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회의(305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석영중의 <뇌를 훔친 소설가>(예담, 2011)에 대해 적었다. 마감일에 급하게 보내느라 퇴고를 하지 못했었는데, 편집자가 교정을 보느라 고생을 했다. 한 곳은 더 보태서 고쳐놓는다.
기획회의(11. 10. 05) 문학과 뇌과학, 서로를 비추다
<뇌를 훔친 소설가>. 소설 제목으로 그럴 듯하지만, 뇌과학과 문학을 다룬 인문서이다. 이렇듯 두 분야가 겹치거나 교차할 때는 책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 모르겠다. 이 경우는 저자 석영중 교수가 러시아문학을 전공한 인문학자이기에 ‘인문서’로 분류하고 리뷰를 쓴다. 그렇다고 나름대로 문학에 식견을 갖춘 뇌과학자가 비슷한 유형의 책을 쓰지 말라는 법은 없다. 실제로 과학보다 앞서서 인간 두뇌의 비밀을 밝혀낸 여덟 명의 예술가들을 조명한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지호)의 저자 조나 레러는 신경과학 전공자이고 이 책은 ‘뇌과학서’로 분류돼 있다. 그렇게 ‘교양 인문학’과 ‘교양 과학’의 경계가 어딘지 모호하다면 그냥 ‘21세기 교양’으로 묶어도 좋겠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말대로 뇌과학 정도는 현대인의 필수교양이니까.
일단은 분위기 파악부터 해보자. 저자가 프롤로그에서 적은 대로 “뇌는 21세기 인류에게 가장 흥미로운 화두 중 하나다.” 과학계에서도 인간게놈프로젝트와 함께 뇌지도 프로젝트는 엄청난 연구역량이 투입되고 있는 초국가적 메가프로젝트이다. 여파는 인접 학문에도 미치기 마련이다. ‘신경문학 비평’이라거나 ‘다윈주의 문학비평’ 따위의 분야가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니 조만간 국내에도 소개되지 않을까 싶다. 대체 어떤 분야인가. 신경문학 비평은 우리가 문학작품을 읽거나 창작할 때 “두뇌에서 어떤 뇌세포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를 뇌 스캔으로 관찰하여 독서와 창작의 이면에 있는 생리학적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라 한다. 또 다윈주의 문학비평은 문학을 환경에 대한 적응의 표현으로 보고 “특정 작품의 특정 인물과 플롯은 그러한 생존방식의 표현”이라고 주장한다. 이미 소개된 책도 없지 않다. 영문학자인 질리언 비어의 <다윈의 플롯>(휴머니스트), 생물학을 전공한 데이비드 바래시와 나넬 바래시의 <보바리의 남자 오셀로의 여자>(사이언스북스) 등이 바로 다윈주의 문학비평에 속하는 책들이다.
그렇다면 <뇌를 훔치는 소설가>를 통해서 ‘문학이 공감을 주는 과학적 이유’를 밝히고자 한 저자 또한 이러한 흐름에 일조하려는 것일까. 뜻밖에도 그렇진 않다. “나는 개인적으로 진화 문학이론과 신경문학 비평에 마음이 가지 않는다”라고 못 박고 있기 때문이다. 이유도 분명하다. 현시점에서 다윈주의적이고 인지적이며 신경과학적인 문학연구 방법은 결국 “그래서 어쨌단 말인가?”로 귀착하고 만다는 판단에서다. 문학작품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약간은 바꿔놓을지 모르겠지만 지각변동을 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다만 인간에 대한 이해에 서로 도움을 주는 ‘상호조명’은 가능하리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며 책에서는 “문학적 내용과 자연과학적 사실이 서로를 비춰주는 가운데 드러나는 삶의 지혜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그러한 의도 하에 저자는 뇌과학이 밝혀준 네 가지 ‘자연과학적 사실’을 골랐고 거기에 부합하는 ‘문학적 내용’들을 나란히 배치해놓았다. 그것이 흉내, 몰입, 기억과 망각, 변화라는 주제를 다루는 네 장의 구성이다. ‘흉내’ 장에서 다루는 것은 거울뉴런의 발견이다. 1990년대 초 이탈리아의 신경과학자들이 마카크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처음 발견한 거울뉴런은 “누가 몸짓을 하든 그 몸짓에 반응하는 뉴런”이다. 영장류에게도 타인의 시도에 반응하고 느끼는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인간의 흉내, 곧 모방행동과 감정이입이 신경생리학적으로 어떻게 가능한지 시사한다. 즉 타인의 마음상태를 흉내 냄으로써 타인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학연구자가 보기에 “거울뉴런은 문학작품이 다루어왔던 특정 현상을 신경생물학적으로 증명해준 것이다.”
