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핵심 일정은 헤세의 고향 칼브를 방문하는 것이었다. 바덴-비르템베르크 주의 주도인 슈투트가르트에서 칼브까지는 한 시간 거리. 우리식으로 말하면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단풍이 단정하게 든 호젓한 국도를 즐기다 보면 도착하는 작은 도시다(‘마을‘이었을 이 도시의 인구는 2만3천 가량이라고). 따로 목적지로 설정하지 않는 한 독일여행에서 찾아기기는 어려운 도시이고 그 목적이란 ‘헤세‘일 수밖에 없다.

이미 칼브(‘칼프‘라고도 표기하지만 ‘칼브‘가 발음에 가깝다)의 사진은 많이 봐두어서 낯설지 않고 친숙했다. 그리고 예상대로 칼브는 ‘헤세의 마을‘이었다. 헤세의 생가와 이사했던 집이 보존돼 있었고 마을 중심에는 헤세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헤세가 생을 마감한 스위스의 시골마을 몬타뇰라도 짐작컨대 비슷한 느낌의 마을이지 않았을까 싶다(교회만 다를까?). 마을 곳곳에 ‘헤세의 길‘이란 표지판이 세워져 있는데 헤세가 자주 다녔던 길을 알려주는 이 표지판들에는 헤세의 시 한편씩을 담고 있다. 프라하가 카프카의 도시라면 칼브는 말 그대로 헤세의 마을이었다.

1877년 칼브에서 선교사집 아들로 태어난 헤세는 네살 때 부모와 함께 스위스 바젤로 이사했다가 1886년에 다시 칼브로 돌아와 상급 라틴어학교 진학하기까지 4년간 칼브의 학교를 다닌다. 이 학교 건물도 보존돼 있는데, 더 중요한 기념지는 어린 헤세와 매일같이 지나다녔다는 니콜라우스 다리다. 마을로 들어가는 네 개의 다리 가운데 가장 왼편에 있는 이 다리 중간에 노년의 헤세 동상이 세워져 있다. 인터넷에서 ‘헤세, 칼브‘를 검색하면 바로 보게 되는 동상이다.

다리를 건너자마자 작은 수돗가가 있는 광장이 나오는데 바로 헤세 광장이다. 안내판에는 물론 헤세의 칼브에 대한 소개가 적혀 있었다. 다리 위 동상이 언제 세워졌는지 모르겠지만(같은 작가의 동상이 마을에는 여러 개 더 있다)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헤세를 기념해온 역사는 좀 되는 듯싶었다. 1946년 헤세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이후부터였을까? 설사 노벨문학상을 수상하지 않았더라도 1904년 <페터 카멘친트>를 발표한 이후의 헤세는 독일 문학계의 가장 중요한 작가의 한 명이면서 칼브가 낳은 가장 유명한 인사였을 터이니 충분히 기념할 만하다.

시골 마을답게 칼브는 한적한 편이었고(점심시간이 되어서야 그나마 사람들이 좀 늘었다) 헤세박물관을 둘러볼 때도 관람객은 우리 일행뿐이었다. 전시물을 꼼꼼히 다 살펴보지는 못했지만(유품들은 사진과 독어로 쓰인 사본, 책들 위주다) 순전히 헤세의 삶과 작품으로만 채워진 공간에 서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회를 느끼게 했다. 중학생 때 <수레바퀴 아래서>를 처음 읽은 지 대략 36만의 일이다.

헤세를 읽어본 적이 없는 독자가 칼브를 찾을 일은 거의 없을 테지만, 방문을 위해서 챙겨보아야 하는 작품은 <수레바퀴 아래서>(1906)와 <크눌프>(1915)다. 칼브에서의 학교생활과 마울브론신학교에서 경험을 소재로 한 <수레바퀴 아래서>의 주인공 한스 기벤라트가 헤세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면 작품에서 ˝슈바르츠발트의 작은 마을˝로 지칭되는 마을은 바로 칼브다(한스가 마을의 대표격으로 시험을 치르기 위해 가는 곳이 비르템베르크 주의 수도인 슈투트가르트였다). <수레바퀴 아래서>의 초반과 말미에 주로 묘사되는 마을의 모습과 한스의 동선은 칼브와 겹쳐놓으면 더 생생하게 그려볼 수 있다.

