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가길에 서점에 들렀지만 구하지 못한 책의 하나는 막스 베버에 관한 비판적 입문서로 출간된 키어러 앨런의 <막스 베버의 오만과 편견>(삼인, 2010)이다. (뒷담화들 덕분에) 입문서 가운데에서는 가장 재미있을 것 같은 책이다. 올해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의 새 번역본이 나올 예정인데, 뒤르켐, 마르크스와 함께 고전사회학의 3대 창시자로 불리는 베버에 대해서 본격적인 재평가의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듯싶다.


세계일보(10. 02. 27) ‘막스 베버’ 키드에게 보내는 편지
먼저 상상을 해보자. 만일 마음속으로부터 존경하는 사람이 큰 사고를 치거나 엄청난 위선자로 밝혀진다면 당신은 어떻게 반응할 것 같은가. 그럴 리가 없다고 부인하거나 외면하거나 침묵할 것이다. 물론 정치적, 혹은 종교적 추종자라면 그래도 맹목적으로 옹호할 수도 있다. 이번 주에 번역돼 나온 키어런 앨런 아일랜드 더블린대학 사회학과 교수의 ‘막스 베버의 오만과 편견’(박인용 옮김, 삼인)을 보면 딱 그런 상황에 빠진다.
막스 베버가 누군가. 고전 사회학의 초석을 다진 거두로 역작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통해 자본주의 발전에서 청교도주의가 행한 역할을 탁월하게 밝힌 학자, 사회학 방법론과 정치 카리스마에 대한 정교한 논의로 후대 사회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 학자, 현대사회의 관료제 문제에 대한 냉정한 분석으로 위상이 퇴락한 마르크스를 대신해 오늘날 더욱 각광을 받는 학자가 아닌가.
저자는 책의 부제로 ‘독일의 승리를 꿈꾼 극우 제국주의자’라고 달았다. 저자에 의하면 고매하고 점잖을 것만 같은 베버는 “이 전쟁은 지도의 변화나 경제적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명예를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전쟁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독일이 필요로 한 것은 쉽사리 절망에 빠지기 쉬운 수사적 호언장담이 아니라 분명한 전략적 목표”라며 제1차 세계대전을 찬양하고 동양인과 흑인을 덜 떨어진 인종이라고 비웃었으며, 히틀러 못지않게 게르만의 영광을 꿈꾼 제국주의자였다는 것이다. 베버는 아프리카인들에게는 문화가 없으며, 식민지배를 받더라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것으로 봤다.
이쯤 해도 입이 떡 벌어지고, 머리를 저을 것이다. 그럴 리가…, 하면서 말이다. 나아가 베버는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독일제국과 게르만민족의 패권을 내세우는 민족주의자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심지어 준(準)군사 전략가로 중부와 동부 유럽을 독일의 패권 아래 두면서 영국과는 협정을 맺고 벨기에는 볼모로 활용하면서, 주된 적국인 러시아에 대항할 것을 주장했고 ▲패전의 기운이 역력한데도 끊임없는 전국적 게릴라전을 역설했으며 ▲관료제와 자본주의는 영원할 것이며, 우매한 대중은 오직 카리스마적 지도자만이 구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관료주의 문제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에 대한 비관주의적 전망을, 민족주의적 카리스마에 대한 호소로 돌파하려 한 대목에선, 나치 파시즘과 히틀러의 냄새가 물씬 풍긴다.


의회를 비롯한 모든 종류의 민주주의 제도에 불신을 드러내기도 한 베버는 또한 학문 연구의 궁극적 목표를 “독일의 정치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아무렇지도 않게 말했다. 저자는 베버가 말하는 정치교육이란 “독일제국을 이끌어 나갈 사명을 뜻한다”고 지적한다. 정치에 학문이 종속된다고 본 셈이다. 이는 분명 존경받을 학자의 태도는 아니다. 베버의 명성과 진실을 다시금 재고해야만 하는 이유다.(조정진 기자)
10. 0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