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역사서 가운데 눈길을 끄는 책은 나가미테 시게토시의 <독서국민의 탄생>(푸른역사, 2010). 관심분야의 책이라 바로 입수했는데(제목만으로도 책의 내용은 어림해볼 수 있다), 저자가 도서관 사서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구체적으론 '도쿄대학교 사료편찬소 도서실'에 근무하는 걸로 돼 있고, 이미 <잡지와 독자의 근대>(1997)란 책으로 일본출판학회상을, <모던도시의 독서 공간>(2001)이란 책으로 일본도서관정보학회상을 수상한 경력이 있다. <독서국민의 탄생>(2004)까지 '3부작'이라고 부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 여하튼 우리의 경우와 비교도 해봄직한, 그런 자극을 던져주는 책이다. 소개기사를 챙겨놓는다.   

국민일보(10. 01. 30) 100년전 일본엔 ‘책 읽는 국민’이 있었다… ‘독서국민의 탄생’ 

책에는 인류의 지혜와 각종 정보가 담겨 있다. 지식을 축적하고 전파하는 주요 수단이다. 따라서 책을 많이 읽을수록 그만큼 무형의 자산을 많이 갖게 된다. 개인적으로도 그렇지만 국가적으로도 독서를 중요한 덕목으로 여기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독서는 다른 오락거리에 밀려나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08년 국민 독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 반면 이웃나라 일본은 대표적인 독서강국으로 꼽힌다. 



출퇴근 시간 지하철 안에서 승객들이 무언가를 읽고 있는 모습은 일본에서는 익숙한 풍경이다. 초등학생의 연간 도서관 대출 건수가 1인 평균 30권이 넘을 정도로 일본에서는 어려서부터 독서문화가 형성돼 있다. 이는 일본이 경제는 물론 문화에서도 세계 강국으로 발돋움하는 기틀이 됐다. 일본의 독서문화는 어디에서 연유한 것일까. 일본은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독서강국으로 자리매김한 것일까.

도쿄대학교 사료편찬소 도서실에서 근무하는 나가미네 시게토시가 쓴 ‘독서국민의 탄생’은 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다. 저자는 ‘독서국민’을 신문이나 잡지, 소설 등 활자미디어를 일상적으로 읽는 습관을 가진 국민으로 정의한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근대 초기에 형성된 독서 문화에서 독서국민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당시 활자미디어의 전국 유통, 사람들의 이동성 증가, 다양한 독서 장치의 보급 등이 어우러지면서 독서문화는 광범위하게 형성됐다.

19세기 말 대량수송수단인 철도의 출현과 신문 판매업자나 서적·잡지 중개업자의 등장은 활자미디어의 전국 유통망을 구축했고, 이것이 독서의 대중화를 이끄는 기반이 됐다는 것이다. 철도망의 확대로 철도 여행자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차내 독자’라는 근대의 새로운 독자 유형과 여행 독서 시장이 생겨난 것도 특징이다. 일본의 철도 승객은 1880년대 수백만명에서 1907년 1억4300만명에 달할 정도로 급증했다. 독서는 철도 여행의 무료함을 해소하는 수단이어서 승객들 사이에 급속히 확산됐다. 당시 차내에서 독서하는 모습은 문명국민의 상징이었다.

일본의 독서국민 탄생에는 정부의 역할도 컸다. 정부는 신문종람소와 도서관이라는 두 가지 장치를 통해 독서국민을 이끌었다. 신문종람소는 역 구내나 주변을 중심으로 여러 신문이나 잡지를 모아 무료나 혹은 싸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한 독서시설로 1880∼90년대 전국 각지에서 광범위하게 설치된다. 또 호텔이나 여관, 기차 대합실, 열차 안 등 곳곳에 독서공간을 마련해 독서 환경을 조성했다.

도서관의 활성화는 독서국민 탄생의 기폭제였다. 일본 정부는 전 국민의 의식 함양을 위해 일찍부터 지방에 작은 도서관을 설립했다. 그 결과 일본의 도서관은 1912년에 540개나 됐고, 총장서도 275만권에 달했다. 도서관은 이후 비약적으로 늘어나 26년에는 4000개에 달했다.