<수레바퀴 아래서>와 간격이 있어 보이지만 <크눌프>를 구성하는 세 편의 이야기 가운데 ‘크눌프에 대한 나의 회상‘이 1908년에 발표되기에 연속적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헤세는 말년의 한 편지에서 크눌프가 고향과 하나였다고 고백하기도 했다. 고향 칼브의 이미지와 의미가 응축된 인물이 크눌프인 것이다. 칼브에서는 그에 걸맞게 크눌프의 동상도 세워놓았다. 헤세 동상이 있는 니콜라우스 다리에서 5분도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 서 있는 크눌프의 동상은 친근하고 너그러운 표정의 방랑자 형상이다. 마을을 한 바퀴를 도는 데 그리 시간이 걸리지 않기에 우리는 크눌프와 여러 번 마주쳤다.

점심식사를 칼브의 식당에서 생맥주와 함께 즐기고 나서도 좀더 시간을 보낸 뒤에야 우리는 버스에 올랐다. 헤세문학 전반에 대한 짧은 강의를 마칠 때쯤 우리는 슈투트가르트에 다시 들어서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뮌헨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슈투트가르트로 이동했다. 아직 해가 뜨기 전이라 슈투트가르트에 대한 아침인사는 잠시 보류. 뮌헨에서 슈투트가르트까지는 3시간 정도의 거리인데 교통체증으로 한 시간 이상 더 소요되었다(우리의 명절 귀성길 같았다). 여러 번의 문학기행에서 처음 겪은 일인데 도로공사구간이 있었던 데다가 화물차 하나가 공사장으로 진입하면서 빚어진 일이었다.

문학기행의 일정은 도시의 주요 명소(뮌헨에서는 구시가지의 광장과 시청사, 대성당 등)를 방문하고(마치 문안인사를 하는 것처럼) 문학과 관련된 옃몆 장소를 들르는 일로 구성된다. 바이에른 주의 수도이자 남독일의 중심도시 뮌헨은(베를린과 함부르크에 이어서 독일에선 세번째로 큰 도시. 인구는 140만 가량) 경제중심지이면서 문화예술의 중심도시다. 하지만 음악과 미술에 비해서 문학과 관련한 명소는 드문 편이다.

구시가지 관광을 마치고 우리는 뮌헨대학 거리로 가서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에 나오는 셸링거리를 관통하여 카프카가 1916년 작품(‘유형지에서‘)을 낭독했다는 서점 자리에 가보고 슈바빙에서 점심을 먹었다. 전혜린의 수필들 때문에 기억하는 이름인 슈바빙 지구는 우리의 대학로쯤에 해당. 이어서 뮌헨이 자랑하는 영국정원을 가로질러(말은 정원이지만 실제는 큰 규모의 공원이다) 우리가 향한 곳은 한 시립도서관이었다. 그곳에 토마스 만 전시관이 있기 때문. 뮌헨이 토마스 만이 30년 동안 살면서 작가로서 전성기를 보낸 도시라는 사실을 조촐하게 알려주는 전시공간이었다. 도서관답게 토마스 만과 그의 가족, 그리고 시대상과 관련한 책들 다수가 별도로 서가에 꽂혀 있기도 했다.

영국정원에서 가진 짧은 자유시간에는 전혜린과 관련한 장소로 카페 제에로제에 들렀다. 전헤린의 책을 다시 보지 않아서 이름을 기억하지 못했지만 일행 중에 꼭 가보고 싶어한 분들이 계셨다. 지금은 이태리 레스토랑이 돼 있었지만 이름은 그대로. 그렇지만 뜻밖의 발견은 그곳 건물이 토마스 만이 1899년부터 1902년까지 3년간 살았던 곳이라는 사실. 전혜린이 아니어도 토마스 만 때문에 일부러라도 찾아갔을 곳이었다.

