* Top 추천 

  

  
Stephen Kovacevich (piano)
Sir Colin Davis (conductor)
London Symphony Orchestra
1969, Philips

 

필립스 레이블에서 콜린 데이비스와 스테판 코바세비치가 남긴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번은 안정된 오케스트라의 흐름 속에서 어느 한 쪽으로 쏠려 있지 않으면서도 과격하지 않게 <황제> 가 지니고 있는 당당함과 서정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칫 도입부부터 과격하게 진행하거나 2악장에 너무 많은 감정을 실어서 전체적인 조형미가 깨질 위험이 있는 곡이지만 많은 추천을 받는 연주와 함께 독주자와 오케스트라 모두 적절한 힘과 여유를 보여주고 있다. 낱장음반으로는 듀오시리즈가 있고 피아노 소나타가 담긴 박스셑으로도 유통이 이뤄지고 있다. 처음 이 곡에 다가서기에 여러 면에서 만족스런 답을 얻을 만한 음반.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그라모폰 가이드 선정반

  
Murray Perahia
Bernard Haitink (conductor)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1986, Sony 

  

 

 펭귄 가이드 **** & Key

   
Emil Gilels (piano)
Leopold Ludwig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1957, EMI 

 

  

 

 죽기전에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선정반 

   
Alfred Brendel (piano)
Simon Rattle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88, Philips 

 

 

 

 

 

 


댓글(0) 먼댓글(3)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4.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BEETHOVEN: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 이 곡은 [실러(Schillers)의 송가 '환희에 부침' 에 의한 끝 악장에 합창을 담고 있다] 고 적혀 있다. 이에 따라 베토벤의 제9번 교향곡은 <합창>이라는 이름으로 종종 불리며 성악을 사용하지 않던 교향곡에 성악을 붙인 이례적인 곡이기도 하다. 이 곡은 집중적으로 작품이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꽤 긴 기간에 걸쳐 조금씩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길었던 기간 만큼이나 창작 기간중에는 베토벤 개인적으로 매우 어려운 시기도 있었다. 이 긴 세월을 지나 만들어진 제9번 교향곡 <합창>은 1824년 2월 빈의 케른트너토어의 궁정극장에서 초연이 이뤄졌고, 귀가 들리지 않았던 베토벤은 알토 독창자가 알려주어 청중의 박수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는 유명한 에피소드가 전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베토벤이 남긴 걸작이자, 서양 고전음악사상 위대한 곡으로 꼽히는 곡이다. 

  


 


>> 소나타 형식을 지닌 1악장은 강렬하면서도 신비한 느낌의 바이올린으로 시작한다. 어딘지 막연한 느낌을 풍기는 서두로서 이후 강렬하게 뭉쳐 보다 열정적인 느낌으로 흐른다. 여러 부분에서 긴장감과 힘찬 느낌을 보여주면서 곡은 소나타 형식을 마무리하고 이어 스케츠초 악장인 2악장으로 흐른다. 팀파니의 활약도 볼 수 있으며 밝고 환한 느낌의 원초적인 리듬감이 느껴지는 악장이다. 이어 꿈꾸는 듯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3악장 아다지오로 흐르고 끝으로 그 유명한 4악장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악장에서는 소박하지만 힘찬 것, 매우 정열적이지만 친숙한 것의 환희가 가득하다. 독창자들의 힘찬 선창 후 이어지는 합창단의 울림은 베토벤이 그리는 숭고함과 장엄함을 드러낸다.  

 

 * Top 추천 

 

Elisabeth Schwarzkopf
Elisabeth Hongen
Hans Hopf
Otto Edelmann

Wilhelm Furtwangler (conductor)
Chor und Orchester der Bayreuther Festspiele
1951, EMI 

 

 

베토벤의 9번 교향곡 "합창"을 얘기하는 자리에서 (아니 언제까지라도.) 빠짐 없이 등장하는 음반이 이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 함께 한 1951년 라이브일 것이다. 현대의 선명도 높은 음질에 비해 오래전 음질이고, 거칠고 투박한 느낌의 단점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지만 그럼에도이 음반을 많은 사람이 9번 교향곡의 레퍼런스로 꼽는다. 비록 혼란스럽다고 할만한 부분도 눈에 띄지만, 곳곳에서 드러나는 열정과 힘은 그것을 상쇄시켜 주며, 음악을 "연주"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는 음반이라 하겠다. 수많은 음반과 그에 따르는 각각의 추천음반이 있겠지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연주임은 확실하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러프가이드 선정반