1880년대 도서관 이용자들은 주로 도시의 중산층 지식인과 그들의 자제인 학생들이었으나 1900년대로 들어서면서 도시의 하층계급 뿐 아니라 지방 군 지역 주민들로까지 확대됐다. 도서관 이용자는 도서관에서의 독서체험을 통해 근대적인 독서 습관을 몸에 익힌 독자로 성장해 독서국민의 중핵을 형성하게 됐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1912년 도서관 이용자는 전국적으로 연간 395만명에 달했다.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독서국민을 형성하려면 읽고 쓰는 능력과 독서습관의 보급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독서 습관을 획득한 사람들에게 읽어야 할 독서 재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일을 독서국민 형성의 둘째 요건으로 꼽았다. 일본에서는 20세기로 넘어가는 그 즈음 이 두 가지 요건이 적절히 갖춰지면서 독서 습관이 몸에 밴 국민들을 만들어낸 것이다.

‘독서는 국력이다’라는 말이 있다. 독서가 개인은 물론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1세기 전 독서국민의 시대를 연 일본의 사례는 문화강국을 꿈꾸는 우리에게도 여러 시사점을 던져준다.(라동철 기자) 

10. 01. 30. 

P.S. 기사에도 일부 인용돼 있는데, 저자가 한국어판 서문에서 적은 내용을 조금 옮겨보면 이렇다(미리보기를 참고할 수 있다). 핵심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 책에서 강조하려는 것은 국민 의식의 형성에 '독서'가 담당한 역할의 중요성입니다. 단적으로 말하면, 전국 방방곡곡에 유통되는 신문이나 잡지, 서적 그리고 그것을 읽는 독자가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 국민국가의 형성은 불가능합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일찍부터 지적되어 온 '식자율'의 문제, 즉 얼마나 많은 이들이 활자미디어를 읽을 수 있는가가 아닙니다. 오히려 '독서 습관'의 문제, 즉 활자미디어를 일상적으로 읽는 독서습관을 가진 독자층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 하는 점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것이 곧 이 책에서 말하는 '독서국민의 탄생'입니다. <독서국민의 탄생>에선는 이 문제를 활자미디어의 유통, 사람들의 이동성 증가, 독서 장치의 보급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다뤘습니다.(5쪽) 

요점은 독서국민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국민국가 형성도 불가능하다는 것. 중앙집권국가의 기반은 활자미디어의 중앙 집중체제였다는 주장이다. 일찍이 베네딕트 앤더슨이 <상상의 공동체>에서 주장한 내용이기도 한데(저자가 머리말에서 가장 먼저 거명하고 있는 것도 앤더슨이다), 저자는 이를 일본의 경우는 어떠했던가란 사례를 통해 실증해보인다.    