반가운 마음에 단체사진을 찍고 현판사진도 찍었다. 1900년 여름에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1901) 원고도 쓴 곳이라고 나온다. 23세부터 쓰기 시작하여 26세에 발표한 토마스 만의 대표작. 20대에 이런 대작을 쓴 문학적 천재는 세계문학사에 희소하다. 그에 비하면 <마의 산>(1924) 같은 대표작도 나는 놀랍지 않다고 생각한다. 아무튼 덕분에 뮌헨에서의 일정이 더 풍성해진 느낌이 들었다.

슈투트가르트로의 이동 중에는 릴케에게서 뮌헨이 갖는 의미와 그의 시세계에 대해 짤막하게 강의했다. 나는 <말테의 수기>의 마지막에 나오는 ‘탕아의 이야기‘가 릴케의 문학과 그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 출발점이 된다고 말했다. 집과 조국이 없는, 언어 외에는 아무런 소속을 갖지 않았던 보헤미아의 시인 릴케를 독일 시인으로 분류하는 것은 독어로 시를 썼다는 것밖에 다른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그에 걸맞게 뮌헨은 릴케를 기억하지 않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wo0sun 2018-10-18 20: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뜻밖의 발견~보물찾기에서 선물 찾은 기분이지 않았을까~
(글에서 그런 느낌이 ㅎ)
토마스 만과 함께? 찍은 사진 멋지네요.
흑백사진이라 더.

로쟈 2018-10-19 12:13   좋아요 0 | URL
네 서프라이즈였어요.^^
 

어제 뮌헨공항에 안착해서 하룻밤을 보냈다. 왕실양조장이었다는 호프브로이하우스에서 저녁식사를 한 것이 첫 일정이라면 일정이었다(나치의 첫 집회가 열렸던 곳이라고도 한다. 히틀러가 연설하기도 했던 연단 아래 무대에서는 식사 시간 내내 관악밴드의 행진곡이 울려펴졌다. 독일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뮌헨과의 상견례 같은. 맥주는 맛이 있었지만 기내 석식까지 먹고 한국시간으로 밤 1시가 넘어 기름진 닭고기, 돼지고기를 먹으려니까 힘이 들긴 했다. 게다가 여느 유럽 음식처럼 우리 입맛에는 매우 짰다.

오늘 오후일정을 마치면 슈투트가르트로 이동하여 저녁을 먹을 예정이라 뮌헨과의 인연은 만 하루밖에 되지 않는다. 릴케와 토마스 만 등 여러 작가, 예술가와 연고가 있는 뮌헨대학과 주변 슈바빙거리를 둘러볼 참이고 뮌헨이 자랑하는 영국정원도 들르게 된다. 1916년 카프카가 ‘유형지에서‘를 낭독했던 서점은 현재 남아있지 않은데, 그럼에도 그 자리에는 가보려고 하고, 토마스 만에 관한 전시관도 일정에 추가해서 들를 예정이다.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에 등장하는 뮌헨은 셸링거리다. 크뢰거의 친구인 화가 리자베타의 아틀리에가 자리했다고 나오는 거리다.

여행을 떠나겠다는 크뢰거에게 리자베타는 이탈리아로 가느냐고 묻는데, 크뢰거는 고개를 가로저으며 북쪽으로 갈 거라고 말한다. 그의 목적지는 덴마크 해변인데, 도중에 그는 (지명이 구체적으로 나오지는 않지만) 고향 뤼벡에 들른다. 이번 뮌헨에서 뤼벡을 향하는 독일문학기행의 여정은 토니오 크뢰거의 뒤를 따르는 여정이다. 다만 중간에 괴테의 바이마르와 헤세의 칼브를 방문하는 등 옆으로 자주 샐 예정이지만.