Joan Rodgers(soprano)
Della Jones(alto)
Peter Bronder(tenor)
Bryn Terfel(bass)
Sir Charles Mackerras (conductor)
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
  

 1991, EMI 

 

 

 그라모폰 가이드 선정반

Christa Ludwig (Contralto)
Hans Hotter (Bass)
Waldemar Kmentt (Tenor)
Aase Nordmo-Lovberg (Soprano) 

 


Otto Klemperer
(conductor)
Philharmonia Orchestra of London   1957, Testament 

 

 

 펭귄 가이드 key & ***

Karita Mattila
Violeta Urmana
Thomas Moser
Thomas Quasthoff

Claudio Abbado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2000, 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3. 베토벤 교향곡 7번 (BEETHOVEN: 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 1809년경 전쟁에 의한 불안한 경제적 상황, 건강 악화 등으로 베토벤은 매우 좋지 않은 시기를 보내게 된다. 점차 주변 상황이 나아지면서 1811년, 베토벤은 테플리츠에 휴양을 가게 되는데 이곳에서 안정을 취하게 되고, 이전에 이미 스케치해 두었던 교향곡을 완성해 나가게 된다.  

안정을 이루고 밝은 모습을 되찾을 수 있었던 상황 덕분인지 이 <제7번 교향곡> 은 밝고 쾌활한 낭만성을 보여준다. 흔히 말하는 "디오니소스적" 인 즐거움이 묻어나며 명쾌한 리듬감을 가득 느낄 수 있는 곡이다. 공개 초연 시 대성공을 거두었고, 2악장이 앙코르로 연주가 이뤄졌다는 기록이 있다.
 

 

 

 

>> 곡은 강렬한 울림으로 시작한다. 이어 오보와 클라리넷이 등장하며 플룻이 제1 주제를 연주한 후 이어 경쾌한 제2 주제가 나타나면서 강한 움직임의 무곡을 보는 듯한 인상을 전해준다. 이어 영화에도 쓰인 바 있는 2악장이 등장하는데 조용히 비올라와 첼로가 시작을 끌어가며 이후 클라리넷이 등장하여 소박하고 부드러운, 아름다운 멜로디를 연주한다. 3악장 프레스토는 차분한 2악장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활기차다. 스타카토를 이용하여 흥겨운 느낌을 전해주고 있으며 곡 중간에는 관악을 이용하여 부드럽게 이어가는 부분도 찾을 수 있다. 끝으로 4악장은 러시아 민요에서 그 주제를 따온 것으로 알려진 부분의 흥겨움과 격렬함을 느껴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강한 생명감이 느껴지는 악장이다.  

 

 

 * Top 추천

 

Carlos Kleiber (conductor)
Bavarian State Opera Orchestra
1982, Orfeo

  

 

 

 

카를로스 클라이버가 빈필과 함께 한 녹음이 담긴 음반(DG, 4474002)에도 이 곡은 실려 있지만, 이 오르페오에서 발매한 실황음반도 이 곡에서 빼놓을 수 없다. 비록 이 한 곡만 담고 있지만 SACD 포맷의 음질은 실황의 열기를 담고 있어 생생하며, 빠른 느낌이면서도 더 팽팽한 긴장감을 담고 있는 느낌이다. 위대한 지휘자로 꼽히는 아버지의 영향도 있었겠지만, 정규코스를 밟지 않은, 전혀 의외라고 할 만큼 지휘자의 길로 들어선 카를로스 클라이버. 현저히 적은 수이지만 그가 남긴 레코딩은 모두 수준 높은 것으로 남아 있는데, 여기의 음반도 그의 장점과 특별함을 맛볼 수 있는 기록으로 꼽을 수 있다.   

 

 

 

< + 클래식 가이드 선정반 >   

 

 죽기전 들어야 할 클래식 선정반 


Carlos Kleiber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1975, DG

 

 

 펭귄 가이드 key & ***


Simon Rattle (conductor)
Wiener Philharmoniker
2002, EMI

 

 

 

 펭귄 가이드 key & ***

Claudio Abbado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1999, D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