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강의를 다녀오면서 한주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주말과 휴일에는 또다른 일거리가 잔뜩이지만 눈도 피로한 김에 한숨 돌린다. 서재일만은 미뤄둘 수가 없어서 '이주의 고전'을 고른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아카넷, 2016) 새 번역본이 나왔으니 모른 체할 수 없기도 하다. 동서문화사판까지 포함하면 세번째 번역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은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진다. 전기 철학의 결정판이 <논리-철학논고>라면, 후기 철학은 바로 <철학적 탐구>에 집약되어 있다. <철학적 탐구>는 1930년대 중반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하고 발전시킨 생각들을 담고 있다." 

이번에 나온 아카넷판은 분량이 750여쪽에 이르는데, <심리철학-단편>이 포함돼 있어서다. 한데, 이건 앞서 나온 <심리철학적 소견들>(아카넷, 2013)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모르겠다.

 

 

 

여하튼 새 번역본이 나온 김에 영어판도 새로 장만하려고(예전에 나왔던 것과 좀 다른 듯싶어서) 주문을 넣었다. <심리철학적 소견들>만 주문을 보류한 상태다. 

 

 

언젠가 다룬 듯한데,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철학을 대표하는 <논리-철학 논고>도 선집판(책세상)을 포함해 몇 종의 번역본이 나와 있다. 학부시절에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해설서 몇 권을 읽고 <논리-철학 논고>까지 읽은 기억이 있는데, <철학적 탐구>에 대해서는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었다. 새 번역본은 새로운 흥미를 제공할지 궁금하다.

 

 

역자 이승종 교수는 분석철학 전공자로 대륙철학에도 밝아서 <비트겐슈타인이 살아있다면>(문학과지성사, 2002) 외에도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개정판 2010), <크로스오버 하이데거>(생각의나무, 2010) 등의 저작을 갖고 있다. 새 번역본은 기존 <철학적 탐구> 번역과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아도 좋겠다.

 

 

비트겐슈타인을 처음 접하는 독자라면 박병철 교수의 <비트겐슈타인 철학으로의 초대>(필로소픽, 2014) 같은 입문서를 먼저 손에 드는 게 좋겠다. 관심이 더 촉발된다면 레이 몽크의 <비트겐슈타인 평전>(필로소픽, 2012) 등으로 이행할 수 있겠다. <철학적 탐구>에 대해서는 A 아흐메드의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를 위한 길잡이>(서광사, 2013)이 가이드북으로 나와 있다...

 

16. 05. 13.

 

 

P.S. <철학적 탐구> 얘기를 꺼내다 보니, 오래전에 궁금했던 게 생각난다. 분석철학과 함께 20세기 철학을 양분하고 있는 현상학의 창시자 후설의 주저는 <논리 연구>인데(방대한 분량의 책으로 국내에 아직 소개되지 않았다), 이 <논리 연구>의 '연구'나 <철학적 탐구>의 '탐구'는 독어나 영어에서 같은 단어(Untersuchungen/investigations)다. 후설과 비트겐슈타인의 대표 저작 제목의 같은 단어가 왜 '연구'와 '탐구'로 달리 번역되는 것인지가 궁금했었다(누구에게 물어봐야 하는 건지?). 이를테면 <논리 연구>와 <철학 연구>로, 아니면 <논리적 탐구>와 <철학적 탐구>로 맞춰줄 수는 없었던 건지 궁금하다. 물론 이건 순전히 한국어만의 문제다. 찾아보니 일어로는 각각 <논리학 연구>와 <철학적 탐구> 혹은 <철학 탐구>로 번역된다. 일역본의 영향일까?..

 

P.S. <철학적 탐구>에 실린 '심리철학 단편'과 <심리철학적 소견들> 사이의 관계가 궁금하다고 적은 데 대해 한 전공자 분이 그 둘의 별개의 작품이라고 알려주셨다. 아울러 <탐구>의 편제에 대해서도 자세히 일러주셨는데, 여기에 공유하도록 한다.

