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자 경향신문에 실은 '문화와 세상' 칼럼을 옮겨놓는다. 어제 연평도 포격 훈련 때문에 '전쟁'에 관한 책들을 좀 뒤적이다가 '구조적 폭력' 문제로 방향을 틀어서 쓴 것이다. 참고로, 로스키와 피카소의 일화는 지젝의 근간 <폭력>(난장이, 2011)에서 가져온 것이다. 지젝은 폭력을 '주관적' '객관적' '구조적' 폭력으로 구분하는데, '구조적 폭력'이란 말은 'systemic violence'을 옮긴 것이다. '체계적 폭력'이라고 옮기면 '체계의 폭력'이란 의미가 살아나지 않아서 '구조적 폭력'이라고 옮겼다. 구조적 폭력이란 어떤 사회체제(구조)가 유지되기 위해 가해지는 체제(구조) 자체의 폭력, 기초적 폭력을 말한다. 말하자면 게임에서 일어나는 폭력(반칙)이 아니라, 강요되는 게임의 룰 자체의 폭력성을 가리킨다.



경향신문(10. 12. 21) [문화와 세상]‘구조적 폭력’에 둔감한 한국사회
러시아혁명에 뒤이은 내전이 종식된 후 1922년 소비에트 정부는 주요 반공주의 지식인들을 강제로 추방했다. 철학자와 신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들이 ‘철학 기선’이란 배를 타고 독일로 쫓겨났다. 그들 가운데는 저명한 철학자 니콜라이 로스키도 포함돼 있었다. 강제 추방되기 전까지 그는 유모와 하인들을 거느린 유복한 부르주아 집안에서 안락한 삶을 향유하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그는 매우 친절한 사람이었으며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려고도 애썼다. 그래서 그는 자신에게 가해진 폭력에 대해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자신이 아무런 잘못도 저지르지 않았다고 생각해서다. 무엇이 문제였다는 말인가.
하지만 어떠한 ‘주관적’ 폭력도 행사하지 않았을지라도 로스키가 부당한 폭력의 희생자인 것은 아니다. 직접적인 물리적 폭력과 ‘구조적’ 폭력을 구분하면서 철학자 지젝은 로스키가 누리던 안락한 생활이 가능하기 위해 ‘구조적’ 폭력이 지속되어야만 했던 현실에 대해 그가 놀랍도록 무지했다고 꼬집는다. 따뜻한 거실에서 친구들과 함께 문학과 예술에 관해 고상한 담소를 나누기 위해서는 제정러시아라는 억압적 체제가 공고하게 유지돼야 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모든 폭력에 반대한다는 비폭력주의만으론 부족하다. 사회체제의 기초적 차원에 놓인 구조적 폭력을 간과하거나 문제삼지 않는다면 그것은 허울 좋은 구호에 그치고 말 것이다.
무엇이 한국 사회의 구조적 폭력인가. 승자독식의 자본주의 체제 자체가 ‘소리 없는’ 구조적 폭력의 원천이다. 현대자동차 울산 1공장에서는 7300여명의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데, 이 중 23%인 1700여명이 사내하청업체 비정규직원이라고 한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같은 컨베이어 벨트에서 함께 일하지만, 비정규직의 급여는 정규직의 50~70%에 불과하다. 이러한 차별적 임금에 더하여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해고에 대한 상시적인 불안에 시달려야만 한다. 이런 것이 대다수 비정규직 노동자의 현실이고, 한국 사회에 만연한 구조적 폭력의 실상이다. 그 정도는 상식 아니냐고? 물론이다.
하지만 그것을 ‘상식’으로 용인하는 우리의 시선 자체가 대단히 문제적이며 폭력적이라는 자각이 필요하다. “억울하면 정규직이 되면 될 거 아니냐?”는 시선이야말로 구조적 폭력의 방관자이자 대행자이기 때문이다. 그런 태도는 얼마 전 화제가 된 재벌회장 사촌의 ‘맷값 폭행’에 대해 “억울하면 재벌 사촌이 되면 될 거 아니냐?”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맷값 폭행’에 대해서는 들끓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냉담한 게 우리의 여론이다. 주관적 폭력에는 발끈하지만 구조적 폭력에 대해서는 아직도 둔감하기 때문일까. 이런 둔감함의 표지는 술자리 건배사에서도 읽힌다. ‘이명박을 대통령으로’의 약칭이기도 했다는 ‘이대로’는 현재의 불평등한 사회적 구조가 지속되기를 바라는 기득권자들의 구호다. 군사정권 때부터 내려왔다는 ‘위하여’란 구호는 일종의 ‘충성구호’라고 하지만, 뭔가 ‘대의’를 잃어버린 것처럼 여겨진다. 무엇을 ‘위하여’란 말인가. 다수의 희생과 착취에 근거한 사회체제가 ‘이대로’ 지속될 리는 없다. 그렇다고 막연한 ‘위하여’로 사회가 변화할 것 같지도 않다. 우리에겐 ‘이대로’와 ‘위하여’를 넘어서려는 의지와 결단이 필요하다.

피카소의 사례가 교훈이 될 수 있다. 2차 세계대전 때 독일군 장교가 파리에 있는 피카소의 화실을 찾았다. 나치의 무차별 학살을 고발한 ‘게르니카’를 보고 이 장교는 “당신이 그랬소?”라고 물었다. 피카소는 이렇게 말했다. “아니요, 바로 당신이 그랬소!”
10. 12. 21.



P.S. 니콜라이 로스키의 일화는 레슬리 챔벌레인의 <레닌의 사적인 전쟁>(2007)에서 지젝이 인용한 것이다. 피카소 얘기가 나온 김에 검색해봤지만, 허다한 예술가 평전 가운데 피카소 평전은 눈에 띄지 않는다. '결정판'이라고 할 만한 평전이 없진 않을 듯싶은데, 가장 유명한 현대 화가의 평전이 소개되지 않는 것도 좀 기이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