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절이고 새봄의 첫날이다. 하루 연장된 휴일이기도 한데, 비가 와서 안팎으로 아주 조용한 하루이기도 하다. 오후에 강의와 관련한 자료들을 챙기다가(요즘은 자료가 너무 많아서 문제다) 잠시 숨을 돌린다. 최근에 나온 일본 관련서를 모아놓도록 한다. 일본근대문학 강의에 이어서 이번 봄에는 현대문학 강의도 진행할 예정이라 정리해둘 필요도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건 태가트 머피의 <일본의 굴레>(글항아리). 지일파 학자가 쓴(역사학자는 아니고 국제정치경제 교수를 지냈다) 일본사 통론이다. 혹은 외부인의 시선으로 쓴 일본 사회와 역사 관찰기.   


"여기 태가트 머피라는 미국인이 쓴 <일본의 굴레>라는 두툼한 인문서가 있다. 부제가 독특하다. "타인의 눈으로 안에서 통찰해낸 일본의 빛과 그늘"이란 말은 이 책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준다. 이 책의 저자는 국제정치경제 전문가인 미국인으로 열다섯 살에 처음 일본 땅에 발을 내디딘 이후로 40년 이상 일본에서 생활해온 일본통이다. 그는 서양인으로서 일본의 낯설고 이질적이며 표면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모습에 흠뻑 빠졌다가 이내 거리두기를 하면서 내부자이자 동시에 외부자로서 이 사회의 모순적인 측면들을 하나둘씩 파악해간다."


그에 대해 강상중 교수의 신작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사계절)는 한반도와 관련하여 한일 관계사를 짚어보고 그 미래에 대한 조언한다. 재일 한국인이라는 저자의 독특한 입장이 한일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강상중은 이 책에서 한반도와 일본의 미래를 자신의 경험과 감각에 의지해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그는 지난 70년간 한국과 북한, 그리고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이 벌인 외교 협상과 그 결과인 합의·조약들을 바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는 미래를 제시한다."


그리고 야스마루 요시오의 <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사상>(논형)은 지난주에 주문하고 배송을 기다리는 책이다. "역사를 추진하는 근원은 민중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통속도덕의 민중사상과 농민잇키의 민중투쟁을 중심으로 일본사상사를 조명한 책." 소개만 보면, 오에 겐자부로의 <만엔 원년의 풋볼>을 떠올리게 된다. 







 









야스마루 요시오는 <현대일본사상론>을 비롯해 여러 권의 저작이 국내에 소개된 학자다. 표지는 낯익은데 책들은 서고 어딘가에 꽂혀 있을 듯하다. 당장은 <일본의 근대화와 민중사상>에 주목하기로. 
















일본 근대 혹은 메이지 유신을 다룬 책은 지난해에도 여럿 나왔었고, 모두 구입했다. 일본문학강의책을 준비하면서 한번 더 생각을 정리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의 매주 페미니즘 관련서가 나오고 있기에 별도의 주목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구면의 책이 있어서 적는다. 라캉주의 페미니스트 제인 갤럽의 <페미니즘과 정신분석>(꿈꾼문고)이 번역돼 나왔다. 원저저를 구한 게 20년쯤 전일 듯싶은데(원저의 표지가 낯익다), 그래서 이미 소개된 걸로 착각하고 있었다. 번역본은 제목과 부제가 바뀌어서 '딸이 유혹'이 부제로 붙었다. 


 














"국내에 처음으로 번역되어 소개되는 페미니즘 이론가이자 문학비평가 제인 갤럽의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딸의 유혹>은 페미니즘 이론과 정신분석의 관계를 연구하는 책이다. 갤럽은 정신분석, 특히 라캉의 이론과 그와 연관된 다양한 페미니즘 텍스트들을 특유의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로써 아주 세밀하게 분석한다."





 










덕분에 떠올리게 된 여성 이론가 몇 명. 우선 <여자가 없다고 상상해봐>의 조운 콥젝. 역시 대표작 <나의 욕망을 읽어라>가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반면 엘리자베스 그로스(그로츠)의 책은 몇 권 번역된 상태. 역시 라캉주의 페미니스트인데, <뫼비우스의 띠로서 몸>으로 소개됐던 책이 재작년에 <몸 페미니즘을 향해>로 다시 나왔다. <페미니즘과 정신분석>과 같은 시리즈로.
















분류하자면 들뢰지언 페미니스트에 속하는 로지 브라이도티의 <변신>도 같은 시리즈의 책이다. <유목적 주체>로 처음 소개됐던 이론가다.

