심리철학 단편은, 철학적 탐구의 2부를 지칭하는 또 다른 표현입니다. 여기에는 나름의 문헌사가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권위있는 가장 최신 판본인 해커-베이커 제4판(블랙윌)의 편집자 서문의 ix-xi페이지에 걸쳐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 작품은 비트겐슈타인이 거의 마지막까지 수정하던 유고이며, 또 비트겐슈타인의 작업의 특성상 계속 집필 형식과 분류를 수정해갔기 때문에(1부와 2부의 내용을 통합해 정리하려는 시도를 포함하여) 이를 둘러싸고 논의가 계속 진행 중에 있습니다. 보통은 1부와 2부를 묶어 출간하면서 "탐구" 란 단일한 제목에 담지만, 비트겐슈타인 연구자들이 통상 "PI" 로 지칭하고 숫자를 매겨 인용할 때 이는 철학적 탐구 1부의 각 절 번호를 의미하고, 2부는 통상 "PPF", 곧 "Philosophy of Psychology - A Fragment 의 줄임말로 불립니다. 대략적인 연도만을 말하면 1945년 비트겐슈타인은 탐구의 1부를 완성하고 머릿말을 쓴 후, 1945년과 1946년에 걸쳐 "심리철학적 소견들"의 1부와 2부를 완성된 형태의 내용으로 작성하고, 이후 1949년 탐구의 2부에 해당하는 내용(PPF)이 그의 병세로 인해 타이피스트를 통해 구술로 정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951.4.29 영면) 그래서 말씀하신 두 저작은 별개의 작품이며, 여기에 1948년에 작성되어 역시 사후에 출간된 "심리학의 철학에 관한 마지막 글" 이라는 저작도 또 따로 있습니다. 셋은 모두 다른 저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푸른역사아카데미 올여름 월요강좌(6월 13일-8월 1일) 주제는 '19세기 프랑스문학'이다. 발자크에서 모파상까지 주요 작가의 대표작을 8주간 읽을 예정이다(http://cafe.daum.net/purunacademy/8Bko/315).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1강. 6월 13일_ 발자크, <루이 랑베르>

 

 

2강. 6월 20일_ 발자크, <고리오 영감>

 

 

3강. 6월 27일_ 스탕달, <적과 흑>

 

 

4강. 7월 4일_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5강. 7월 11일_ 플로베르, <감정교육>

 

 

6강. 7월 18일_ 졸라, <목로주점>

 

 

7강. 7월 25일_ 졸라, <제르미날>

 

 

8강. 8월 1일_ 모파상, <기 드 모파상>

 

 

16. 05.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 전도사로서 대개는 '책을 읽자', '더 읽자'고 말하는 편이지만, 예외적으로 좀 '덜 읽자'고 불평할 때가 있다. 논어를 두고 하는 말이다. 국민독서 차원에서 보자면, 논어를 읽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쓰는 바람에 정작 다른 책을 읽을 시간이 부족하지 않나 싶어서다. 게다가 해마다 논어와 그 관련서는 어찌나 많이 나오는 것인지. 예의바른 비유는 아니지만, 마치 두더지 잡기 게임에서 두더지들이 튀어나오는 것 같다. 독서가 아니라 퇴치가 필요하다는 인상까지 받는다. 그럼에도 때로는 구미가 당기는 책들이 나온다는 게 아이러니다. 내가 관심을 갖는 것은 논어 자체보다는 논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오구라 기조의 <새로 읽는 논어>(교유서가, 2016)와 황젠의 <사상문>(글항아리, 2016)을 손에 든 이유다. 일독할 시간이 없어서 잠시 미뤄놓긴 했는데, 최근에 나온 공자와 논어 관련서 몇권과 함께 몇 가지 흥미로운 주장과 쟁점에 대해서 언제 따로 다루고 싶다. 그 관련서들을 일단 리스트로 묶어놓는다.

