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자 경향신문에 실리는 '문화와 세상' 칼럼을 옮겨놓는다. 무엇을 칼럼의 소재로 삼을까는 언제나 고민거리인데, 그냥 오늘 낮에 떠오른 주제를 적었다. 물론 즉석에서 떠올린 건 아니고 여러 아이템 중의 하나로 머리속에서 궁굴리던 것이긴 하다.

경향신문(10. 08. 10) 남성과 여성 그리고 소통
여성의 언어와 남성의 언어가 따로 있는가? 사회언어학자들에 따르면 그렇다. 언어에도 성차가 있다. <당신은 이해하지 못한다>의 저자 데보라 태넌에 따르면, 여성들은 남성보다 부드러운 감탄사를 사용하며 ‘귀엽다’ 같은 별다른 의미없는 형용사를 더 많이 쓴다. 그리고 자기 주장 끝에다 “그렇지 않니?”라는 질문을 자주 덧붙인다. 남성보다 주장을 다소 완곡하게 표현하며 더 정확한 문법을 구사한다. 밋밋한 표현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음역과 억양을 사용하며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같은 공손한 표현을 즐겨 쓴다. 이런 것이 말하는 방식의 차이라면 더 중요한 차이는 대화의 목적에 있다. 간단히 말하면, 남자는 ‘독립’을 원하는 데 반해서 여자는 ‘친교’를 원한다. 저자는 이런 예를 든다.
남편 조쉬가 옛날 고등학교 동창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비즈니스 문제로 조쉬가 사는 도시에 내려올 예정이라는 말에, 조쉬는 대뜸 주말에 자기 집으로 오라고 초대했다. 하지만 그 말을 전해들은 아내 린다는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었다. 자신도 출장을 갔다가 주말에 돌아올 예정인데 한마디 상의도 없이 혼자 결정을 내리고 일방적으로 통고해도 되느냐고 따졌다. 그러자 조쉬가 버럭 소리를 지른다. “어떻게 친구와 약속을 하면서 마누라한테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말을 해!”
조쉬를 ‘K씨’로, 린다를 ‘부인 L씨’로만 바꾸면, 우리 자신과 주변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풍경 아닌가. 남편은 아내와 상의하는 일을 ‘허락’을 구하는 일로 보아 자신의 ‘독립성’에 대한 침해로 간주한다. 그는 마누라 앞에서 벌벌 떠는 못난 사내란 평을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 반면에 아내는 가급적 모든 일은 상의해야 하며 그것이 서로에 대한 존중이라고 생각한다. 부부란 가장 ‘친밀한’ 관계이기에 그렇다. 태넌의 주장대로, 친교가 “우리는 아주 밀접해서 똑같다”는 뜻이고 독립이 “우리는 떨어져 있는 만큼 각각 다르다”는 뜻이라면 둘을 조화시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은 문제다. 이들은 각기 다른 두 개의 ‘세계’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각각 세상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이 두 세계 사이에서 과연 연대와 소통은 어떻게 가능할까? 가장 흔한 대증요법은 서로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라는 것이다. 물론 상대방의 입장이 돼볼 수 있는 기본적 상상력이 이 경우엔 요구된다. <정의론>의 철학자 존 롤스라면 ‘원초적 입장’이란 걸 대안으로 제시할 법하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각자의 편파적 입장에서 벗어나 ‘성별 없음’이란 입장에서 문제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즉 각자가 자신의 성이 무엇인지 모른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공정한 합의를 모색한다. 원리적으로는 그럴 듯해 보이는 주장이지만, 모두가 동의하는 건 아니다. <남자다움에 관하여>를 쓴 정치철학자 하비 맨스필드는 우리가 자기 성별을 알고 있을 때의 선택과, 알고 있지 못할 때의 선택은 별개라고 주장한다. 게다가 ‘성별 없음’이란 입장은 어떤 결정에서 성이 중요하지 않다는 판단을 전제로 하는데, 성이 중요하지 않다는 걸 우리가 어떻게 아느냐는 것이 그의 반론이다. 오히려 남자는 남자답게, 여자는 여자답게 행동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그는 본다. 성별 간의 자연적 차이를 부인할 수 없다면 언어적 차이 또한 부인해서는 안 된다는 쪽이다.
그런 경우 해법은 우리가 감수해야 할 불편을 경탄의 대상으로 만드는 것인지도 모른다. “당신은 어떻게 혼자서 다 결정하고 통보만 하실 수 있지요? 너무 귀여운 거 아녜요?” “어떻게 모든 걸 당신 허락을 받으라는 거요? 가슴이 떨려서 매번 그렇겐 못하오!” 아무래도 날이 너무 더운가 보다.
10. 08. 09.



P.S. 칼럼에서 언급한 데보라 태넌의 <당신은 이해하지 못한다>는 <남자를 토라지게 하는 말, 여자를 화나게 하는 말>(한언출판사, 2001)로 번역돼 있다. 처음엔 <남자의 말, 여자의 말>(한언출판사, 1999)이란 제목으로 나왔던 책이다.



하비 맨스필드의 <남자다움에 관하여>(이후, 2010)는 알다시피 얼마전에 출간된 책이다. 데보라 태넌에 대해선 이 책에서 남성의 언어와 여성의 언어를 다룬 대목에서 알게 됐다. <하버드, 철학을 인터뷰하다>(돌베개, 2010)에 실린 그의 인터뷰도 참고했다. 칼럼에서 언급한 내용이 역시나 부정확하게 번역돼 있다. 자세한 건 나중에 <남자다움에 관하여>를 다룰 기회가 생기면 지적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