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내란 수괴이자 피의자 윤석열에 대한 국회의 탄핵 표결을 앞두고 있다. 탄핵 반대가 당론이라는 여당(이라기보다는 내란 동조접단)에서 찬성표가 얼마나 나올지가 관건이다. 공개적으로 찬성의사를 밝힌 여당 의원이 7명이라서 추가 찬성자가 없다면 탄핵을 위한 200표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199:101). 그렇게 되면 내란 종식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대한민국은 내전으로 치달으며 파국에 직면할 수 있다. 기대대로 몇표라도 찬성표가 더 나온다면(산술적으로는 한표라도 더해진다면) 내란 수괴와 그 동조세력을 무력화하면서 한단계 진일보한 정치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

오늘의 2차 탄핵 표결은 대한민국이라는 정치공동체의 명운이 걸려 있는 표결이다. 헌법을 부정하는 권력과 세력이 입헌국가의 운영을 맡고 있다는 사실의 부조리성을 따지는 일은 일단 표결 다음의 일이다. 다수 국민의 열망대로 국가의 안위와 안정이 정파적 이익보다 우선되지 않는다면, 대한민국은 너무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된다. ‘정치‘가 제 역할을 못하면 ‘정치적인 것‘이 전면에 나서게 된다. 탄핵 찬성과 반대가 맞서는 내전 상황(정치적인 것의 전면화)이 지속된다면 국민의 일상이 파괴되고 국럭은 탕진될 것이다. 국민 다수의 뜻을 짓밟는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PS. 204표 찬성으로 가결되었다. 대한민국은 전진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irdy30 2024-12-20 13: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과연 대한민국이 전진할 수 있을까요?ㅠ 1950년 이후 선진국에서 발발한 최초의 쿠데타라네요 한국이 또 해냈어요ㅠ
최대한 신속히 상황정리를 한다해도 무너진 국격을 회복하는 데는 40년이 걸린다는데 그런 건 전혀 아랑곳하지않는
세력들이 아직도 20%라는...

내나라에서 내가 이렇게 불안하게 사는 거 너무너무 불안하고 화납니다
 
 전출처 : 로쟈 > 슬라보예 지젝과 '공부한다는 것'의 의미

15년 전의 기획대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강의 공지다. '분당고전클럽'에서 내년 상반기에 한국근대문학 다시 읽기를 진행한다. 비대면 병행으로 격주 수요일(오전10시-12시)에 진행되는데,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유료강의이며 문의 및 신청은 010-2482-6874 전주혜).


한국근대문학 다시 읽기


시즌1


1강 2월 05일_ <춘향전>



2강 2월 19일_ 이광수, <무정>



3강 3월 05일_ 김동인, <감자>



4강 3월 19일_ 염상섭, <만세전>




시즌2


1강 4월 02일_ 염상섭, <삼대>



2강 4월 21일_ 이광수, <흙>



3강 5월 07일_ 김동인, <운형궁의 봄>



4강 5월 21일_ 심훈, <상록수>




시즌3


1강 6월 04일_ 박태원,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2강 6월 16일_ 박태원, <천변풍경>



3강 7월 02일_ 이상, <이상 소설 전집>(1)



4강 7월 16일_ 이상, <이상 소설 전집>(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라타니 고진의 대표작 <세계사의 구조>가 재번역돼 나왔다. 개정된 이와나미 문고판 내지 영어판에 맞춘 개정판으로 ˝약간의 과장을 보태자면, 거의 모든 문장을 손보았다˝고 역자는 밝힌다. 이미 후속작 <힘과 교환양식>도 번역본이 나와있는 상태라 <세계사의 구조>를 다시 읽기 위한 여건은 마련되었다.

<일본 근대문학기원> 강독 이후 가라타니 고진의 주저 읽기 강의를 계속 만지작거리던 차였는데 내년에는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되었다. 아직 달력을 한장 남겨놓고 있지만 마음은 벌써 2025년을 준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난 10월초부터 12월말까지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전시실에서는 고 김윤식 교수의 학문세계를 되돌아보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혼신의 글쓰기-김윤식의 한국현대문학사‘. 오늘 회원들과 단체로 관람하며 잠시 시간여행을 다녀왔다.

학부 1학년 가을학기 때 강의실에서 선생을 처음 대면했으니(어느덧 나는 그때의 선생보다 나이가 많다) 벌써 37년의 시간이 흘렀다. 선생의 첫 저작이 나온 게 1973년의 일이니 87년에 저자는 아직 젊은 나이였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론 학부와 대학원에서 여러 학기 강의를 들었고 2001년 퇴임강연도 경청한 기억이 있다. 90년에 타계한 평론가 김현과 함께 내게는 문학공부의 기초를 만들어준 분이어서 전시회를 둘러보는 감회가 없지 않았다.

책으로는 <한국근대문학의 이해> 같은 책이 강의 교재여서 처음 구매한 것일 듯싶은데 80년대 중반부터 나온 책들은 대부분 손에 들어보았다. 그 느낌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책으로는 <이상 연구>(1987)와 <낯선 신을 찾아서>(1988)가 생각난다. <이상 연구>는 아마도 1학년 겨울방학 때, 그리고 <낯선 신을 찾아서>는 2학년 가을에, 단풍이 물든 풍경을 보며 교정(중앙도서관)에서 읽었다. 독자이자 학생으로서 충만한 느낌을 가졌었다.

오늘 전시회에서 두세 권의 책은 실물로 처음 보았는데, 그중 하나는 이번 전시기간중에 나온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다(전시실에는 표지만 걸려 있었다). 1973년 한얼문고에서 초판이 나온 책으로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토대로 한 것이다. 지난달말에 문학과지성사에서 새로 나온 건 한글 교열판이다. 일지사에서 나온 판본을 소장용으로 갖고 있었는데 이번 한글판은 독서용으로 삼을 수 있겠다(귀가길에 동네서점에서 바로 구입했다). 책과 함께, 독자와 함께라면 저자는 결코 죽지 않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 2024-11-26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87학번이신가요...그러면 27년 전이 아니고 37년 전이네요. 세월을 상기 시켜드린 거 같아 죄송^^;;
‘낯선 신을 찾아서‘는 저도 너무 좋아한 책이었습니다.

로쟈 2024-11-26 23:06   좋아요 0 | URL
그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