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카 문학기행의 일정이 일단락되었다. 내일 오전에 베를린 최대 벼룩시장이 열린다는 마우어 공원을 방문하고서 우리는 베를린 테겔공항으로 향할 예정이다.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여 장시간 비행을 한번 더 버텨내면 (한국시간으로) 월요일 오전에 인천공항에 도착하게 된다. 출발점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
베를린 중심에 있는 브란덴부르크 문과 파리광장, 훔볼트대학, 연방의회의사당 등을 둘러본 것이 오늘의 오전 일정이었다. 오후에는 케테 콜비츠 박물관을 먼저 찾은 다음에 바로 옆 레스토랑 겸 카페인 ‘문학의 집‘에서 커피를 마셨다. 이어서 카프카가 도라 디아만트와 함께 베를린에서 마지막으로 살았던 집, 그루네발트가 13번지를 찾았다.
3년 전에는 사람이 사는 집이었는데 오늘은 빈집처럼 보였다. 카프카의 마지막 인생을 잠시 복기하고 막스 브로트에게 남긴 그의 유언과 부모님께 보낸 마지막 편지를 일부 낭독했다. 기념 단체사진을 찍고 카프카가 걸었던 산책로를 따라 베를린 식물원까지 걸어가보는 게 카프카 투어의 대미였다.
다시 버스를 타고 저녁을 먹으러 가는 길에 들른 곳이 베를린 한복판에 있는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나는 3년전에 지하의 기념관까지 둘러보았던 터라 새로울 건 없었다. 다만 메모리얼에서 가까운 아케이드건물 유료화장실 요금이 다른 곳보다 2배 이상 비싼 1유로여서 놀랐다. 1300원이라니!
그만큼 놀란 건 한나 아렌트 거리, 곧 한나 아렌트가를 발견한 것. 히틀러가 정부인 에바와 동반자살했다는 벙커 쪽으로 시선을 돌리자 눈에 띈 도로 표지판에 그렇게 쓰여 있었다(사진을 확대해야 보인다). 생각해보니 3년 전에도 발견하고 흥미로워 했던 듯싶다. 새삼스럽게 바라본 건 아렌트의 주저 <인간의 조건>을 지난봄에 강의하고 또다른 주저인 <전체주의의 기원>을 이번 가을에 강의할 계획이기 때문. 한나 아렌트가와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가운데 어느 것이 먼저 생긴 것인지 모르겠지만 어울리는 조합으로 여겨진다. 홀로코스트와 관련한 가장 유명한 책 가운데 하나가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니까.
그리하여 오늘의 여정은 케테 콜비츠에서 카프카를 거쳐 아렌트로 마무리되었다. 비록 그의 사후의 일이지만 카프카의 세 여동생이 모두 나치의 수용소에서 죽임을 당했으니 카프카 역시도 홀로코스트와 무관하지 않다. 그렇다면 카프카의 문학은 홀로코스트에 대해 무엇을 말해줄 수 있을까? 법과 권력의 부조리한 횡포? 생각나는 건 조르조 아감벤의 카프카론인데 또다시 카프카 투어를 떠난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업그레이드 해두어야겠다...
![](http://image.aladin.co.kr/product/14/80/cover150/8939204913_2.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0567/25/cover150/k462530437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82/88/cover150/8935656615_1.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0/pimg_753748153173529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0/pimg_753748153173529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