뮌헨의 아침이 환하게 밝았고 이제 목표한 일정을 시작해봐야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isi 2018-10-18 0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즐겁고 유익한 여행 되시길 바랍니다~

로쟈 2018-10-19 12:13   좋아요 0 | URL
감사.~
 

인천공항에서 뮌헨까지 10시간 반의 비행시간을 앞두고 기내에서 적는 페이퍼다. 아침에 부랴부랴 책짐을 쌌는데, 평전과 작품이 우선 순위였다. 릴케와 헤세도 포함되어 있지만 작가와 도시의 연관성을 고려하면 독일문학기행의 핵심은 괴테와 토마스 만이다. 보헤미아 출신의 릴케와 마찬가지로 헤세도 보헤미안적 삶을 살았다. 말년에 스위스에 안착했더라도 그의 정신의 고향을 특정하긴 어려울 것이다(동양에 대한 그의 관심을 고려해보더라도).

반면 프랑크프루트 출신의 괴테의 삶은 성장기를 보낸 프랑크푸르트와 공직자로 오래 봉직했던 바이마르와 분리되지 않는다. 거기에 이탈리아(<이탈리아여행>)와 베츨라(<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등을 더할 수 있겠다. 북부 항구도시 뤼벡 출신의 토마스 만에게도 성장기를 보낸 뤼벡과 작가생활을 시작하는 도시 뮌헨은 핵심적인 장소다(<토니오 크뢰거>는 뮌헨에서 뤼벡으로의 여정을 담고 있다). 이제 그 흔적을 따라보려는 여정을 시작한다. 이륙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터미널에 도착해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리무진을 타고 한숨 돌린다. 지난겨울에는 시간표를 잘못 알아 리무진을 놓치는 바람에 애를 먹었다. 확실히 여행 성수기는 아닌 듯해서 리무진 탑승객은 나를 포함해 두 명이다. 차가 좀 막히더라도 예정시각까지는 공항에 도착하겠다.

문득 독일도 가을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덩달아 알렉산더 클루게의 영화 <독일의 가을>(1978)이 떠올랐다. 순전히 제목 탓이다. 1970년대 서독의 음울한 사회상을 담은 다큐 스타일의 영화. 기억에는 지난 2004년에 모스크바에서 보았다. 사전 정보도 없이 ‘독일의 가을‘이란 제목에 끌려 선택했다가 두 시간 동안 심문을 받는 듯했다. 붉은여단의 테러리스트들을 다룬 이 영화에서 기억나는 건 동료감독이기도 한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무슨 말을 한 건지 기억에 없지만(이 독일 영화를 러시아어 더빙으로 봤던 것 같다) 내가 기억하는 파스빈더는 이 영화에 나오는 파스빈더다.

1960년대가 프랑스 누벨바그의 연대였다면 1970년대는 뉴저먼시네마의 연대였다. 클루게와 파스빈더가 그 대표자들. 영화사에 좀더 관심이 있었다면 이들의 영화와 책을 더 많이 보았을 터인데 내가 본 건 파스빈더의 몇몇 영화와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한나래) 같은 책이다. 클루게의 단편선 <이력서들>(을유문화사)과 러시아에서 나온 영화론집 <알렉산더 클루게> 등도 갖고 있지만 언제 읽을지는 기약이 없다. 1970년대 독일의 문학과 사회에 꽂히지 않는다면 손에 들기 어려울 수도 있다.

같은 독일의 가을이지만 1978년의 가을은 40년 전의 가을이다. 아, 1978년이면 한국도 아직 유신시대였다! 음울하기로 치자면 우리도 못지 않았겠다. 그 이듬해 가을과 겨울, 권력자의 암살과 군부의 반란으로 남한 사회는 격랑에 빠져들 터이다. 다시 되돌리기 꺼려지는 역사다. <독일의 가을>도 그냥 묻어두어야겠다.

아침부터 이런 페이퍼를 적는 걸 보니 여행이 시작된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