 


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새로 읽는 논어
오구라 기조 지음, 조영렬 옮김 / 교유서가 / 2016년 5월
14,500원 → 13,050원(10%할인) / 마일리지 720원(5% 적립)
양탄자배송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2016년 05월 11일에 저장

논어, 학자들의 수다- 사람을 읽다
김시천 지음 / 더퀘스트 / 2016년 3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지금 주문하면 "4월 29일 출고" 예상(출고후 1~2일 이내 수령)
2016년 05월 11일에 저장

삶의 절벽에서 만난 스승, 공자
이인우 지음 / 책세상 / 2016년 4월
18,000원 → 16,200원(10%할인) / 마일리지 900원(5% 적립)
2016년 05월 11일에 저장
절판

공자전- 반체제 인사의 리더에서 성인이 되기까지 우리가 몰랐던 공자 이야기
시라카와 시즈카 지음, 장원철.정영실 옮김 / 펄북스 / 2016년 4월
16,000원 → 14,400원(10%할인) / 마일리지 800원(5% 적립)
2016년 05월 11일에 저장
품절


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표지 때문에 책을 안 사는 일은 있어도 표지만 보고 책을 사는 일은 드문데, 그럼에도 혹하는 책들이 나왔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의 대표적인 영국 여성 작가 3인의 기품 있는 고전과 클래시컬한 아름다움 안에 현대적 세련미를 표현한 브리티시 헤리티지 브랜드 KEITH의 감성적인 비주얼 컷이 만났다"며 나온 세 권의 책이 그렇다. 발표순으로 하면 <오만과 편견>과 <폭풍의 언덕>, 그리고 <자기만의 방>이다.

 

 

 

세 종의 번역본 모두 갖고 있지만 견물생심이라고 새 표지판을 보니 없던 구매욕도 생긴다. 흠, 이성적으로 판단해보면 같은 번역본을 표지가 달라졌다고 다시 구입하는 것은 매우 낭비적이며 실속 없는 일이다. 그래도 잠시 머뭇거리는 건, '딱 세 권이야'라는 속삭임 때문. 세 작품 모두 강의에서 다룬 적이 있어서 다시 구입할 명분도 없지만, 번역이 조금 수정되었다는 빌미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까지 해본다. 서점에서 실물을 보게 되면 결정이 용이할까? 하긴 이번주에도 구입해야 하는 책이 한두 권이 아닌데, 기회비용까지 고려해봐야겠다. 바라건대, 표지로 현혹하는 일은 자제해주시압!..

 

16. 05.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자주 듣는 노래는 가릭 수카초프의 '새'와 '눈물'이다. 지난주에 유튜브에서 우연히 발견한 가수이고 노래인데, 스타일상으론 비소츠키 계열. 아니나 다를까 비소츠키에 대한 헌정 앨범('나의 비소츠키')도 갖고 있다. 먼저 그의 노래 '새'(https://www.youtube.com/watch?v=K-Nbky7IT_w)를 감상해보시길. 아이들의 백코러스도 인상적.  

 

 

그리고, '눈물'이란 노래(https://www.youtube.com/watch?v=tS9iF0YJI24). 안드레이 즈뱌긴체프(즈비아긴체프)의 영화 <리턴>의 장면들과 맞춰져 있다. 아버지란 존재에 대해 질문하는 영화와 가사가 잘 맞아떨어지는 듯(화면은 비극적이어서 나는 노래만 듣는다). 어버이날에 볼 만한 영화와 노래로 추천할 만하다.

 

 

<리턴>(2003)이 데뷔작인 즈뱌긴체프는 <추방>(2007), <엘레나>(2011), <리바이어던>(2014)까지 네 편의 영화를 찍었다(국내에 출시된 건 <리턴>과 <추방> 두편으로 보인다). 그리고 현재로선 내가 가장 좋아하는 러시아 감독이다. 러시아영화에 현재가 있다면, 그리고 미래가 있다면 나는 즈뱌긴체프에게 걸고 싶다.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과 신인감독상 수상작인 <리턴>의 몇몇 장면만으로도 나의 기대가 과장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으리라. 재작년 부산영화제 때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뒤늦게 아쉽다...

 

16. 05. 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