라캉주의 페미니즘 이론가로 엘리자베스 라이트도 꼽아볼 수 있는데, 일찌감치 번역됐던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의 편자이기도 하다. 절판된 지 오래됐는데(정신분석사전 류가 대개 절판된 상태다), 다시 나올 수 있는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현대사('인민3부작') 연구자로 국내에 소개된 프랑크 디쾨터의 신작은 <독재자가 되는 법>(열린책들)이다(원제도 그렇다). '히틀러부터 김일성까지, 20세기의 개인숭배'가 부제인데, 목차를 보면 무솔리니부터 멩기스투(에티오피아)까지 8명의 독재자를 다루고 있다(겸사겸사 독재자 관련서들을 검색해봤는데, 손가락에 꼽을 수 있는 책이다. 덕분에 <독재자를 무너뜨리는 법>까지 다시 떠올리게 되었다).


 















"<독재자가 되는 법>에서 프랑크 디쾨터는 20세기 들어 오싹할 정도로 효과적인 개인숭배를 강요한 8인을 돌아본다. 세심하게 연출된 행진, 치밀하게 구축한 신비주의 장막, 지도자를 찬양하는 노래와 출판물에 이르기까지 이들 독재자는 자신의 이미지를 포장하기 위해 끊임없이 안간힘을 썼고 전 국민이 자신을 찬미하도록 부추겼다."


히틀러나 스탈린, 마오쩌둥, 그리고 김일성까지는 '친숙'한데, 대표 독재자 가운데 무솔리니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별로 없다는 생각에 관련서를 여러 권 찾아보고 다운받기도 했다.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과 관련하여 궁금하기도 해서다. 

















<무솔리니 나의 자서전>을 빼고는 갖고 있는 책들인데, 역시나 서고를 뒤져야 한다. 
















이탈리아 레지스탕스 운동과 관려해서는(프리모 레비도 그 일원이었다) 몇년 전에 책들을 구입한 게 있는데, 순서상으로는 이탈리아 현대사를 먼저 참고해야 할 듯하다. 


 














이탈리아문학, 특히 현대문학(단눈치오부터 움베르토 에코까지)을 언제 강의에서 다루게 될지 모르겠지만, 그 준비로도 필요하다. 책들을 모아놓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혁명과 반혁명

1년 전 페이퍼다. 관심주제였는데 책들을 어디에 놓았는지. 흠 다시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간지 칼럼과 산문집, 에세이로 더 널리 알려진 김영민 교수가 두툼한 전공서적을 펴냈다. <중국정치사상사>(사회평론아카데미). 같은 제목의 영어판 저작의 존재는 알고 있었는데, 한글판은 그 확장판이다. 정확히 가늠이 되진 않지만 두 배 이상 되지 않나 싶다. 영어판은 288쪽이고, 한글판은 900쪽이 넘어간다. 소개는 이렇다. 


 














"한국어판 중국정치사상사는 그 분량만 해도 영어판의 두 배 이상에 달한다. 이 책은 한국인에 의해 쓰인 첫 중국정치사상사로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무지막지한 단순화나 본질주의의 언명”에 호소하지 않고 미시적인 분석과 거시적인 서사를 유려하게 결합함으로써 ‘중국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답하는 이 책은 중국 사상의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훌륭히 복원한다. 중국, 일본, 한국, 서양 학계의 다양하고 방대한 연구 문헌을 종횡무진 넘나들며 분과 학문의 경계를 자유롭게 횡단하는 융통성 있는 방법론을 통해 기존 학계의 관습에 도전하는 새로운 해석과 중국정치사상에 대한 귀중한 통찰을 들려준다."


한국인이 쓴 '중국정치사상사'가 그간에 나온 적이 없던가, 궁금해졌는데, 고대정치사상이나 근대정치사상 관련서는 있었던 것 같은데, 이를 통으로 다룬 책은 없었다는 뜻 같다. 한편, 송영배 교수의 책을 바로 떠올리기는 했는데, <중국사회사상사>가 생각나서다. 정치사상과 사회사상이 같지는 않더라도 그렇게 무 자르듯이 구분되는 것 또한 아닐 것이다. 
















김영민 교수의 책도 두툼하지만, 앞서 중국학자 류쩌화(유택화)의 방대한 저작 <중국정치사상사>(글항아리)가 소개돼 있는 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다(전공학자의 서평을 참고해봐야겠다). 
















각해보니 소공권의 <중국정치사상사>(서울대출판문화원)도 소장하고 있는 책이다(당분간은 읽을 일이 없겠지만). 그리고 류쩌화의 대작을 번역한 장현근 교수도 이 분야의 책을 펴냈다. 아, 장현근 교수의 서평을 기대해봄직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