그럼 뇌과학보다 한발 앞서서 문학작품은 우리에게 흉내에 관한 어떤 진실을 말해주었는가. 저자는 푸슈킨의 <예브게니 오네긴>의 여주인공 타티야나를 일례로 든다. 어린 시절부터 책읽기만을 좋아했던 이 시골처녀가 오만해 보이는 포즈의 도시 청년 오네긴을 만나 단번에 사랑에 빠지게 된 건 무엇보다도 수많은 연애소설들 탓이다. “수백 권의 연애소설 속에서 수천, 수만 번의 사랑을 읽을 타티야나의 뇌에서는 소설적인 사랑을 거울처럼 비춰주는 신경세포들이 아우성을 치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그녀는 ‘표절의 여왕’이며 그녀가 오네긴에게 보낸 편지는 낭만주의 연애소설의 모사품이다. 하지만 작품에서 타티야나는 그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모방에서 벗어난다는 점에서 오네긴과는 달리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몰입’에 관한 장에서는 ‘보상 신경전달물질’로도 불리는 도파민이 소개된다. 뇌과학자들에 따르면 도파민은 “뇌를 각성시켜 집중과 주의를 유도하고 쾌감을 일으키며 삶의 의욕을 솟아나게 하고 창조성을 발휘하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이 도파민과 관련한 사례를 찾자면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에서 키티와의 사랑에 흠뻑 빠졌을 때나 풀베기에 몰입하면서 무아지경에 빠졌을 때 레빈의 모습이 전형적이다. 또 파스테르나크의 <닥터 지바고>에서 지바고가 시를 쓰면서 체험하는 희열 또한 몰입의 대표적 사례다. 그는 시대적 혼란과 개인적 역경 속에서도 “시 쓰기에 몰입함으로써 삶도 죽음도 초월하는 창조의 지복을 경험한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모든 몰입이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몰입과 중독은 같은 상태의 두 가지 다른 이름이기에.
‘기억과 망각’이란 주제에 대해서도 뇌과학은 기억이 부호화, 저장, 인출, 망각이라는 네 단계의 과정을 밟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 것이 바로 기억에 대한 프루스트의 면밀한 관찰이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마들렌 과자를 통해서 주인공의 과거 기억이 환기되는 장면은 신경과학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대목이라고 한다. 물론 프루스트가 보여준 건 병적일 정도로 섬세한 기억이 아니라 우리의 상상과 중첩되는 기억이며, 이러한 통찰은 현대 뇌과학의 발견과도 일치한다.
끝으로 ‘변화’ 장에서 저자가 다루는 건 뇌의 ‘가소성’ 문제다. ‘신경가소성’을 말하는데, 이것은 “우리의 뇌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가소성 역시 좋은 면만 갖고 있는 것은 아니어서 우리의 뇌를 풍부하게 하는 한편, 외부 영향에 취약하게도 한다. 저자는 유달리 범속성과 범속한 삶을 자주 모티브로 삼았던 러시아문학, 특히 고골의 작품들과 곤차로프의 소설 <오블로모프>, 그리고 체호프의 단편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예로 들어서 가소성이 갖는 역설적 이중성을 짚어준다.
뇌과학이 계속 발전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문학과의 접점은 더 많아지고 깊어질 것이다. 문학이 얼마나 많은 뇌를 더 훔쳐다놓을지 궁금하다.
11. 10.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