한편,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는 "한국에서도 동일한 관점의 연구가 이뤄진다면" 동아시아나 동남아시아 각국의 사례를 비교해볼 수 있으리란 바람을 피력한다. 이미 천정환 교수의 <근대의 책읽기>(푸른역사, 2003)가 나와있다는 걸 알았다면 반가워했을 법하다. 비록 <근대의 책읽기>는 '독서국민의 탄생'이 아니라 '대중 독자의 탄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긴 하지만. 거기에 <국민독자의 탄생>과 비교하자면, '독서 장치의 보급'이란 면도 자세히 다루어지진 않았다. 나가미네의 관점에서는 '무엇을' 읽었느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어디에서' 읽었느냐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근대의 책읽기>와 더 닮은 책은 마에다 아이의 <일본 근대 독자의 성립>(이룸, 2003)이 아닐까 싶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 2010-01-31 20:02   좋아요 0 | URL
예전 이승연씨 사건관련한 글을 잠깐 읽은 적이 있었는데요 ...역사라는 것이 왜곡되는 순간이 언제일까요..해석가들의 눈이 어떤 사건을 분석하기는 이미 늦은 시간일까요..기계로 사람이 움직여지고 의사가 왜곡되고 사람의 입술이 이미 아니라면 우리는 우리 말을 해석하고 사건을 해석하기는 이미 늦은 시간을 맞이하고 있는 건가요..어떤 이의 일을 해석하고 진실을 규명하기에는 이미 늦은 시간을 살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후분석되고 사후진행되는 진실규명이 어떤 죽음을 막는다면 그래도 나은 일일까요..어떤 이들의 행위가 어떤 의도로 왜곡되는 과정을 들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기록하는 기술이 이제 문자나 책이 아니라 음성이 되어야 할 지경이고 그것보다 더하게 음성이전에 어떤 전파 기술이라면 ..역시나 역사는 없는 자에게는 가혹하네요. 기술을 쥔 권력의 입술을 막아설수 있을까요. ....어떤 이는 죽고 어떤 이는 삽니다. 어떤 정부가 거짓을 감아 두고 목숨을 연명하려고 한다면 역사는 유죄를 선택하겠죠 그때가 언제가 되던...그들은 단죄되어야 하고 단죄될겁니다..
가장 빠른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 된다..이것은 고통받는 자들을 위한 역사적 해석이겠죠..언젠가 하신 말씀이던가요??
오늘 장의차를 봤습니다. 서동시장 우수학원이란 간판 아래서요. 이말 언젠가 한것 같은데..그들의 죽음에 대한 기록을 들었습니다. 그 기록을 가진 사람들이 있고 그것을 흐리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배후를 밝히고 그들을 단죄해야 겠죠..
무고한 목숨이 갔습니다..
알고 계신가요??그들의 이름을??기억하셔야 할텐데요...

어떤 배우의 죽음을 목도했고 그것은 살해였습니다. 그들의 목숨과 연결된 아이들이 있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총맞았다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몰랐었는데 이제는 압니다. 가상의 총이라더군요.
가상의 죽음이 무엇인지도 압니다.
누군가 총맞았다는 말을 조심해서 들으셔야 할테입니다. 가짜 총을 가지고 사냥을 하는 정부가 있습니다..
노라는 정부의 수장이 갔습니다. 그가 간과한 사실이 있습니다...역사라는 이름이 어떤때에 누군가를 위해 쓰여져야 한다는 의미를 잘못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현재도 그런 반복이 진행된다면 반복이라는 이름을 우리는 증오하고만 있어야 할까요. 행위자라는 ...주체라는 이름이 어디서 오는 것인지..그것은가해자의 이름이라고 말한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곰곰 2010-01-31 20:04   좋아요 0 | URL
역사와 전쟁을 치르는 한정부가 있습니다. 그 정부의 이름이 누군가의 이름이어야 한다는 것을 그도 알아야 합니다. 그의 이름 뒤에 어떤 누군가의 이름이 더 올려져야 할 시간이 되었습니다...이..라는 이름을 쓰던 한 사내가 그의 운명을 다하여야 할 시간이 왔습니다...그는 역사의 이름으로 사라져 갈 것입니다. 그래서 그의 목숨을 쥔 자들은 자유롭습니다...역사가 그 열쇠를 쥐고 있습니다..이제 역사가 그들을 데려갈 시간입니다.

외투 2010-01-31 22:40   좋아요 0 | URL
전통적으로 종이에 씌여진 글자를 읽는 독서에서 음성으로 읽은 녹음도서를 편안했습니다. 최근 애플의 아이팟용 전자도서도 종이로된 책을 읽은 느낌같습니다. 플레쉬리뷰로 책 미래보기 역시 글씨크기를 확대할 수 있어 읽기 좋았습니다. 독서 인구가 선진국보다 낮다고 탓하기 보다는 독서할 수 있는 환경을 다양하게 만들어가는 문화가 형성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로쟈 2010-02-01 14:58   좋아요 0 | URL
독서인구도 그렇고 독서열도 낮은 편이죠. 요즘은 대학생보다 직장인들이 책을 더 읽는다고도 하고요...

외투 2010-02-07 05:51   좋아요 0 | URL
우리나라의 청소년기의 강요된 독서습관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