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로쟈 > “너는 왜 공부 안 하고 책을 보니?”

10년 전에 쓴 칼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과학분야의 '오래된 새책'으로 칼 세이건의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을 손에 든다. 지난 2월에 나왔으니 좀 뒷북이다. 영어판은 1996년에 나왔고, 한국어 초판이 2001년에 나왔다. 한국어 개역판은 20여년만에 나온 셈(출판사도 바뀌었다). 신간 효과로 보이지만, 칼 세이건의 책으로는 현재 <코스모스> 다음으로 많이 팔린 책이다.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과학자 칼 세이건은 그가 생전 마지막으로 펴낸 이 책,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The Demon-Haunted World)>에서 과학에 대한 무지와 회의주의 정신의 부재가 낳은 이 유사 과학 유행을 그 기원과 역사로부터 현황과 대안에 이르기까지 치밀하게, 깊게 성찰한다. 반과학과 미신, 비합리주의와 반지성주의의 유행에 담긴 인간의 오랜 바람을 이해하지 않고는, 의심할 줄 아는 정신과 경이를 느낄 줄 아는 감성의 결합에서 탄생한 과학의 본질을 제대로 이해하지는 않고는 이 경신(輕信)의 풍조를 막을 수 없으리라는 것을 10년에 걸친 조사와 성찰, 연구와 실천의 산물인 이 책을 통해 뜨겁게 보여 준다."

















한국어판 소개에는 과학을 '흔들리는 촛불'에 비유하면서 "도사와 법사가 출몰하고 반과학과 미신, 비합리주의와 반지성주의가 횡행하는 시대"로 지금시대를 묘사한다. 상식이 있는 독자라면 대충 무엇을 겨냥하고 있는지 알 수 있으리라. 
















세이건의 과학 옹호에 적극 공감한다. 하지만 그 과학은 과학에 대한 자기비판까지 포함하는, 그래서 나쁜 과학과 가짜 과학, 그리고 표절과학에 대한 감시를 게을리 하지 않는 과학이어야 한다.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을 법사들의 세상을 버텨내는 '어둠 속의 촛불'로 집집마다 켜놓으면 좋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책자 2022-07-16 21: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육사 위에 검사, 검사 위에 여사, 여사 위에 법사^^
 

백낙청 선생의 비평집 두권이 재간되었다. 첫평론집 <민족문학과 세계문학>(1978)은 앞서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1979)와 합본돼 다시 나왔었고(2011년이었으니 10년이 더 됐다) ‘민족문학과 세계문학‘ 2-3권에 절판된 상태였다(‘민족문학과 세계문학‘은 제목과 부제로 5권까지 이어진다. 백낙청 비평의 입장과 지향을 대변한다). 소식이 뜸해서 2권을 중고로 다시 구입하기도 했는데 깔끔한 새 장정으로 다시 나와서 반갑다(다시 구입해야 하나?).

<민족문학과 세계문학2>는 이번에 <민족문학의 현단계>(1985)로 제목이 바뀌었는데, 이 1,2권은 오래전 대학생이 되어 평론집들을 읽을 때 외경의 느낌을 갖게 했던 기억이 난다. 1990년에 나온 <민족문학의 새단계>부터는 내게 실시간이다. 책이 처음 나왔을 때의 인상을 갖고 있으니. 그 ‘새 단계‘가 어느덧 30년도 더 전의 단계다. 진단과 전망을 지금 시점에서 돌이켜볼 수 있겠다.

마침 강의에서 현대문학사의 여러 쟁점을 짚어보고 있어서(오랜만에 김현 비평도 상기할 수 있었다), 또 현대 소설도 다시 보고 있어서, 시대의 지표가 되었던 평론집들에 눈길이 간다. <민족문학과 세계문학>도 모아놓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렉산더 미카베리즈의 <나폴레옹 세계사>(원제는 ‘나폴레옹 전쟁‘)가 나왔을 때 이만한 두께의 책은 다시 나오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비록 넘어서는 건 아니지만 버금하는 책이 나왔다. 앤드루 로버츠의 <나폴레옹>이다. 1372쪽 분량(<나폴레옹 세계사>가 1440쪽이다).

나폴레옹과 그의 시대에 관한 책은 여러 종 나와있지만 이 두권과 함께 프랭크 매클린의 <나폴레옹>(1144쪽 분량)이 트리오를 구성한다. 1000쪽 클럽에 속하는 벽돌책들이다. 이 책들을 원서와 함께 모두 구비하고 있으니 나대로는 컬렉션을 갖추고 있는 셈(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만을 따로 다룬 도미닉 리븐(Dominic Lieven)까지 번역되면 금상첨화겠다.

근현대사에서 가장 많은 평전이 나온 인물로 나폴레옹과 히틀러를 꼽을 수 있지 않을까(적어도 국내에 소개된 걸로는 그렇게 보인다). 이들이 근현대사 이해에 관건이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론 근대문학사 이해에도 매우 중요한 인물이어서 나폴레옹 평전을 수집하고 있기도 하다(히틀러도 마찬가지다). 당장 이번주 강의에서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와 스탕달의 <적과 흑>을 읽는데 모두 나폴레옹과 깊은 연관이 있는 작품들이다.

근대세계사의 문을 연 프랑스혁명과 관련하여 나폴레옹의 영광과 몰락은 혁명의 성취와 한계를 정확하게 대변한다. 나폴레옹의 생애를 되짚으며 어떤 가능성이 존재했고 왜 좌절되었는가를 따져보는 게 필요한 이유다. 내가 근대문학에 공부의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생각하는 대목이다. <전쟁과 평화>는 두달간 읽을 예정이라 모처럼 모아둔 책들과 대면할 수 있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2-07-04 15: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7-05 00:1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